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기독교학회12 [학술정보]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26집 한국기독교학회 학술지 제126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입다 내러티브의 두 전쟁 보고문(삿 11:19-22; 11:12-40)에 대한 문학 분석 ― 하나님은 왜 입다의 전쟁에 개입하셨는가? / 김경식 ‘메시아 비밀’의 출처에 관한 상호텍스트성 연구 ― 스가랴 13:1-6과 마가복음을 중심으로 / 조명화 성서학 분야 저술과 출판을 위해 유니코드를 써야 할 이유 / 조재천 전통적 개념어 ‘나라’[國]의 의미와 성경 어휘 ‘천국’으로의 적용 / 서신혜 교회, 세상 속의 은혜의 수단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웨슬리안 교회론 / 오광석 『창조와 타락』을 통해 본 본회퍼의 공동체적 인간 이해 / 김현주 변화하는 한국 가족을 위한 기독교적 가족 규범의 모색 ― 스탠리 그렌츠의 공동체 신학을 중심으.. 2022. 12. 29. 팬데믹 시대의 목회, "평신도, 목회자 역할 감당해야" 한국기독교학회(회장:임성빈 박사/장신대 교수)가 지난 10월 29일(토) 오전 10시 장신대 한경직기념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제51차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학회별로 발표된 주제연구 논문 중 일부 학회 발표 내용을 정리했다. * 주제 강연 기사 보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학과 교회, '공적 기독교' 강조해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학과 교회, '공적 기독교' 강조해야 한국기독교학회(회장:임성빈 박사/장신대 교수)가 지난 10월 29일(토) 오전 10시 장신대 한경직기념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제51차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 www.theosnlogos.com 평신도, 목회자 역할 감당하라 한국교회사학회에서는오광석 박사.. 2022. 11. 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학과 교회, '공적 기독교' 강조해야 한국기독교학회(회장:임성빈 박사/장신대 교수)가 지난 10월 29일(토) 오전 10시 장신대 한경직기념관에서 '포스트 코로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제51차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강연자로 나선 이재열 박사(서울대), 김정숙 박사(감신대), 김회권 박사(숭실대)의 발표 내용을 일부 정리했다. 한국은 3불사회다 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이재열 박사는 현재 한국사회는 '불만', '불신', '불안'이 넘쳐나는 3불 사회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 박사는 "세계인의 눈으로 보면 한국은 선진경제를 운영하는 민주주의 국가이자 새로운 문화강국이며, OECD 회원국이자, 경제규모는 세계 10위권, K팝과 K무비가 분출하는 소프트파워를 보여주고 있지만 현실에 대한 불만, 정치권에 대한 불신을 비롯.. 2022. 10. 29. [학술대회] 한국기독교학회, 10월 29일 '포스트 코로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과제' 한국기독교학회(회장:임성빈 박사/장신대 교수)가 오는 10월 29일(토) 오전 9시 30분 장신대 한경직 기념관에서 제 51차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포스트 코로나! 신학과 교회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학술대회는 이재열 박사(서울대), 김회권 박사(숭실대), 김정숙 박사(감신대) 등이 △포스트 코로나 사회의 도래와 변화의 전망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신학과 교회의 좌표:지구 피조물 공동체의 왕같은 제사장으로서의 교회 △성례론적 존재론: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제안하는 생태 여성신학적 우주론 등의 제목으로 주제강연을 진행한다. 또한 목회현장과 신학의 융합이라는 학술 프로젝트를 진행한 2개 팀의 연구발표와 함께 14개 회원 학회별로 연구논문도 발표된다. 2022. 10. 20. [학술정보]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25집 한국기독교학회 학술지 제125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On the ‘Paulinism’ of Peter’s Speech in Acts 15:7-11 / 정동현 The Reformer at Geneva: John Calvin’s Pastoral Ministry Toward the Economically Marginalized Refugees / 안호진 Sabbath Practice as a Motif of Postmodern Christian Ethics / 이국헌 The Need for Lament in Liturgy to Deal with Women’s Suffering Experience of Pregnancy Loss Based on the Image of a Lamentin..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24집 한국기독교학회 학술지 제124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슐라이어마허의 보편해석학의 고린도전서 9장 주석에의 적용: 바울의 역설적 자유의 종교사상을 중심으로 / 김덕기 칼뱅의 그리스도 삼중직의 구원론적 의미 고찰 / 김선권 통일신학의 재구성 요건 검토 II: 박순경의 통일신학 ‘여성-민중-민족’ 주체 개념 분석 / 신혜진 키에르케고어 ‘종교적 실존’ 개념을 적용한 윤동주 시의 신학적 분석: 1940년대 윤동주 후기 시를 중심으로 / 이정희 정의로운 평화(Just Peace) 개념의 이론적 고찰 — 세계교회협의회(WCC) 논의를 중심으로 / 김상덕 일제 문화정치 초기 『백목강연(百牧講演) 第一集』(1921)에 나타난 기독교윤리관 분석 : 홍병선, 김형식, 이범진, 조종범의 설교를 중심으.. 2022. 