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1660 칼빈의 하나님 나라 신학의 이해, "교회와 국가 두 왕국에서의 이중 통치" * 하나님나라연구(4) * "칼빈의 하나님 나라 신학은 안으로는 개인적인 죄 용서 및 구원과 관계되는 영적인 나라와, 밖으로는 인간의 사회적 삶과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진행되는 정치적인 나라와의 관계라는 동심원적 구조 속에서 해석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우주적 통치의 전망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안인섭 박사(총신대 부교수/역사신학)는 "칼빈의 하나님 나라 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영적인 통치와 정치적 통치의 이중의 통치와 그 상호 관계성 규명이 중요하다"라며 하나님 나라를 인간의 사회 속에서의 삶, 그리고 국가와 정치적 영역에서의 삶과 연결시켜 설명한다. * 이 글은 목회 현장에 직접적으로 소개되진 않았지만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매우 가치 있는 소중한 .. 2022. 1. 13. 교리교육의 목적과 방법, "통전적 신앙 양육"에 맞춰야 "교리교육은 좁은 의미의 제자 양육 혹은 교인 만들기를 넘어서서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통전적 신앙의 양육이어야 한다." 장신근 박사(장신대 교수)는 전통적인 교리교육의 한계를 진단하면서 교리교육의 재개념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교리교육의 목적은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통전적 신앙의 양육에 있다며 교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 이 글은 목회 현장에 직접적으로 소개되진 않았지만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매우 가치 있는 소중한 연구 결과물이 한국교회 목회자와 성도들에게 많이 읽히기를 소망하면서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장신근 박사의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기독교교육논총', 제68집(2.. 2022. 1. 13.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원인, 동성애 아닌 '폭력'에서 찾아야 "구약성경은 동성애를 긍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소돔과 고모라의 죄악을 동성애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현상만을 보고, 그 이면의 근본적인 원인을 간과하는 것이다 ...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 되고 있는 동성 간의 결혼이나 동성애를 소돔과 고모라에서 벌어졌던 성폭력과 동일시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소돔과 고모라에서 들려오는 것이라고는 울부짖음밖엔 없다. 공의와 정의가 사라진 곳엔 ‘폭력’이 그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결국 소돔과 고모라가 멸망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소돔과 고모라에 만연된 ‘폭력’이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소돔에서 발생한 소돔 사람들의 악행은 동성애라기보다는 집단 성폭력으로 보는 것이 성경 본문에 더 부합된다." 강철구 박사(웨신대 교수)는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을 동성애의 결과로만..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제 65집 한국조직신학회 학술지 제65집(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기독교와 유교에서 영원과 시간에 대한 어떤 형태들의 비교 / 김동진 웨슬리와 디아코니아적 교회 ― 다문화가족 돌봄에 관한 교회론적 발전 가능성 모색 / 박영범 칼뱅의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관헌과 국민의 복종 및 저항권을 중심으로 / 이오갑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 ― Denis Alexander의 기포드 강연을 중심으로 / 이용주 신적 ‘자기묘사’에서 드러난 슐라이어마허의 예술적 주체로서 ‘우리-존재’의 문제 / 최태관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8권 4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8권 4호(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마가복음에 나타난 전이공간과 재현공간 / 박노식 에베소의 바울계 교회와 요한계 교회의 관계성에 대한 소고 / 정용한 요한계시록의 종말론적 전쟁 재해석 / 한철흠 성서를 렌즈로 삼아 바이러스 해석하기 / 조재천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설교학회, <설교한국> 제14권 한국설교학회 학술지 제14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설교학과 예배학을 통합하는 실천신학적인 연구방법론에 관한 연구 / 이승진 존 웨슬리 설교에 대한 설교학적 관점에서의 연구 / 남모세 마틴 로이드 존스의 성령 세례 이해와 진정한 설교(True Preaching)에 관한 연구 / 박동진 고난 중의 신자에 대한 설교자의 청중 이해 / 최광희 (관련기사보기)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39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39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A