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구약학회11 [학술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제28권 4호 한국구약학회 학술지 제28권 4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구약성서의 창조 관련 본문 연구: ‘혼돈’(混沌, chaos) 극복적 창조 / 김윤정 몬스터 이론을 통한 욥기의 몬스터들 연구 / 김준 “하나님에게 둘러싸여”(욥 3:23)의 이중적 레테르(letter) / 류사라 집단지성의 관점으로 본 고대근동의 종교적 지식과 종교전문가들 / 윤동녕 쿰란 전쟁문서(1QM)의 세계관 / 이윤경 입다의 딸과 이피게네이아: 상호매체성으로 읽는 소녀의 희생 / 이은애 인공지능과 구약성서: 무슨 상관이 있는가(욥 21:21) / 김창주 코로나 19 바이러스 전염병에 대한 구약적 해석 연구와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방법을 통한 지도자 교육교재 개발 / 박경식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 2023. 2. 17. [학술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제28권 3호 한국구약학회 학술지 제28권 3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예레미야 25-44장의 메시지: 3단계 구성을 중심으로 / 김래용 페미니스트 관점으로 읽는 호세아서 1-3장 / 김순영 열 가지 재앙에 대한 재고 / 김영혜 아모스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 - 아모스 9장을 중심으로 / 박지온 바빌론 포로 이후 초기 ‘골라’(golah) 공동체의 신학적 흐름에 대한 연구 / 소형근 북이스라엘 히브리어 연구에 대한 비판들과 대응 / 유윤종 제왕 신탁가로서의 훌다의 역할과 기능 / 윤동녕 시편 18편 2절, ‘내가 주를 사랑하나이다’의 번역과 신학적 의미 -사무엘하 22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광형 기브온 족속 이야기의 형성사 연구(수 9:1-27) / 이은우 여로보암의 북이스라엘식 종.. 2022. 12. 21. 인공지능의 도래, 신학적 인간을 먼저 숙고해야 한국구약학회(회장:김회권 박사, 숭실대 교수)가 지난 9월 16일(금) 오후 1시 30분 목원대 신학대학에서 '제120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김창주 박사(한신대 교수)와 소형근 박사(서울신대 교수)가 주제발제자로 참여해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인공지능, 신학에 위협과 도전을 줄까? '인공지능과 구약성서:무슨 상관이 있는가?(욥 21:21)'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김창주 박사는 "갈릴레이 갈릴레오의 지동설(1613년), 찰스 다윈의 진화설(1859년) 이후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은 전통 기독교와 신학에 가장 큰 위협과 도전이다. 더구나 인공지능은 머지않아 사람을 대체하거나 능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올 정도로 이전보다 훨씬 압도적이다"라며 "많은 신학자들은 인공.. 2022. 9. 22. [학술대회 안내] 한국구약학회, 9월 16일 '인공지능과 신학적 인간학' 한국구약학회(회장:김회권 박사, 숭실대 교수)가 오는 9월 16일(금) 오후 1시 30분 목원대학교에서 '인공지능과 신학적 인간학'을 주제로 추계학술대회를 진행한다. 2022. 9. 12. [학술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제28권 2호 한국구약학회 학술지 제28권 2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페르시아 시대 유다 인명 연구 / 강후구 창세기 내러티브 읽기: 익숙함과 낯섦의 주제 / 김도형 예레미야 34장 17절의 דְּרוֹר(드로르)의 의미 / 김유기 제사법의 회개에 나타난 책임과 회복의 윤리: 아솀(אָשֵׁם) 동사와 레위기 6장 1-7절을 중심으로 / 배선복 Revisiting Ezra 1 (vv. 1‒4) with the Temple Building Inscriptions of Mesopotamia / 안한나 퀴어-페미니스트 관점에서 한 권의 책으로 읽는 이사야서 / 유연희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the Serpent (Exod 7:8-13) in the Plagues Na.. 2022. 7. 13. [콜로키움 안내] 한국구약학회, 3월 25일 '성서, 생태위기에 답하다' 한국구약학회(회장:김회권 박사/숭실대 교수)가 오는 3월 25일(금) 오후 3시 '성서, 생태위기에 답하다'라는 주제로 콜로키움을 개최한다. 비블로스성경인문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번 콜로키움은 온라인(ZOOM)을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1부는 '성서, 자연생태계와 인간의 새로운 관계에 답하다'라는 주제로, 2부는 '성서, 자연생태계 내 생명의 새로운 가치에 답하다'라는 주제로 총 여섯 편의 연구가 발표될 예정이다. 1부 발표자 및 내용 최종원 / 생태 신학적 관점으로 본 창세기 1장의 세계관 강철구 / 욥에게 들려주는 하나님의 생태학 특강(욥 38:1-41:34) 김순영 / 불평등 사회의 생태적 전환을 위한 잠언의 지혜 2부 발표자 및 내용 오민수 / 동물, 사회의 급진적 정황 변화의 주역(출.. 2022. 