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1133

[책] 기독교 신학의 새 길-도(道)의 신학 "그동안 서구인들은 자신들의 사유 모체인 희랍철학의 주 개념 '로고스'(logos)를 사용해 그들의 상황신학인 로고스 신학을 만들어 세계를 주도해왔다. 이에 비해 '도의 신학'은 한 마디로 우리 동아시아적 사유의 주개념인 '도'(道)를 사용해 우리의 신학을 구성하자는 것이다. 나는 도의 신학이 보다 성서적이며 참된 그리스도 신앙의 본질에 오히려 더 가깝다고 믿고 있다." 이른바 '도(道)의 신학' 주장차로 알려진 김흡영 박사(한국과학생명포럼 KFSL 대표)가 자신이 주장하는 '도의 신학'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책을 발간했다. 「기독교 신학의 새 길 도의 신학」 / 김흡영 저 / 도서출판 동연 / 188쪽 / 13,000원 저자 김흡영 박사는 이미 ' 도(道)의 신학'이라는 책을 두 번 출간한 바 .. 2022. 10. 22.
교회개척학자들이 말하는 "교회 개척, 이렇게 하라" 서울신대(총장:황덕형 박사) 교회성장대학원(원장:최동규 박사)이 지난 10월 17일(월)부터 18일(화)까지 백주년기념관 5층 강의실(유튜브 생중계)에서 'STU(Set-Top Unit for church)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건강한 교회를 위한 분립개척 및 선교적 개척 노하우를 소개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큰숲플랫, FX코리아협동조합, 미래목회네트워크, Church Bridge, 교회 개척학교 숲, 넥스트세대미니스트리, 세뛰세Korea 등 다양한 단체들의 협력으로 진행됐다. 콘퍼런스에서는 교회개척학 교수들의 특강을 비롯해 분립 개척을 시도한 목회자들의 노하우 제시, 지역사회를 섬기는 목회, 일과 병행하는 목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교적 교회 개척을 했던 현장 목회자들의 목회 이야기 등이 구체적으로 소.. 2022. 10. 21.
[책] 20세기 개혁신학의 유산:카이퍼·워필드·바빙크의 신학 개혁신학회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이라는 책을 발간했다. 「20세기 개혁신학의 유산」 / 개혁신학회 엮 / 솔로몬 / 536쪽 / 25,000원 이 책은 세계 3대 칼빈주의자로 일컬어지고 있는 아브라함 카이퍼, 벤저민 B 워필드, 헤르만 바빙크의 소천 100주년을 맞아 개혁신학회의 신학자들이 연구한 세 명의 개혁신학자 신학에 관한 논문 중 선별해서 엮은 것이다. 개혁신학회는 "20세기 초반 서구의 대표적 개혁신학자로 평가받는 세 명의 신학을 조명한 개혁신학회 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라며 "신학서론에 해당하는 신학의 원리와 성경의 영감 및 증언, 삼위일체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을 망라하는 바, 이 세 개혁신학자에 대한 그 후예들의 이해를 조망하는 동시에 정통 개혁교회가 지금까지 계승·심화되어 .. 2022. 10. 20.
성령운동, "이제는 갱신되고 변화해야 한다" 김성원 박사(서울신대 교수, 조직신학)는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 장신대 교수)가 지난 10월 15일(토) 오전 10시 백석대학교대학원 백석아트홀(서울 방배동)에서 '개혁신학과 4차 산업혁명'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제54차 학술심포지엄에서 '미래 한국사회와 기독교:성령운동의 방향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성령운동, 갱신이 필요하다 김 박사는 미래 한국사회에 필요한 것은 성령운동이며, 이를 위해 현재의 성령운동은 갱신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먼저 김 박사는 포스트모던 다원주의, 인공지능, 비대면, ESG 자본주의, 빈곤 등 미래 한국사회에 나타날 현상을 전망하면서 "하나님께서 미래 한국사회를 향해 교회에 주시는 시대적 사명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라며 성령운동의 개선과 전환에 대해.. 2022. 10. 18.
4차 산업혁명 시대 속 개혁신학 과제, ‘인간 신격화’ 경고해야 한국개혁신학회, ‘개혁신학과 4차 산업혁명’ 학술심포지엄 김영한 박사, ‘4차 산업혁명 시대 속의 개혁신학 과제' 기조강연 “유발 하라리는 에서 인류가 불멸, 행복, 신성을 추구하면서 인간을 신으로 업그레이드한다고 선언한다. 하지만 개혁신학은 첨단기술주의가 시도하는 인간 신(homo deus)에 대해 하나님의 인간 되심(Deus homo)를 선포해야 한다.” “과학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일반은총이지만 과학주의는 인간 이성의 자율화이며 과학기술의 우상화로써 창세기 11장의 바벨탑과 같은 인간의 자기우상화 시도다. 따라서 개혁신학은 과학주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과학기술이 하나님을 찬양하도록 해야 한다.” 한국개혁신학회(회장:소기천 박사, 장신대 교수)가 지난 10월 15일(토) 오전 10시 백석대학교대.. 2022. 10. 18.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마 12:28), 어떻게 해석할까? * 하나님나라연구(04) * 하나님 나라가 지닌 현재성과 미래성에 대한 관심이 많다. '이미'와 '아직'의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를 설명하고자 하는 신학자들의 논의 또한 활발하다. 이와 관련 '하나님 나라'에 대한 한 편의 연구논문이 있어 소개한다. 권연경 박사(숭실대 교수)는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마태복음 12:28(누가복음 11:20) 새로 읽기'라는 연구논문에서 "마태복음 12장 28절은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에 대한 가장 확실한 진술로 간주되고 있지만 해당 본문은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구현에 관한 진술이 아니라 바리새인들의 비난에 반박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천명하는 기독론적 선언으로 읽는 것이 적절하다"라고 주장한다. *이 글은 한국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 2022. 10. 10.
