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국신약학회9

[논문발표회] 한국신약학회, 9월 23일 가을논문발표회 개최 한국신약학회(회장:이민규 박사/한국성서대 교수)가 오는 9월 23일(토) 오전 9시45분 한국성서대학교 복음관에서 가을논문발표회를 개최한다. 이날 발표되는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1. 안호준 박사 / 공관복음서 ‘저자’의 ‘의도’ 표현의 적실성 탐구 2. 김형동 박사 / 불의한 청지기 비유(눅 16:1-8a): ‘라이언 일병 구하기’, ‘Μή γενοιτο’ 3. 조재형 박사 / 그리스-로마 배경에서 살펴본 ‘멍에를 같이한’ 바울의 동료-빌립보서 4:3의 ‘그네시에 쉬쥐게’(γνήσιε σύζυγε)를 중심으로” 4. 김성희 박사 / 하나님 나라를 위한 과부의 랩소디(눅18:1-8): 기도, 믿음, 정의로운 삶의 일원화된 제자도 5. 장성민 박사 / 발터 벤야민(W. Benjamin)의 ‘비평’(Kri.. 2023. 8. 28.
마르다와 마리아 본문, 대조와 대립구도로 해석하지 말라 "마르다를 세상일에 더 열중하다가 필요한 것을 놓쳐버린 인물로, 마리아를 영적인 일을 추구하는 모범적인 제자의 길을 따르는 인물로 제시하는 것은 마리아는 띄우고 마르다는 깎아내리는 잘못된 해석이다." "마르다를 가정교회의 리더십 역할로 부각시키고, 마리아를 남성제자들과 비교하여 그들의 말씀선포 사역과 달리, 마리아는 말씀을 듣기만 하는 수동적 인물로 폄하하는 것, 또한 마르다의 섬김과 마리아의 말씀 배우기 중 어느 것이 더 우월적 가치냐에 집중하는 해석은 문제가 있다." 최영숙 박사(웨신대 교수)는 "누가복음 10장에 등장하는 마르다와 마리아의 이야기에 대한 성경해석은 그동안 세상 일과 영적인 일로 분리하고, 두 여성 사이의 갈등과 대립관계로 설정해 왔다"라며 "마르다와 마리아는 모두 공간의 안과 밖을 .. 2023. 3. 16.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4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4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마태복음 25:1-13 다시 읽어보기: 인물의 행동 패턴을 중심으로 / 박노식 마가복음의 군대 귀신 본문 연구(막 5:1-20): 사회-정치적 접근과 제자직 주제 / 박찬웅 수로보니게 여인 에피소드 (막 7:24-30) 다시 읽기: 그레코-로만 전기의 장르적 특성을 중심으로 / 권영주 마르다와 마리아, 공간의 분리 담을 넘다 - 누가복음 10:38-42의 새 해석 / 최영숙 성령의 기억나게 하기: 요한 특유의 구약 해석 방법 / 김동수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예배를 위한 모색 -공동(체)성경읽기와 초기기독교의 예배 / 김영인 2022. 12. 29.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마 12:28), 어떻게 해석할까? * 하나님나라연구(04) * 하나님 나라가 지닌 현재성과 미래성에 대한 관심이 많다. '이미'와 '아직'의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를 설명하고자 하는 신학자들의 논의 또한 활발하다. 이와 관련 '하나님 나라'에 대한 한 편의 연구논문이 있어 소개한다. 권연경 박사(숭실대 교수)는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마태복음 12:28(누가복음 11:20) 새로 읽기'라는 연구논문에서 "마태복음 12장 28절은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에 대한 가장 확실한 진술로 간주되고 있지만 해당 본문은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구현에 관한 진술이 아니라 바리새인들의 비난에 반박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천명하는 기독론적 선언으로 읽는 것이 적절하다"라고 주장한다. *이 글은 한국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 2022. 10. 10.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3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3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1세기 유대 신비주의 관점에서 본 마태복음의 예수 이해 / 정용한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 - 마태복음 12:28(누가복음 11:20) 새로 읽기 / 권연경 (관련기사 보기)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마 12:28), 어떻게 해석할까? * 하나님나라연구(04) * 하나님 나라가 지닌 현재성과 미래성에 대한 관심이 많다. '이미'와 '아직'의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를 설명하고자 하는 신학자들의 논의 또한 활발하다. 이와 관련 '하나님 www.theosnlogos.com ‘아들-아버지 관계 패턴’으로 본 요한복음 서문의 로고스 기독론/김주헌 메타포가 살게 하라! :『새한글성경』의 비유 번역 / 조태연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2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2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누가복음에 나타난 식사의 ‘공간적 전환’ - 누가복음 15장을 중심으로- / 정복희 부자와 거지 나사로 비유(눅 16:19-31)에서 경계선 모티브: 누가의 경계넘기 신학 / 박영권 누가행전에 나타난 ‘돌아옴’의 회개적 의미: 사회적, 제의적, 종교적 회개 / 박명철 새로운 사도행전 본문 네스틀레- 알란트 28판과 대비평본의 차이점들 / 조재천 혐오 감정의 사회수사학 - 그레코로만 문헌과 고대 유대교 문헌의 혐오 언어에 관한 서설 / 이상목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1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1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마가복음에서 상위어(hypernym)로 쓰이는 λέγω의 현재 시제-형태 번역 제안 / 장성민 제자를 위한 비밀과 외인을 향한 비유 - 마가복음 4:11 연구 / 신현우 요한복음 10:30-38에 나타난 예수의 탈맥락적 시편 인용 - 시 82:6b과 다양한 활용 / 이민규 베드로전서의 가훈표에 나타난 이중 전략(double-strategy) - 벧전 3:1-7에서의 부부를 향한 권면을 중심으로 / 정창교 2022. 4. 22.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8권 4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8권 4호(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마가복음에 나타난 전이공간과 재현공간 / 박노식 에베소의 바울계 교회와 요한계 교회의 관계성에 대한 소고 / 정용한 요한계시록의 종말론적 전쟁 재해석 / 한철흠 성서를 렌즈로 삼아 바이러스 해석하기 / 조재천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8권 1-3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8권 1-3호(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28권 3호 ‘동사상 이론’에 비추어 본 마가복음의 서사 구조 / 장성민 씨앗 비유 해석에 담긴 하나님 나라의 비밀 - 마가복음 4:13-20 연구/ 신현우 몸의 정치학으로 본 마가복음의 정결 이데올로기 비판 - 하혈하는 여인 치유 본문(5:25-34)을 중심으로 / 정혜진 나드 향유(香油)의 신체적 체험과 죽어가는 몸의 향유(享有) - 마가복음 14:3-9와 평행본문의 기원에 대한 재고찰 / 차정식 바울의 의에 대한 소망 - 종말론적 기대에서의 δικαι-용어의 의미에 대한 연구 / 김서준 제28권 2호 빵이다, 몸이다··· - 마가복음 1:1-3:6의 식탁교제 모티프에 관한 연구/ 조태연 예수는 안식일의 주인인가, 안.. 2021. 11.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