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개혁신학회18 [학술대회] 한국개혁신학회, 3월 4일 '제152차 학술심포지엄' 개최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장신대 교수)가 장신대 성지연구원과 공동으로 오는 3월 4일 오후 2시 장신대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을 개최한다. 이날 강성열 박사(호남신대 교수), 황선우 박사(총신대 교수), 서혜정 박사(Globe Covenant Seminary 교수) 등이 △농촌기본소득의 구약성서적 전거 △열왕기와 역대기의 여호람 기사 비교를 통해 본 역대기 저자의 의도 △폴 리쾨르의 역사와 문명의 해석학 등의 연구논문을 발표한다. 2023. 2. 27. [학술정보]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개혁신학> 제76권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지 제76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욥의 열 번의 탄식에 나타난 문학적 테마와 욥의 인식 전환 / 류사라 시편의 성전 신학-시편 30편을 중심으로 / 서재덕 헤르만 바빙크의 일반은혜에 나타난 유기적 관점 이해: 미시적 원리로서의 은혜와 자연 / 류길선 도미니칸 수도사 리콜도의 꾸란 인식 연구: Contra Legem Sarracenorum을 중심으로 / 조용석 두 에온(Äon) 사이에 서 있는 교회: 틸리케의 ‘두-왕국-론’의 재정립과 공적 교회의 모색 / 이상은 로잔운동의 우선주의와 총체주의 간 선교신학적 논의 / 배춘섭 2022. 12. 21. [학술대회] 한국개혁신학회, 12월 3일 '제151차 학술심포지엄'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장신대 교수)가 오는 12월 3일(토) 오후 2시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삼애교회(담임:이철수 목사)에서 '제151차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날 김수연 박사(이화여대), 이강일 박사(서울장신대), 안호진 박사(캐나다 세인트 마이클 칼리지) 등이 △두 현실의 화해:디트리히 본회퍼의 현실 해석에서 그리스도론의 자리 △한국개신교 복음주의운동에 미친 대학생 선교단체의 역할 △비폭력 속죄 이론에 관한 신학적 비평 등의 연구논문을 발표한다. 2022. 11. 26. 성령운동, "이제는 갱신되고 변화해야 한다" 김성원 박사(서울신대 교수, 조직신학)는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 장신대 교수)가 지난 10월 15일(토) 오전 10시 백석대학교대학원 백석아트홀(서울 방배동)에서 '개혁신학과 4차 산업혁명'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제54차 학술심포지엄에서 '미래 한국사회와 기독교:성령운동의 방향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성령운동, 갱신이 필요하다 김 박사는 미래 한국사회에 필요한 것은 성령운동이며, 이를 위해 현재의 성령운동은 갱신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먼저 김 박사는 포스트모던 다원주의, 인공지능, 비대면, ESG 자본주의, 빈곤 등 미래 한국사회에 나타날 현상을 전망하면서 "하나님께서 미래 한국사회를 향해 교회에 주시는 시대적 사명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라며 성령운동의 개선과 전환에 대해.. 2022. 10. 18. 4차 산업혁명 시대 속 개혁신학 과제, ‘인간 신격화’ 경고해야 한국개혁신학회, ‘개혁신학과 4차 산업혁명’ 학술심포지엄 김영한 박사, ‘4차 산업혁명 시대 속의 개혁신학 과제' 기조강연 “유발 하라리는 에서 인류가 불멸, 행복, 신성을 추구하면서 인간을 신으로 업그레이드한다고 선언한다. 하지만 개혁신학은 첨단기술주의가 시도하는 인간 신(homo deus)에 대해 하나님의 인간 되심(Deus homo)를 선포해야 한다.” “과학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일반은총이지만 과학주의는 인간 이성의 자율화이며 과학기술의 우상화로써 창세기 11장의 바벨탑과 같은 인간의 자기우상화 시도다. 따라서 개혁신학은 과학주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과학기술이 하나님을 찬양하도록 해야 한다.”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 장신대 교수)가 지난 10월 15일(토) 오전 10시 백석대학교대.. 2022. 10. 18. [학술대회] 한국개혁신학회, 10월 15일 '개혁신학과 4차산업혁명'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장신대 교수)가 10월 15일(토) 오전 10시 백석대학교(방배동)에서 '개혁신학과 4차산업혁명'을 주제로 가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날 학술대회는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장)이 기조강연자로 참여하며 총 5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연구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 4차산업혁명의 세계관과 선교에서는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변혁주의 문화관으로 바라보는 4차산업혁명(이윤석 박사, 기독교세계관연구소) △로잔운동의 우선주의와 총체주의 간 신학적 논의(배춘섭 박사, 총신대) 등이 발표된다. - 4차산업혁명과 교회에서는 △미래 한국사회와 기독교:성령운동의 방향성을 중심으로(김성원 박사, 서울신대) △사랑의 공동체의 '포기', '기도', '용서':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에 관한.. 2022. 