Consideration on Karl Barth’s Attempt to ‘Unphilosophize’ Friedrich Schleiermacher’s Philosophical Soteriology / 박재은 기독교 자연신학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알리스터 맥그래스를 중심으로 / 임영동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 곽혜원 (관련기사 보기)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복음과 선교> 제56집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학술지 제56집(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대학 교양교육 교수법에 포스트모던 세대 전도이론의 접목 가능성 / 남성혁 기독교 삼자의 중국과 한국 토작화 과정에서 본 국가적 상이성 연구 - 네비우스 전후 종교 국가 사회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 박만준 개혁주의 관점에서 상황화 선교를 위한 바울 설교의 적용 - 사도행전 17:16-34를 중심으로 / 배춘섭 샬롯 메이슨 교육 사상의 선교학적 함의 - 선교사 자녀를 위한 가정교육을 중심으로 / 오태균 담임목사 리더십 계승의 성경적 방법 연구 / 이용락 일간신문의 종교보도 현황과 선교적 대응과제 / 이현주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구약논집> 제21집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학술지 제21집(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구약성경의 수용과 새로운 접근 / 강철구 시편 8편과 104편의 생태학적 읽기와 신학적 성찰 / 김순영 이사야 63:7-64:11의 공동체 탄식 기도 / 김아윤 주전 8세기 선지서의 사자 은유 연구: 호세아서를 중심으로 / 김정자 왕정 시대의 프롤로그로 읽는 사무엘상 12장: 본문-언어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 이소리 느부갓네살의 강 건너편 지역에 대한 원정과 여호야김의 죽음 / 이창엽 예레미야 17:19-27과 에스겔 20:10-26에서 ‘안식일 규례의 재사용에 대한 연구 / 장성길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대학선교학회, <대학과 선교> 제50권 한국대학선교학회 학술지 제50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연세대학교 선교정책의 종합적 구상과 실행 방안 / 정종훈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에 의한 대학채플의 위기와 대응전략 - ‘글로벌 트렌드와 헌신채플’ 모델 / 이동찬 기독교 또래상담으로의 대학선교 방안 연구 / 정계현 일제강점기 미국 남장로회 교육선교에 관한 연구: 군산과 전주스테이션의 인돈(William A. Linton)을 중심으로, 1912-1940 / 최영근 한국교회와 여성혐오: 개혁교회 유산, 창조와 율법 교리 재해석 / 최유진 십자가, (빈)무덤, 부활장면의 여인들 비교연구 / 김성희 아우구스티누스의 에 나타난 덕 윤리 / 문시영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제51집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학술지 제51집(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디트리히 본회퍼의 시민적 용기의 개념과 법윤리적 함의 / 김성수 공적 이성으로서 종교적 이성에 관한 연구 - 미로슬라브 볼프를 중심으로 / 김승환 교회와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관계 연구 - 하우어워스와 바르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은창, 이용주 루터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코로나 19와 한국 교회 -LW43. “Whether One may Flee from a Deadly Plague” 를 중심으로 / 이지성 (관련기사 보기) 루터가 코로나 시대의 교회를 바라본다면? "루터는 흑사병에서 도망치지 않았다" 기독교인, 삶의 자리와 소명이라는 '처방전' 잃지 말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교회일치위원회가 '코로나19, 새로운..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기독교교육논총> 제68집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학술지 제68집(2021.1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 / 유재덕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택트(ontack)"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 양금희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 / 김선아 가정에서 자녀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 이정관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 / 강영택 통전적 신앙형성을 위한 교리교육의 재개념화 / 장신근 (관련기사보기) 교리교육의 목적과 방법, "통전적 신앙 양육" "교리교육은 좁은 의미의 제자 양육 혹은 교인 만들기를 넘어서서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통전적 신앙의 양육이어야 한다." 장신근 박사(장신대 교수)는 전통적인 교리교육의 한계를 진단하면 www.theosnl.. 2022. 1. 12.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13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