3. 14. 코로나 위기 시대, 구약신학의 4가지 과제는 무엇인가? "코로나19 시대, 구약학자들은 감염병 신학의 확립, 생태계 신학의 재정립,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관심과 하나님 나라 공동체의 재건, 코로나 블루(우울증) 극복의 신앙 제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강성열 박사(호남신대 교수)는 지구촌 공동체 전반에 걸쳐 심대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코로나19와 관련해서 4가지 구약신학적 과제를 제시한다. * 이 글은 목회 현장에 직접적으로 소개되진 않았지만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매우 가치 있는 소중한 연구 결과물이 한국교회 목회자와 성도들에게 많이 읽히기를 소망하면서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강성열 박사의 ,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제68권_4호(202.. 2022. 1. 7. [학술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제27권 4호 한국구약학회 학술지 제27권 4호(2021년)에 실린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구약성서의 인명 변화에 대한 연구 / 강후구 역대하 34-35장(요시야본문)에 나타난 개혁과 포용적 언어 / 김윤식 “그 땅에서 쫓겨난 자(נִכְּאוּ מִן־הָאָרֶץ)”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욥기 30: 1~8을 중심으로 / 조한근 애가의 문학적 및 종교사상사적 기능 / 한동구 낙인과 트라우마의 치유에 참여하는 공동체: 미리암에게 귀 기울이기(민 12장) / 유연희 가난한 자의 탄원 속에 나타나는 신정론 이해: 시편 10편을 중심으로 / 이일례 코로나 위기 시대와 구약신학의 과제 / 강성열 (관련기사보기) 2022. 1. 6. 창세기 어떻게 읽고 해석할까? "내러티브 설교에 최적화되어 있다" * 설교연구(53) * "창세기는 하나님의 천지창조부터 인류의 시작과 죄와 죽음, 순종과 불순종, 배신과 화해, 위기와 기회 등 삶의 현장에서 경험하거나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야기가 많은 만큼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으로 읽는다면 성경 본문의 가치와 이해의 지평을 훨씬 더 넓힐 수 있다." "창세기는 구약학의 보화이자 설교의 총화이다. 오랫동안 끊임없이 학문적인 논의가 제기되어 왔고, 수많은 대중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내러티브 설교에도 최적화한 책이다. 현대 사회에 적용할만한 각종 이슈와 주제와도 어울릴만한 내용이 가득 들어있다." 한국구약학회(회장:김회권 박사/숭실대 교수)가 지난 12월 10일(금) 오후 3시 '제118차 학술대회(송년)를 온라인(ZOOM)으로 개최했다. 이날 김도형 박사.. 2021. 12. 11. [학술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제27권 1-3호 한국구약학회 학술지 제27권 1~3호(2021년)에 실린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27권 3호 금송아지 이야기(출 32)에 반영된 레위 성전경비대의 이미지 / 전재영 이스라엘의 선택과 열방과의 관계 스펙트럼 / 오민수 코헬렛의 마지막 교훈(전 11:9-12:7)으로 보는 전도서의 신학 / 하경택 드보라의 노래에 나타나는 난해절들의 번역과 그 역사적 배경 / 강승일 헤렘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동혁 하나님의 은혜를 선포하는 '아모스'에 대한 고찰 - 아모스 5장 1-17절에 대한 주석적 연구 / 이상원 불평등 사회의 생태적 전환을 위한 잠언의 지혜 / 김순영 예언서의 사회정치학적 글로컬 담론 해석을 통한 기독교 리더십 연구: 대화이론(Dialogism),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2021. 11. 5. 구약시대, 솔로몬 성전 안에 여호와 신상(형상물)이 있었을까? "인간의 종교적 신심은 어떠한 형태로든 신의 현존을 확보하여 그것을 눈으로 확인하고 싶어 한다. 시각적인 요소를 완전히 배제한 채 신을 떠올리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강승일 박사) 그렇다면, 구약시대의 솔로몬 성전 안에 과연 여호와의 신상(형상물)이 존재했을까? 한국구약학회(회장:김회권 박사/숭실대)가 지난 10월 1일 오후 2시 온라인 ZOOM으로 '남북왕조시대의 언어와 종교'를 주제로 '제117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야훼 신상, "있었을 것 VS 위험한 주장" 이날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출 20:4):야훼 신앙의 반형상주의'라는 제목으로 주제논문을 발표한 강승일 박사(연세대)는 고대 근동 메소포타미아 등의 고고학적 증거들을 배경 삼아 솔로몬 성전에 인간 형상의 야훼 신상이 .. 2021. 10. 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