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1657

[학술대회] 한국개혁신학회, 3월 4일 '제152차 학술심포지엄' 개최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장신대 교수)가 장신대 성지연구원과 공동으로 오는 3월 4일 오후 2시 장신대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을 개최한다. 이날 강성열 박사(호남신대 교수), 황선우 박사(총신대 교수), 서혜정 박사(Globe Covenant Seminary 교수) 등이 △농촌기본소득의 구약성서적 전거 △열왕기와 역대기의 여호람 기사 비교를 통해 본 역대기 저자의 의도 △폴 리쾨르의 역사와 문명의 해석학 등의 연구논문을 발표한다. 2023. 2. 27.
[신학강의] 한국성서학연구소, 3월 27일 '설교 위한 성서학 강의' 개강 한국성서학연구소(소장:배정훈 박사, 장신대 구약학 교수)가 오는 3월 27일 성서신학마당을 개강한다. 3월 27일부터 5월 29일까지 매주 월요일 오후 2시부터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한국성서학연구소(서울 광진구 광장로5길 25 2층) 10주 간에 걸쳐 진행되는 이번 강의는 현장강의와 온라인 강의(유튜브)를 병행해서 진행된다. 온라인 강의는 매 강의 당일 오전에 휴대폰과 이메일로 유튜브 URL 링크를 공유할 예정이며, 현장 강의는 20명으로 제한한다. 구약은 다니엘서를 중심으로 배정훈 박사가 강의하며, 신약은 마태복음을 중심으로 김태섭 박사(장신대 신약학 교수)가 강의한다. 수강료는 25만 원이며, 한 강좌만 수강할 경우 15만 원이다. 수강신청은 구글 폼( https://forms.gle/PRPKGeFS.. 2023. 2. 27.
나홀로의 일상 '나노사회', 실천신학적 과제는 무엇인가?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확산, 나홀로 일상을 즐기는 개인들의 증가로 '나노'라는 아주 작은 단위를 일컫는 '나노사회'가 되고 있다. 혼자 사는 것이 편한 시대가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초연결 세계 속에 사고 있다. 원하든, 원하지 않는 사람들과 연결돼 살아간다. 하지만 공동체성은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 나노사회 구성원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고립을 경험하게 된다. 결국 사람들은 외로움과 스트레스를 받으며 긴장감 속에 살아간다. 이런 가운데 한국실천신학회가 지난 2월 10일 라는 주제로 '제87회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나노사회 속 공동체성을 상실하고 있는 현실을 진단하고,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건강한 방향성을 제시한 실천신학자들의 주장을 일부 정리해 봤다. 초연결사회, 하지만 외롭다 양극화, .. 2023. 2. 23.
[학술대회] 한국선교신학회, 2월 25일 '선교적 교회개척' 한국선교신학회(회장:유근재 박사, 주안대학원대 총장)가 오는 2월 25일 오전 11시 40분 세종 꿈의교회(담임:안희묵 목사)에서 을 주제로 2023년 제1차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2023. 2. 20.
[논문발표회]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월 25일 정기논문발표회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회장:배종열 박사, 개신대학원대 명예교수)가 오는 2월 25일(토) 오전 10시 충현교회 베다니홀에서 정기논문발표회를 개최한다. 이날 김두석 박사(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가 이라는 주제로, 박영진 박사(안양대)가 을 주제로 발표한다. 2023. 2. 20.
[포럼] 기독교통일학회, 2월 25일 '한반도 평화와 교회의 역할' 제23회 학술포럼 기독교통일학회(회장:최현범 박사)가 오는 2월 25일(토) 오전 10시 안양 석수교회(담임:김찬곤 목사)에서 제23회 학술포럼 멘사토크를 진행한다. 이번 학술포럼은 을 주제로 열린다. 2023. 2. 20.
위기의 신학 교육,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까? 한국 교회 목회자들을 양성하는 신학대학교가 지원자 감소 등의 이유로 갈수록 침체되어 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두 명의 신학교 총장이 위기에 처한 신학교육을 회복시킬 수 있는 있는 방향성을 제시했다. 한국복음주의협의회(회장:임석순 목사, 이하 한복협)가 지난 2월 10일 신촌성결교회(담임:박노훈 목사)에서 라는 주제로 월례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장로회신학대학교(장신대) 총장 김운용 박사와 감리교신학대학교(감신대) 총장 이후정 박사가 발제자로 나섰다. 다중적 위기에 처한 신학교육 지금은 '아포리아' 시대 장신대 총장 김운용 박사는 "현재 신학교육 현장의 위기는 더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지난해 주요 신학대학원이 미달 사태가 속출하였고, 이런 결과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더 가증될 것으로 예상된다"라.. 2023. 2. 20.
