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1133

"칼빈주의는 일종의 공공신학이다" 제시한 아브라함 카이퍼 "칼빈주의의 중심 원칙은 우주론적 특성, 전 포괄적인 삶의 원리로써 하나님의 전적인 주권을 교회와 세상, 특히 공적 영역에서 드러낸다 … 카이퍼가 말하는 칼빈주의 세계관은 인간 생활의 근본관계인 하나님과의 관계, 인간과의 관계,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 카이퍼가 세계관 혹은 삶의 체계로서 제시한 칼빈주의는 일종의 공공신학이다. 왜냐하면 카이퍼의 칼빈주의는 띠먼이나 스택하우스가 정의한 공공신학의 기준에 걸맞기 때문이다."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장신대 교수)가 장신대 성지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 9월 3일 오후 2시 장신대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제53회 국제학술심포지엄'에 발제자로 참여한 김은득 박사(한국성서대, 조직신학 강사)의 주장이다. 공공신학으로서의.. 2022. 9. 3.
[학술정보]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제80호 한국실천신학회 학술지 제80호(2022.07)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Contemporary Eucharistic Theologies : Beyond the Western Mainline or Affected Interpretations / Kim, Hyung-Rak Practical Theology Approaches and Sermons for Hospital Ministry / Hwang, Byung-June, Tuasela, Juliana Agusthina A Spiritual Biography Project : Lisa Kim’s Pilgrimage / Park, Jin Kyung John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Law for the Practice of.. 2022. 9. 2.
[학술정보]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제33권 개혁주의생명신학회 학술지 제33권(2022.08)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칼빈과 차일즈 성경해석의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위한 시사점 / 유선명 포스트모던 시대의 성경 권위 담론 벤자민 : 워필드와 케빈 밴후저, 장종현의 견해를 중심으로 / 김상엽 개혁주의생명신학 핵심역량 모형에 기반한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연구 / 이은철 사도행전 치유사건의 구속사적 의의 : 사도행전 3:1-10을 중심으로 / 이동수 칼빈주의 관점에서의 스티븐슨(Leslie F. Stevenson)의 신학논점 논박 : 『인간의 본질에 관한 일곱 가지 이론』을 중심으로 / 안수강 신천지에 대처하는 설교를 위한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적 해석 / 송지섭 기술문명 시대의 그리스도인을 위한 자끄 엘륄의 복음과 신앙 / 조천권 .. 2022. 9. 2.
[학술정보] 개혁신학회, <개혁논총> 제60권 개혁신학회 학술지 제60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내가 너에게 앗시리아가 되어 주리라: 호세아 14:8(MT 9) 및 13:7의 '봐아슈렌누'와 '아슈르'에 대한 중의법적 해석 / 박철현 『새한글성경』 사도행전 번역과 방향성: 헬라어 대본의 변경 가능성과 준비 / 김주한 예배 회복을 위한 칼빈의 창조론적 제언 / 이신열 벤저민 브레큰리지 워필드와 존 머레이의 개혁주의 성화론 비교연구: 제2축복 완전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의 평가와 대응 / 김광열 '에클레시아'의 어원적 접근을 통한 교회론 / 양진영 도르트 총회가 제시하는 목회자 세움방안과 예배 회복 / 홍주현 하나님의 작정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개혁 스콜라주의의 이해: 새뮤얼 윌러드의 창조론과 섭리론을 중심으로 / 전광수 이눌서(.. 2022. 9. 2.
[학술정보]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개혁신학> 제75권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지 제75권(2022.08)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벨기에 신앙고백서 37조(‘최후심판’)의 증거본문과 종말론 이해 / 강대훈 귀도 드 브레(Guido de Bres, 1522-1567)의 재세례파 반대의 이유 / 강병훈 “난해한 문구들(Phrases Duriores)”에 관한 도르트 총회의 결정과 그 의미 / 홍주현 ἱλασµός의 신학적 의미와 기능에 관하여 김문경 요한복음의 기독론적 성전 신학: 성육신에 나타난 성전 모티프를 중심으로 / 정다운 일반 계시에 대한 소론: 바르트와 고재수 그리고 벌코프와 바빙크를 중심으로 / 박찬호 2022. 9. 2.
개혁주의 예배 원리, "열정과 상상력보다 계시된 말씀 따라야" * 예배연구(29) * 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원장:서창원 목사)이 지난 8월 22일(월) 세곡교회(담임:박의서 목사)에서 '개혁주의 신앙 성장과 목회'를 주제로 설립 30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25일(목)까지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는 미국 퓨리탄리폼드신학교 총장인 조엘 비키(Joel R. Beeke) 박사와 미국 그린빌신학교 전 총장 조셉 파이파 목사(Joseph A. Pipa)가 주 강사로 참여했다. 조엘 비키 박사는 △믿음의 확신과 성장 △개인기도와 성 △비평주의 대처방안과 성장 △고난에 대한 그리스도 중심의 대처와 성장 △경험적 적용이 있는 설교와 성장 등 믿음과 신앙생활의 성장에 대해 강의했으며, 조셉 파이파 박사는 △개혁주의 교회론 △개혁주의 예배론 △개혁주의 성경관 △개혁주의 목회적 돌.. 2022. 8. 26.
