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1666 [월례포럼] 기독교학술원, 10월 21일 '문화마르크시즘의 소아성애 사상 비판' 기독교학술원(원장:김영한 박사)이 오는 10월 21일(금) 오후 3시 포도나무교회(담임:여주봉 목사) 미래관 5층(바인홀)에서 제96회 월례포럼을 진행한다. 이날 '문화마르크스즘의 소아성애 사상 비판'을 주제로 진행되는 포럼에는 위르겐 욀커스 박사(스위스 취리히대학 교수)가 강사로 참여한다. 통역은 정일권 박사(전 숭실대 초빙교수)가 맡는다. 한편, 욀커스 박사는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포괄적 성교육과 조기 성교육 문제점을 비판하는 국제학술세미나에 초청받아 강의를 진행한다. 2022. 10. 7. [학술정보]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제81호 한국실천신학회 학술지 제81호(2022.09)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신학함의 융합적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예비적 고찰 / 고원석, 양정호 Triduum의 형성 과정과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서방 전통과 북미 주요 개신교회들을 중심으로 / 김형락 초대교회 사순절(Lent) 기간의 다양성과 파스카 신비 : “사순절 세례교육 (Lenten Catechesis)” / 김정 기독교대학 채플의 다양성에 접근하는 한 시도 / 김병석 예배는 신앙을 강화한다 - 예배 태도로서 ‘신앙고백적 사모함’을 중심으로 / 박관희 『百牧講演(第一集)』(1921)에 나타난 ‘신성한 사랑’ 분석 이명직(李明稙)의 “우리의 親舊예수”와 이병주(李秉周)의 “하나님이 世上을 愛하신다”를 중심으로 / 안수강 메타버스 설교의 ..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3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3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1세기 유대 신비주의 관점에서 본 마태복음의 예수 이해 / 정용한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 - 마태복음 12:28(누가복음 11:20) 새로 읽기 / 권연경 (관련기사 보기)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마 12:28), 어떻게 해석할까? * 하나님나라연구(04) * 하나님 나라가 지닌 현재성과 미래성에 대한 관심이 많다. '이미'와 '아직'의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를 설명하고자 하는 신학자들의 논의 또한 활발하다. 이와 관련 '하나님 www.theosnlogos.com ‘아들-아버지 관계 패턴’으로 본 요한복음 서문의 로고스 기독론/김주헌 메타포가 살게 하라! :『새한글성경』의 비유 번역 / 조태연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성경신학회, <교회와 문화> 제48권 한국성경신학회 학술지 제48권(2022.08)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갈라디아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이승구 사도바울의 소명과 계시 : 갈 1-2장을 중심으로 / 최순봉 갈라디아서 3:15-18의 의미와 주해 / 김규섭 위에 있는 예루살렘과 약속의 자녀들 : 갈라디아서 4:21-5:1에 나타난 바울의 보충 논증 / 이승구 사르크스와 프뉴마의 대립적 관계 : 갈 5-6장을 중심으로 / 최승락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공공선교적 설교 / 송영목 (관련기사 보기)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 제67집 한국선교신학회 학술지 제67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윌리엄 스크랜턴의 생애와 의료활동에 관한 연구 / 김칠성 변화된 선교 현장에서 파송의 새로운 이해: 선교 이양의 관점에서 / 남성현 삼위일체 하나님 관점으로 본 선교적 교회론 연구: 요한 지지울라스(John D. Zizioulas)를 중심으로 / 신동호 A Study on the Religious Landscape in Korea: Focusing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Religiosity / 정무성 하나님의 선교와 창조신학의 관점에서 본 ‘은총의 숲’ 사역 / 정승현 The Nature of Missiology as Public Theology / 정훈 오순절 교회의..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1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1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신천지의 종말론 비판 : 『요한계시록의 실상』에 나타난 핵심교리를 중심으로 / 박태수 환경위기 극복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교리와 윤리의 관계 / 이신열 조나단 에드워즈의 『이신칭의』에 나타난 칭의 교리 이해에 대한 고찰 / 이윤석 김호식 박사의 생애와 신학 연구 / 유정선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 그 현재적 의의 및 적용 / 장호광 하나님의 선택 대상자에 대한 칼빈의 인식: 그의 주석을 중심으로 / 김재용 다원성의 도전 속의 기독교 윤리 -현대 