9. 30. "칼빈주의는 일종의 공공신학이다" 제시한 아브라함 카이퍼 "칼빈주의의 중심 원칙은 우주론적 특성, 전 포괄적인 삶의 원리로써 하나님의 전적인 주권을 교회와 세상, 특히 공적 영역에서 드러낸다 … 카이퍼가 말하는 칼빈주의 세계관은 인간 생활의 근본관계인 하나님과의 관계, 인간과의 관계,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 카이퍼가 세계관 혹은 삶의 체계로서 제시한 칼빈주의는 일종의 공공신학이다. 왜냐하면 카이퍼의 칼빈주의는 띠먼이나 스택하우스가 정의한 공공신학의 기준에 걸맞기 때문이다."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장신대 교수)가 장신대 성지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 9월 3일 오후 2시 장신대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제53회 국제학술심포지엄'에 발제자로 참여한 김은득 박사(한국성서대, 조직신학 강사)의 주장이다. 공공신학으로서의.. 2022. 9. 3. [학술정보]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개혁신학> 제75권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지 제75권(2022.08)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벨기에 신앙고백서 37조(‘최후심판’)의 증거본문과 종말론 이해 / 강대훈 귀도 드 브레(Guido de Bres, 1522-1567)의 재세례파 반대의 이유 / 강병훈 “난해한 문구들(Phrases Duriores)”에 관한 도르트 총회의 결정과 그 의미 / 홍주현 ἱλασµός의 신학적 의미와 기능에 관하여 김문경 요한복음의 기독론적 성전 신학: 성육신에 나타난 성전 모티프를 중심으로 / 정다운 일반 계시에 대한 소론: 바르트와 고재수 그리고 벌코프와 바빙크를 중심으로 / 박찬호 2022. 9. 2. [학술대회 안내] 한국개혁신학회, 9월 3일 '제53회 국제학술심포지엄'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 장신대 교수)가 장신대 성지연구원과 공동으로 오는 9월 3일 오후 2시 장신대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제53회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2022. 8. 17. [학술정보]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개혁신학> 제74권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지 제74권(2022.05)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Abraham Kuyper and Asia: Promise and Threat George Harnick / 특별기고 [특집] 교회를 위한 교부들의 신학 이그나티우스의 서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과 이해: 교회를 향한 그의 일곱 서신을 중심으로 / 한상화 배우면서 전수하는 지혜와 경건 : 4개의 공동체를 향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멘토링 / 우병훈 [일반논문] 한반도 기독교 평화윤리 정립을 위한 츠빙글리의 자유 이해 / 조용석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본 조나단 에드워즈의 준비교리:초자연적 은혜와 자연적 수단의 활용 관계 / 류길선 한국 신학자들의 헤르만 바빙크 신학 연구 II: 3-4권을 중심으로 / 이은선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교회.. 2022. 6. 29. [학술대회 안내] 한국개혁신학회, 5월 28일 '벨기에(벨직) 신앙고백서와 파이데이아' 한국개혁신학회(회장:이은선 박사/안양대 교수)가 오는 5월 28일 오전 10시 장신대 소양 주기철 기념관에서 '벨기에(벨직) 신앙고백서와 Paideia'라는 주제로 제52차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장신대 성서학연구원(제111회 학술대회)과 공동으로 진행되는 이번 국제학술심포지엄은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장/숭실대 명예교수)와 이어릭 더 부어 박사(네덜란드 캄펜신학대)가 기조강연자로 참여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벨기에 신앙고백의 '두 책에 대한 소론':벌코프와 고재수를 중심으로(박찬호 박사/백석대) △벨직 신앙고백서 37조(마지막 심판)의 증거 본문과 종말론 이해(강대훈 박사/총신대) △교회를 향한 위로:벨직 신조(김지훈 박사/안양대) 등 13편의 연구논문이 발표된다. 2022. 5. 18. [학술정보]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개혁신학> 제73권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지 제73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한철하 박사 삶의 신학에 대한 시기별 개관 -기독교 종교의 중심 진리 추구와 발견 / 한상화 한철하 박사와 속사도 교부: ‘사도의 전승’과 디오그네투스 서신 / 김규섭 위기로 인한 갈등을 신앙으로 승화시킨 이그나티우스의 멘토링 연구 / 조윤호 중세 스콜라 신학에 미친 이슬람 철학자들의 영향 / 정원래 도르트총회-공정과 화합의 총회 / 홍주현 르네 데카르트의 합리주의가 17세기 화란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프란스 버만(1628-1679)의 Synopsis theologiae et speciatim oeconomiae Foederum Dei와 Conversation with Burman을 중심으로 / 유정모 2022. 4. 22.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