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1660

화해ㆍ협력ㆍ변화ㆍ평화의 힘으로 ‘점진적 평화통일’ 이룩해야 기독교통일학회, ‘통일 before & after’ 제3회 기독청년대학생 통일대회 개최 2014년 5월 7일 기사 한반도 평화통일. 한국인이라면 반드시 책임지고 이루어야 할 21세기 시대적 과제다. 한국 교회도 예외일 수는 없다. 아니 통일은 한국 교회의 모든 성도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사명이다. 하지만 통일은 바란다고 해서 결코 이루어지지 않는다.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한국 교회는 바람직한 통일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기독교통일학회(회장:주도홍 교수, 백석대)와 평화와통일을위한기독인연대(이하 평통기연)는 공동주관으로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사랑의교회 안성수양관에서 ‘제3회 기독청년대학생 통일대회’를 개최했다. ‘통일 before & after’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대회에서는 한반.. 2015. 12. 14.
[원문] 기독교의 자연 이해와 타종교 이해 손인웅 목사(덕수교회 원로) 2014년 5월 7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기독교학술원이 지난 5월 2일(2014년)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을 주제로 개최한 ‘제21회 영성포럼’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제공 단체(자)와의 협약에 의해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제공하지만 모든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무단전제 및 불법적인 도용은 추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주의를 당부합니다. 기독교의 자연 이해와 타종교 이해 / 손인웅 목사(덕수교회 원로) 들어가는 말 필자는 이 글에서 창조주 중심의 하나의 세계와 한 덩어리 생명과 하나의 뿌리에서 나온 인류의 큰 가족이 이루어져 온 일체성을 강조하면서 생명과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입장을 기본 신앙으로 하여 성서가 지향하는 자.. 2015. 12. 14.
[원문]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자연계에 대한 이해 김명혁 박사(강변교회 원로,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2014년 5월 7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기독교학술원이 지난 5월 2일(2014년)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을 주제로 개최한 ‘제21회 영성포럼’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제공 단체(자)와의 협약에 의해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제공하지만 모든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무단전제 및 불법적인 도용은 추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주의를 당부합니다.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자연계에 대한 이해 김명혁 박사(강변교회 원로,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부족한 사람이 주어진 제목에 대해서 제대로 발표를 할지 모르겠지만 최선을 다해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저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하게 합니다. 저는 본래 극.. 2015. 12. 14.
[원문] WCC 부산총회 이후의 복음화와 선교이해 2014년 5월 7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기독교학술원이 지난 5월 2일(2014년)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을 주제로 개최한 ‘제21회 영성포럼’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제공 단체(자)와의 협약에 의해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서비스하지만 모든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무단전제 및 불법적인 도용은 추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주의를 당부합니다. WCC 부산총회 이후의 복음화와 선교이해 / 이상규 박사(고신대 교수) 시작하면서 1948년 8월 23일 암스테르담에서 창립된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는 금년으로 66주년을 맞게 되었고, 지난 2013년 10월의 부산총회까지 10회의 총회를 개최한바 있다. WCC는 창립 당시부터 격한 논쟁에 휩싸였고, 복음주의 교.. 2015. 12. 14.
[원문] 에큐메니칼 운동에 나타난 ‘세계선교와 복음전도’ 이형기 박사(장신대 명예교수, 공적신학연구소소장) 2014년 5월 7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기독교학술원이 지난 5월 2일(2014년)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을 주제로 개최한 ‘제21회 영성포럼’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제공 단체(자)와의 협약에 의해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서비스하지만 모든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무단전제 및 불법적인 도용은 추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주의를 당부합니다. 에큐메니칼 운동에 나타난 ‘세계선교와 복음전도’ 1982년 ‘선교와 전도’와 2013년 마닐라 ‘선교와 전도’의 비교 연구 이형기 박사(장신대 명예교수, 공적신학연구소소장) 들어가는 말 CWME는 2006년 포르트 알레그로 제9차 WCC 총회 이래로 하나의 새로운 선교.. 2015. 12. 14.
[원문] 에큐메니칼운동의 신학: 생명, 정의, 평화 박종화 박사(경동교회 담임) 2014년 5월 7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기독교학술원이 지난 5월 2일(2014년)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을 주제로 개최한 ‘제21회 영성포럼’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제공 단체(자)와의 협약에 의해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서비스하지만 모든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무단전제 및 불법적인 도용은 추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주의를 당부합니다. 에큐메니칼 운동의 신학 : 생명, 정의, 평화 / 박종화 박사(경동교회 담임) 1. 왜 인가? 성서적으로 또 신학적으로 생명, 정의, 평화, 이 세 가지는 각기 독특하면서 동시에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윤리학적으로도 그러하고, 신앙 고백적 실천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여기서는 우.. 2015. 12. 14.
[원문] WCC영성:정의와 평화 김상복 박사(횃불트리니티신학대 총장) 2014년 5월 7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기독교학술원이 지난 5월 2일(2014년)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을 주제로 개최한 ‘제21회 영성포럼’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제공 단체(자)와의 협약에 의해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서비스하지만 모든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무단전제 및 불법적인 도용은 추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주의를 당부합니다. WCC영성 : 정의와 평화 / 김상복 박사(횃불트리니티신학대 총장) 2013년 10월말부터 11월8일까지 부산에서 ‘God of Life, Lead Us to Justice and Peace’ 라는 주제 하에 세계 110개국 349교파 및 교단, 5억6000만 회원 대표들과 한국교.. 2015. 12. 14.
