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1127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2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2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누가복음에 나타난 식사의 ‘공간적 전환’ - 누가복음 15장을 중심으로- / 정복희 부자와 거지 나사로 비유(눅 16:19-31)에서 경계선 모티브: 누가의 경계넘기 신학 / 박영권 누가행전에 나타난 ‘돌아옴’의 회개적 의미: 사회적, 제의적, 종교적 회개 / 박명철 새로운 사도행전 본문 네스틀레- 알란트 28판과 대비평본의 차이점들 / 조재천 혐오 감정의 사회수사학 - 그레코로만 문헌과 고대 유대교 문헌의 혐오 언어에 관한 서설 / 이상목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설교학회, <설교한국> 제15권 한국설교학회 학술지 제15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설교에서 애통의 중요성과 그 실천의 윤리적 함의 / 구아름 존 웨슬리의 구원론 안에서 설교와 세례와 성찬의 관계 연구 / 김진영 위-디오니시우스의 부정신학과 부정의 방식으로서의 설교 / 이상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설교하라! : 설교를 위한 렉시오 디비나 활용에 관한 연구 / 조영창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0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0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의 영적 생명력: 공동체로서의 교회 회복과 세이비어 교회의 사례 / 권문상 츠빙글리와 재세례파의 관계 / 박찬호 그리스도의 속죄의 범위에 있어 충분성과 유효성에 대한 존 다버넌트와 칼빈의 인식 / 김재용 기쁨의 희망, 교회의 기쁨 - 위르겐 몰트만과 디트리히 본회퍼의 ‘기쁨’에 대한 신학적 담론 / 김성호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를 위한 신학 - 『거룩한 신학의 학문』(1883)을 중심으로 - / 이상웅 말씀과 체험으로부터의 인식론을 넘어 성경으로부터의 인식론으로: 토대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오승성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역사신학논총> 제39권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지 제39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언약사상에 나타난 쌍무성: 중세 후기의 언약개념과 종교개혁자들의 언약사상 비교 / 김효남 그리스도의 주권적 통치에 대한 고백과 헌신: 제2스위스 신앙고백(1566)의 교회론 연구 / 김요섭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의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天主實義』 분석 / 안수강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칼빈주의 개념 고찰: 벤자민 B. 워필드의 칼빈주의 이해를 중심으로 / 류길선 해방정국 신탁통치 반대 국민대회와 기독교 / 이영식 한국 교회의 아프리카 선교사역과 한국문화의 국제화 / 이은선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제38권 한국목회상담학회 학술지 제38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COVID-19 상황 속에서 갈등하는 목회자를 위한 돌봄 과제: 강박적인 목회자 정체성으로 인해 형성되는 목회자 갈등을 중심으로 / 고유식 정동 이론과 목회 돌봄에의 함의 / 김수영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과정 : 질병으로 인한 배우자 사별을 중심으로 / 김현숙, 손철우 맞벌이 여성의 미취학 자녀 양육갈등 경험 / 이경미, 여한구 비출산의 선택하는 젊은 세대를 위한 사유: 하갈에게 주는 엘로이의 위로와 희망 / 이미영 목회상담에서의 ‘성숙한 역전이’: 구원환상에 대한 상호주관적 이해의 재고 / 이재현 안톤 보이슨의 생애와 공헌 / 이효주 체계이론과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한 가족치료 이론의 가족관(家族觀)과 기독교적 가족관의 비교..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제33호 한국기독교철학회 학술지 제33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이원론 대 혼합주의: 한국 기독교 세계관의 재구성을 위한 제안 / 김기현 기술주의 극복을 위한 생태적 기독교 세계관 / 박관수 세계관과 철학의 관계 - 신 칼빈주의를 중심으로 / 조영호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 최용준 불안과 일상성: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불안관을 중심으로 / 김완종 신학적 인간 이해에 관한 시론- 생태-관계적 인간론을 중심으로 / 김종만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 연구 / 성용구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의 발전과 그의 인식론적 기회주의: 마하와의 관계 속에서 발전한 아인슈타인의 시공간에 관한 인식론의 역사적 여정을 중심으로 / 전대경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교회사학회, <한국교회사학회지> 제61집 한국교회사학회 학술지 제61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무굴 황제와 예수회 선교사의 문화 종교적 대화: 거룩함의 거울의 텍스트와 세밀화 분석을 중심으로 / 김지인 최근 북미의 아나뱁티스트 연구 동향: 교회론을 중심으로 / 전인성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1560)에 나타난 교회재산의 재분배 규정에 대한 고찰 / 이성진 목회와 신학에 있어서 회중론의 의의에 관한 연구: 교회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안교성 교리서의 번역·출판을 통해 살펴 본 19세기 동아시아 기독교 용어의 유통과 형성: [미이미교회문답]을 중심으로 / 이혜원 간호선교사 에스더 L. 