[학술정보]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제81호 한국실천신학회 학술지 제81호(2022.09)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신학함의 융합적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예비적 고찰 / 고원석, 양정호 Triduum의 형성 과정과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서방 전통과 북미 주요 개신교회들을 중심으로 / 김형락 초대교회 사순절(Lent) 기간의 다양성과 파스카 신비 : “사순절 세례교육 (Lenten Catechesis)” / 김정 기독교대학 채플의 다양성에 접근하는 한 시도 / 김병석 예배는 신앙을 강화한다 - 예배 태도로서 ‘신앙고백적 사모함’을 중심으로 / 박관희 『百牧講演(第一集)』(1921)에 나타난 ‘신성한 사랑’ 분석 이명직(李明稙)의 “우리의 親舊예수”와 이병주(李秉周)의 “하나님이 世上을 愛하신다”를 중심으로 / 안수강 메타버스 설교의 ..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3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3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1세기 유대 신비주의 관점에서 본 마태복음의 예수 이해 / 정용한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 - 마태복음 12:28(누가복음 11:20) 새로 읽기 / 권연경 (관련기사 보기)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마 12:28), 어떻게 해석할까? * 하나님나라연구(04) * 하나님 나라가 지닌 현재성과 미래성에 대한 관심이 많다. '이미'와 '아직'의 관점에서 하나님 나라를 설명하고자 하는 신학자들의 논의 또한 활발하다. 이와 관련 '하나님 www.theosnlogos.com ‘아들-아버지 관계 패턴’으로 본 요한복음 서문의 로고스 기독론/김주헌 메타포가 살게 하라! :『새한글성경』의 비유 번역 / 조태연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성경신학회, <교회와 문화> 제48권 한국성경신학회 학술지 제48권(2022.08)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갈라디아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이승구 사도바울의 소명과 계시 : 갈 1-2장을 중심으로 / 최순봉 갈라디아서 3:15-18의 의미와 주해 / 김규섭 위에 있는 예루살렘과 약속의 자녀들 : 갈라디아서 4:21-5:1에 나타난 바울의 보충 논증 / 이승구 사르크스와 프뉴마의 대립적 관계 : 갈 5-6장을 중심으로 / 최승락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공공선교적 설교 / 송영목 (관련기사 보기)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1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1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신천지의 종말론 비판 : 『요한계시록의 실상』에 나타난 핵심교리를 중심으로 / 박태수 환경위기 극복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교리와 윤리의 관계 / 이신열 조나단 에드워즈의 『이신칭의』에 나타난 칭의 교리 이해에 대한 고찰 / 이윤석 김호식 박사의 생애와 신학 연구 / 유정선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 그 현재적 의의 및 적용 / 장호광 하나님의 선택 대상자에 대한 칼빈의 인식: 그의 주석을 중심으로 / 김재용 다원성의 도전 속의 기독교 윤리 -현대 기독교 사회윤리의 도전으로서의 ‘다원주의’의 질문 / 이상은 성품 윤리로 분석한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 형성 / 강성호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역사신학논총> 제40권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지 제40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예배론 : 공적 예배에 관한 사상을 중심으로 / 한동수 청교도 성경 교육 : 로버트 에벗(Robert Abbot, 1588-1662)의 소요리 문답서에 대한 분석 / 류길선 예배의 통일성과 자율성: ‘성경적 예배’ 원리의 개혁주의적 수용과 실천을 위한 과제 / 주종훈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리츨의 이해 - Die Christliche Lehre von der Rechtfertigung und Versöhnung 중심으로 / 김성욱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헤르만 바빙크의 영혼불멸론에 대한 앤써니 후크마의 평가 재고 / 전광수 북간도 지역 3·1운동 연구: 용정 지역 기독교 민족운동세력의 성장..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복음과 실천신학> 제64권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학술지 제64권(2022.08)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대조를 활용한 내러티브 본문에서의 설교 방법 연구: 사무엘상 17장을 중심으로 / 강원규 일의 성령론적 이해를 통한 워라벨 실천 방안 / 최창국 기독 청소년의 균형 잡힌 신앙생활에 대한 이중 소명의 이해와 적용 / 전병재 본문의 정서적 의미(Affective Meaning)를 고려하는 말라기 설교 연구 / 김지혁 대조법을활용한‘하나님-설교자-청중의파토스’설교 / 이정우 영국 빅토리아 시대와 John Charles Ryle의 설교에 관한 연구 / 손동식 2022. 10.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