‘정의ㆍ평화ㆍ생명’의 WCC영성, 성경적 의미 추구해야 기독교학술원,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 제21회 영성포럼 개최 2014년 5월 7일 기사 기독교학술원(원장:김영한 박사)이 지난 2일 오후 2시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 소강당에서 ‘부산총회 이후 WCC의 영성’을 주제로 ‘제21회 영성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정의와 평화 이해 △복음화와 선교 이해 △자연계와 타종교 이해 등을 주제로 김상복 박사(횃불트리니티신대 총장), 박종화 목사(경동교회), 이형기 박사(장신대 명예교수), 이상규 박사(고신대), 김명혁 목사(한복협 회장), 손인웅 목사(덕수교회 원로) 등이 발표했으며, 권호덕 박사(서울성경신대 총장), 이동주 박사(선교신학연구소 소장), 정일웅 박사(전 총신대 총장) 등이 논평자로 참여했다. 포럼 전 ‘온건으로 돌아선 WCC 부산총회:선교와 .. 2015. 12. 14.
세월호 참사, “그간의 나태와 비겁을 고백하며 회개합니다” 진실을 찾는 신학생들, 세월호 참사 관련 성명서 발표 2014년 5월 2일 기사 세월호 참사와 관련 ‘진실을 찾는 신학생들’(가칭)이라는 신학생들의 자발적 결성 단체도 지난 1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청계광장 앞에서 촛불기도회를 갖고, 성명서와 호소문을 발표했다. 이번 촛불기도회 전 이미 각 신학대학교 게시판에 성명서와 호소문을 게재한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교회의 잘못을 알면서도 ‘가만히 있으라’는 누군가의 말에 줄곧 순종해왔다”며 “우린 그간의 나태와 비겁을 고백하며 회개하고, ‘나를 따르라’는 주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려 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교회의 눈과 귀가 되어 가난한 이들을 찾고 억울한 울음을 들을 것이며, 손과 입이 되어 그들과 연대하고 정의를 말할 것”이라며 “201.. 2015. 12. 14.
“신학과 교회의 공적 책임 무너지면 악이 정의로 나타나” 기독교사회윤리연구소, ‘신학과 사회학의 만남’ 정기세미나서 교회의 사회적 책임 강조 2014년 5월 2일 기사 “오늘의 신학과 교회의 영역에서 각각 공공성과 사회성이 회복될 때, 한국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실제적으로 사회를 위한 책임적인 삶을 살 수 있다.” 서울신대 기독교사회윤리연구소(소장:강병오 교수)가 지난달 29일 오후 4시 백주년기념관에서 ‘신학과 사회학의 만남’을 주제로 제7회 정기세미나를 개최하고, 하나님의 말씀은 세상과 사회를 향한 그리스도의 공적 책임을 말해주고 있다며 신학과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강조했다. ‘신학의 공공성과 교회의 사회성:본 회퍼의 신학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발표한 고재길 교수(장신대, 기독교윤리학)는 “본 회퍼는 교회의 공적 책임이 무너지면 악이 빛, 선행, 진실, 갱신.. 2015. 12. 14.
‘예언’은 영적 미디어이며 ‘꿈과 환상’은 영상신호 유경동 교수, 한국교회발전연구원 심포지엄서 기독교 미디어의 방향 제시 2014년 5월 2일 기사 “하나님의 진리인 ‘예언’은 오늘날 기독교가 회복해야 할 ‘영적 미디어’이며, ‘꿈과 환상’은 주님이 주시고자 하는 말씀의 ‘영상신호’이다.” 한국교회발전연구원(원장:이성희 목사)이 지난 2일 오후 2시 연동교회에서 ‘미디어의 위기와 기독교 미디어’를 주제로 진행한 심포지엄에서 감신대 유경동 교수(기독교윤리)가 한국 교회가 관심 가져야 할 미디어 캠페인에 대해 언급하면서 꺼낸 말이다. 이날 유 교수는 “미디어가 기술적인 영역을 넘어 인간과 인간 사이, 그리고 인간과 궁극성 사이에서 의사소통의 역할을 한다면 기독교가 중시하는 상징과 같은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상을 넘어 하나님의 신비로 인도하는 미디.. 2015. 12. 14.
[원문] 기독교윤리는 삶을 통해 예수님의 사랑 나타내는 것 케시 카스텐 목사 / 국제스포츠연맹 대표 2014년 5월 1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한국복음주의협의회가 4월 11일(2014년) ‘한국 교회 윤리적 삶을 진단한다’를 주제로 개최한 월례발표회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서비스하지만 모든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크리스천의 윤리: 로마서 12:1~21 케시 카스텐 목사(국제스포츠연맹 대표) 목회자의 자녀로 자란 저는 어렸을 때부터 기독교 윤리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아버지가 교회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강조하실 때면 저는 그것이 집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아버지가 집에 오시면 엄마를 사랑하는지 자세히 관찰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기독교 윤리입니다. 기독교 윤리는 믿음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매일, 나의.. 2015. 12.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