쉴즈의 한국 사역 / 권평 한국 도시산업선교회의 선구자 조지송 목사의 활동과 사상 / 정병준 [예수셩교문답](1881)의 변천사: [셩경문답](1.. 2022. 7. 13. [학술정보] 기독교통일학회, <기독교와 통일> 제13권 1호 기독교통일학회 학술지 제13권 1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츠빙글리의 국가론에 근거한 통일을 향한 기독교의 책임 / 안인섭 현재와 미래의 북한교회 유형과 한국교회의 과제 / 김의혁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기독교 유아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 / 정희정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학부 교양 수업을 중심으로 / 김주연, 안한나 2022. 7. 13. [학술정보]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제32권 개혁주의생명신학회 학술지 제32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예수생명”의 확신 ㆍ선포 ㆍ위로 ㆍ경고 : 요한신학의 새관점과 개혁주의생명신학 / 정종성 신학은 학문인가? : ‘현대주의 신학’의 신학 이해와 비평 / 이순식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Free Will and Grace in Augustine of Hippo / 박찬호 아브라함 카이퍼의 근대성 이해 : 스톤강좌의 문화 이해를 중심으로 / 조영호 사도행전의 침례 : 사도행전 2장 38절을 중심으로 / 조재형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제52집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학술지 제5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바울의 제자도에 나타난 사회적 영성-덕 윤리적 접근 / 문시영 구약성경에 나타난 바달(badal)의 신학과 사회윤리적 함의 / 윤영돈 신앙사건의 윤리적 전환 가능성 탐색-사중복음 사상의 보편적 가치윤리를 위한 해석학적 재구성 / 김상기 사진은 어떻게 진실을 증언하는가 -언론사진의 목격자역할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연구 / 김상덕 교회됨 -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신학적 윤리학에 담긴 증인의 개념을 중심으로 / 김희준 정의로운 전쟁론에 대한 소고 -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현실주의를 중심으로 / 박도현 ‘좀비사회’를 위한 기독교사회윤리적 제언 - 휴먼포비아를 넘어서 공감과 환대 / 성신형, 엄국화 일제 문화정치 초엽 『宗敎界諸名士講演..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기독교교육논총> 제70집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학술지 제70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포스트 디지털 세대에 대한 교육목회 유형 / 이원일 메타버스의 기독교교육 적용방안 / 옥장흠 일간지 담론분석을 통해 본 한국 개신교: 21세기 한국적 상황에서 사회와 개신교의 관계성 성찰 / 옥성삼 몰트만의 창조론과 기독교 교육의 생태학적 통전성 고찰 / 이향순 호모 크레토스를 지향하는 기독교교육 / 김형희 유아기 신앙 특성 및 요인에 관한 혼합연구 / 김성원 경험과 관련된 신앙교육 수업 준비과정과 적용을 위한 과제 연구 / 한경미 습관 형성으로서의 예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이해 / 김은주 메타버스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연구 / 신현호 교수실재감 및 학습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Ontact PBL 개발 및 ..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제28권 2호 한국구약학회 학술지 제28권 2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페르시아 시대 유다 인명 연구 / 강후구 창세기 내러티브 읽기: 익숙함과 낯섦의 주제 / 김도형 예레미야 34장 17절의 דְּרוֹר(드로르)의 의미 / 김유기 제사법의 회개에 나타난 책임과 회복의 윤리: 아솀(אָשֵׁם) 동사와 레위기 6장 1-7절을 중심으로 / 배선복 Revisiting Ezra 1 (vv. 1‒4) with the Temple Building Inscriptions of Mesopotamia / 안한나 퀴어-페미니스트 관점에서 한 권의 책으로 읽는 이사야서 / 유연희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the Serpent (Exod 7:8-13) in the Plagues Na.. 2022. 7. 13.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9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