[학술정보]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제69권 한국조직신학회 학술지 제69권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알랭 바디우의 무신론과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의 현실’에 대한 하나의 해석 / 김광현 러시아 정교회의 소피아론 ― S. 불가코프를 중심으로 / 김옥주 관계적 인간에 대한 신학의 존재론적 이해와 실천성 고찰 ― 토마스 토렌스(Thomas Torrance)의 그리스도의 대리적 인성 개념(the Concept of the Vicarious Humanity of Christ)을 중심으로 / 김학봉 존 웨슬리의 사상에서 은총과 본성 사이의 역동적 이해에 대한 참여적/내재주의적 읽기 / 류재성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황과 공동체성에 대한 교회론적 고찰 / 박승찬 구속사와 인간의 참여 ― K. C. 모저의 사상에 나타난 복음과 인간 행위 / 신용구 2023. 2. 17.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역사신학논총> 제41권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지 제41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그리스도 왕국의 두 통치: 칼빈의 정치신학의 기본 개념 연구 / 김요섭 Richard Baxter의 정치신학적 칭의론에 대한 개혁주의적 평가 / 윤종훈 조나단 에드워즈의 ‘affection’ 개념 이해와 적절한 번역어 연구 / 전희준 언더우드와 『그리스도신문』: 신문 발행의 취지와 성격 / 권태경 『百牧講演(第一集)』(1921)에 나타난 ‘현세의 삶과 내세의 소망’ 분석: 차형은(車亨恩), 김종우(金鐘宇), 김영제(金永濟)의 설교문을 중심으로 / 안수강 한국 보수기독교의 정치참여에 대한 재평가 : 1960-70년대를 중심으로 / 한동수 2023. 2. 17.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구약논집> 제24집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학술지 제24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하나님의 말씀과 욥의 반응: 욥기 지혜의 열린 결말 / 김대웅 창세기 2장 3절의 일곱째 날의 ‘복 주심’과 시간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 / 강철구 시편 3편의 신학적 주제와 문예적 특성에 따른 독법과 이의 설교적 적용 / 김진규 “욥이 재 가운데 앉아서”(욥 2:8)의 욥의 애도의식 / 류사라 출애굽기 3장 13-15절의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연구 / 박철현 역대기는 왜 다윗과 솔로몬을 동일한 패턴으로 묘사하는가?: 하나의 이야기로 읽는 다윗과 솔로몬 내러티브 / 안석일 Moses on the Rock (Exod 33:18-34:3): Perspectives from Jewish and Christian Interpreta.. 2023. 2. 17.
[학술정보] 한국대학선교학회, <대학과 선교> 제54권 한국대학선교학회 학술지 제54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존 웨슬리의 다문화 사역과 신약성서의 관련성 분석-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 윤철원 선교의 맥락에서 본 갈라디아서의 할례와 율법준수- 갈라디아서 5장 2-4절을 중심으로 / 유은걸 요한계시록의 “열린 하늘”과 구조 이해- 공연비평적 분석을 중심으로 / 정용한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채플- 쟁점과 전망 / 안선희 기독교 교양수업을 통한 선교 방향에 관한 고찰- 비기독교 외국인 유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 곽성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병원목회- 용인세브란스병원 원목실을 중심으로 / 이주형 선교사 조나단 에드워즈 / 이동준 김익두 목사의 신유부흥운동의 양상에 대한 역사적 연구- 「기독신보」를 중심으로 / 윤은석 일제강점기 양주삼의 태평양전쟁.. 2023. 2. 17.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제54집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학술지 제54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손정도의 전기(前期) 목회사역과 민족운동에 나타난기독교신앙과그형성배경에 관한 연구 / 김명배 『百牧講演(第一集)』(1921)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윤리관 분석 -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 녹스(Robert Knox), 게일(James S. Gale)의 글을 중심으로 / 안수강 해방 이후 1945년~1960년대 기독교 사회운동의 의미와 과제 - 기독교 농촌운동을 중심으로 / 홍성표 상호문화주의와 기독교윤리- 디트리히 본회퍼의 견해를 중심으로 / 고재길 존 웨슬리의 산상수훈설교에 나타난 성품 윤리-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 윤리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 김상기 세계 시민성 함양과 경제적 세계화에 대한 기독교.. 2023. 2.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