[책] 기독교교육 현장론:장(場)을 중심으로 "가정, 교회, 학교, 사회는 성령께서 임재하셔서 깨진 관계를 치유하시는 공간이며, 기독교교육은 이 네 공간을 창조적 공동체로 다시 세우려는 학문적 디자인이고 설계이다." 무너져 가는 한국 교회 교회학교의 부흥을 위해 일평생 기독교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던 은준관 박사(실천신대 명예총장)의 '기독교교육 현장론:장(場)을 중심으로' 개정판이 출간됐다. 「기독교교육 현장론:장(場)을 중심으로」 / 은준관 저 / 동연 / 272쪽 / 17,000원 기독교교육이 직면한 위기를 분석하고, 목회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기독교교육의 대안을 제시했던 이 책은 지난 1987년에 출판된 바 있다. 하지만 책이 출판된 지 30년이 넘은 지금 한국 교회 기독교교육의 터전은 더욱 위기에 처해 있다. 저자 은준관 박사는 "연쇄적으.. 2022. 8. 25.
[책] 제발 그곳은 건너지 마라:관점 중심의 전도설교, 영혼 살리고 교회부흥 가져온다 "설교자에게 가장 중요한 사명은 복음을 전하는 것이다. 설교자의 입에서 선포되는 복음은 지옥의 문을 닫고, 천국의 문을 여는 권세가 있다. 시대적인 재앙으로 복음의 외침이 점점 사라지는 이 시점에 전도는 설교자와 교회 그리고 이 시대를 살리는 대안이다. 따라서 목회자는 반드시 전도설교를 해야 한다." 목회자는 설교할 때 하나님이 무엇을 말씀하시는지 정확히 전달할 책임이 있다. 또한 삶의 환경과 가치 기준이 다른 청중들이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을 신앙과 삶에 적용해야 하는지 다양한 관점으로 제시해줘야 한다. 무엇보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설교 안에 반드시 나타나야 한다. 이와 같은 설교가 바로 전도설교다. 복음을 전하는 설교가 전도가 되고, 그 설교를 듣는 청중들이 자연스럽게 복음을 전하는 전도자가 되기 .. 2022. 8. 25.
"기도 없는 목회는 비극" … 기도 거부하는 것은 주제넘음과 교만 * 기도연구(19) * 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원장:서창원 목사)이 지난 8월 22일(월) 세곡교회(담임:박의서 목사)에서 '개혁주의 신앙 성장과 목회'를 주제로 설립 30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25일(목)까지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는 미국 퓨리탄리폼드신학교 총장인 조엘 비키(Joel R. Beeke) 박사와 미국 그린빌신학교 전 총장 조셉 파이파 목사(Joseph A. Pipa)가 주 강사로 참여했다. 조엘 비키 박사는 △믿음의 확신과 성장, △개인기도와 성장, △비평주의 대처방안과 성장, △고난에 대한 그리스도 중심의 대처와 성장, △경험적 적용이 있는 설교와 성장 등 믿음과 신앙생활의 성장에 대해 강의했으며, 조셉 파이파 박사는 △개혁주의 교회론, △개혁주의 예배론, △개혁주의 성경관, △개혁.. 2022. 8. 23.
조엘 비키 박사, "구원의 확신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원장:서창원 목사)이 지난 8월 22일(월) 세곡교회(담임:박의서 목사)에서 '개혁주의 신앙 성장과 목회'를 주제로 설립 30주년 기념세미나를 개최했다. 25일(목)까지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는 미국 퓨리탄리폼드신학교 총장인 조엘 비키(Joel R. Beeke) 박사와 미국 그린빌신학교 전 총장 조셉 파이파 목사(Joseph A. Pipa)가 주 강사로 참여했다. 조엘 비키 박사는 △믿음의 확신과 성장, △개인기도와 성장, △비평주의 대처방안과 성장, △고난에 대한 그리스도 중심의 대처와 성장, △경험적 적용이 있는 설교와 성장 등 믿음과 신앙생활의 성장에 대해 강의했으며, 조셉 파이파 박사는 △개혁주의 교회론, △개혁주의 예배론, △개혁주의 성경관, △개혁주의 목회적 돌봄, △개혁.. 2022. 8. 23.
[책] 거듭남에 관한 결정적 대화: "참된 거듭남은 자기 확신이 아니다" "참된 거듭남과 구원은 자기 확신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구원의 확신, 거듭남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해주는 신간이 나왔다. 「거듭남에 관한 결정적 대화」 / 스티븐 J. 로슨 저 / 김태곤 역 / 생명의말씀사 / 272쪽 / 17,000원 이 책은 요한복음 3장에 등장하는 니고데모와 예수님의 대화를 중심으로 '거듭남'과 '구원'에 대한 가르침을 주고 있다. 책은 정기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며 기부와 봉사활동에도 적극적이라 할지라도, 신실한 그리스도인들과 교류하고 있을지라도, 오랜 성경공부로 기독교 진리에 대한 풍부한 지식도 가지고 있을지라도 이 모든 것이 구원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경종을 울린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많은 것을 알면서도, 정작 거듭나지도 구원을 .. 2022. 8. 22.
누가의 회개신학, "누가행전의 돌아옴은 사회적, 제의적, 종교적 회개" "누가행전에 나타난 ‘돌아옴’은 사회적 죄, 제의적 죄, 종교적 죄로부터의 돌아옴이었다. 따라서 누가행전에서 ‘돌아옴’의 회개적 의미는 사회적, 제의적 그리고 종교적 죄로부터의 회개로 세분화될 수 있다." 박명철 박사(한국침신대)는 구약의 예언서에 나타난 예언자들은 이스라엘과 이방인에게 사회적, 제의적, 종교적 죄로부터 돌아올 것을 촉구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누가행전에 사용된 '돌아옴' 또한 사회적, 제의적, 종교적 회개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 이 글은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소중한 연구 결과물을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박명철 박사의 ,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2호(.. 2022. 8.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