기독교 사회윤리의 도전으로서의 ‘다원주의’의 질문 / 이상은 성품 윤리로 분석한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 형성 / 강성호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역사신학논총> 제40권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지 제40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예배론 : 공적 예배에 관한 사상을 중심으로 / 한동수 청교도 성경 교육 : 로버트 에벗(Robert Abbot, 1588-1662)의 소요리 문답서에 대한 분석 / 류길선 예배의 통일성과 자율성: ‘성경적 예배’ 원리의 개혁주의적 수용과 실천을 위한 과제 / 주종훈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리츨의 이해 - Die Christliche Lehre von der Rechtfertigung und Versöhnung 중심으로 / 김성욱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헤르만 바빙크의 영혼불멸론에 대한 앤써니 후크마의 평가 재고 / 전광수 북간도 지역 3·1운동 연구: 용정 지역 기독교 민족운동세력의 성장..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복음과 실천신학> 제64권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학술지 제64권(2022.08)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대조를 활용한 내러티브 본문에서의 설교 방법 연구: 사무엘상 17장을 중심으로 / 강원규 일의 성령론적 이해를 통한 워라벨 실천 방안 / 최창국 기독 청소년의 균형 잡힌 신앙생활에 대한 이중 소명의 이해와 적용 / 전병재 본문의 정서적 의미(Affective Meaning)를 고려하는 말라기 설교 연구 / 김지혁 대조법을활용한‘하나님-설교자-청중의파토스’설교 / 이정우 영국 빅토리아 시대와 John Charles Ryle의 설교에 관한 연구 / 손동식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복음과 선교> 제58집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학술지 제58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무슬림 복음화를 위한 창세기 21장 11절의 “그의 아들”에 대한 선교적 해석 / 김요한 메타버스 환경을 위한 기독교적 리터러시(Literacy) 연구 / 김진영 전염병과 풍습의 관련성을 통한 현대사회의 선교 - 민수기 13-19장을 중심으로 / 김희진 조선 개화기 여성 기독교 선교를 통한 파키스탄 여성 선교 전략 / K.Myria, 소윤정 이슬람의 조세제도인 지즈야(Jizya)의 성격에 대한 연구 - 관용이 아닌 인권침해와 박해로서의 조세제도 / 이바울, 장훈태 원천 꾸란의 신적 기원에 대한 선교 신학적 연구 / 최원진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복음과 상담> 제30권 2호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학술지 제30권 2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수용-전념 치료(ACT)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고찰 및 제안 / 권혜령 사이버 과의존 기독 청소년을 위한 목회적 돌봄 / 박기영 가상현실 문제에 대한 기독교상담의 고찰 / 박윤정 위드 코로나시대의 기독교상담 / 전요섭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구약논집> 제23집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학술지 제23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이사야 65-66장의 하나나님의 대답: 논쟁, 확증, 그리고 초청 / 김아윤 알파벳 시 145편 구조연구 / 김정원 시편의 지혜시의 내용과 잠언의 지혜의 상관관계 / 김창대 The Word of God and the Spirit in Isaiah and Acts: Isaianic Influence on Lukan Pneumatology and Its Implications / 김희석 “스가랴 9:9의 새로운 해석을 위한 제안” / 최순진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대학선교학회, <대학과 선교> 제53권 한국대학선교학회 학술지 제53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일제강점기 미국 남장로회 여성선교사 유화례(Florence E. Root)의 교육선교, 1927-1937 / 최영근 문준경 전도사의 섬마을 전도의 선교론적 재발견: -피에르 브르디외(Pierre Bourdieu)의 상징자본의 관점에서 / 오성욱 솔로몬의 성전봉헌기도(왕상8:27-53)와 아모스 4장 4-13절 이어 읽기솔로몬의 성전봉헌기도(왕상8:27-53)와 아모스 4장 4-13절 이어 읽기 / 이소리 ESG와 예배: 지키고 나누고 섬기는 예배 / 김형락 장례의례를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이해: 바람직한 애도와 위로의 실천을 위해 / 전병식 선물경제의 페미니스트 신학적 재구성: 엘렌 식수와 존 밀뱅크의 비판적 종합을 통하여 / .. 2022. 10. 6.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13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