6. 29. [학술정보]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23집 한국기독교학회 학술지 제123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마태 주기도문의 첫 세 간구 / 민경식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의 은혜관 분석 : 그의 “人生의 目的”(1921)을 중심으로 / 안수강 시몬 베이유의 역설의 신학:확장된 신학적 지평에서 조명하는 창조와 탈창조 / 김정숙 인격성과 무인격성의 역설적 연합을 통한 신관의 재정립: 니시다와 정재현의 탈주체적 자아 개념을 중심으로 / 손범서 비극성을 성찰하는 신학: 로완 윌리엄스의 비극적 신학에 대한 논쟁과 비평 / 차보람 영유아가 인식하는 하나님 개념에 관한 연구 / 김민정 하이데거의 실존 사상과 생명 존중의 기독교교육 / 문은영 한국교회 강단이 나아갈 길 모색: 한경직 목사의 생애와 설교분석을 통하여 / 박정희.. 2022. 6. 29.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제32호 한국기독교학회 학술지 제32호(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32호 신의 형상과 인간 인격 / 김남호 닫힌 세계, 열린 세계: 팬데믹 시대의 그리스도인과 교회에 대한 고찰 / 서혜정 어거스틴의 감정론 / 양성만 라이프니츠의 세 원리에 근거한 과학의 형이상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클라크에게 보낸 라이프니츠의 서신을 중심으로 / 우호용 기독교철학 개념 정립을 위한 세계관의 실재론적 전회 / 이경재 소외된 자를 위한 교회의 사회복지적 책무: 사회 내 소외된 자를 섬겨야 하는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사회복지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이관표 아담의 이름 짓기”는 과연 문화 활동인가? / 이신웅 캐런 바라드의 자연구성주의는 사회구성주의와 ANT의 대안인가? - ‘행위적 실재론’의 상보성/상호배타성,.. 2022. 1. 26. [학술정보]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19-122집 한국기독교학회 학술지 제119-122집(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122집(2021.10) 일제 문화정치 초기 양익환(梁翊煥) 목사의 ‘인간 생명관’ 고찰 - 그의 설교 “生命이 잇나냐?”(1921)를 중심으로 / 안수강 성결의 두 날개 - 동성애 현상을 바라보는 나사렛 교단의 입장 연구 / 류욱렬 ‘성서조선사건’의 재검토 / 전인수 칼뱅과 자연과학 - 자연과학은 하나님의 창조 비밀을 더 깊게 들여다보게 한다 / 김선권 뉴노멀 시대의 ‘소수적인 신학’(Minority theology)에 관한 소고 - 질 들뢰즈의 소수성을 중심으로 / 정대인 묵시문학과 영지주의 - 이신(李信)의 전위 묵시문학 현상 이해를 중심으로 / 조재형 / 한국풍류영성상담의 실제 연구 / 정희성 제121집(2021.. 2021. 11. 8.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 '디아코니아' 사역에 집중해야 * 교회연구(59) * 한국기독교학회(회장:왕대일 박사)가 지난 10월 30일(토) '뉴노멀 시대 빛을 만나다'를 주제로 제50차 국제/국내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된 주제강연 및 회원 학회 발표 연구논문 중 일부를 선정해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비대면 예배의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돌보며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지체들에 대한 재난 상황에서의 섬김들이 신앙 공동체가 다시금 새롭게 도전해야 할 예배의 삶이라는 깨달음이 실천되어야 한다." 한국실천신학회(회장:황병준 박사/호서대)에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사회적 재난과 위기에 대응하는 실천신학 연구-기독교 예배와 디아코니아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김병석 박사(숭실대)의 주장이다. 위기 속에서의 디아코니아 김 박사는 .. 2021. 10. 31. 한국기독교학회, '뉴 노멀 시대 빛을 만나다' 제50차 정기학술대회 한국기독교학회(회장:왕대일 박사/전 감신대 교수)가 10월 30일 오전 9시 30분 '뉴 노멀 시대 빛을 만나다'를 주제로 '제50차 국제/국내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인사말을 전한 회장 왕대일 박사는 "한국기독교학회 제1차 학술대회는 1970년 2월 10일 '한국신학공동학회'라는 이름으로 전국신학대학협의회와 연계하여 연세대 학생회관에서 열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신학회(현 한국기독교학회)가 정식 출범한 때는 제3차 학술대회 기간 중이던 1973년 8월 31일이다"라며 "50차 정기학술대회에 이른 오늘에 와서는 14개 회원학회와 2000명이 넘는 회원들로 구성된 한국을 대표하는 학술모임단체로 크게 성장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왕 박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으로 진행돼 아쉬움도 있지만 .. 2021. 10. 30. [가을학술대회] 한국기독교학회, 10월 30일 '뉴노멀 시대, 빛을 만나다' 한국기독교학회(회장:왕대일 박사)가 오는 10월 30일 오전 9시 30분 온라인(유튜브 및 ZOOM)으로 '제50차 국제/국내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뉴노멀 시대, 빛을 만나다'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정기학술대회는 5명의 국외 학자가 주제강연을 진행한다. 또한 한국구약학회, 한국신약학회, 한국실천신학회 등 한국기독교학회에 소속된 14개 학회에서 각각 연구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포스터를 참고하면 된다. 2021. 10. 1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