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1657

[학술정보] 혜암신학연구소, <신학과 교회> 제16권 혜암신학연구소 학술지 제16권(2021 겨울호)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16권 예수의 성전정화 사건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주는 교훈 / 배정훈 공정사회 구현을 향한 종교개혁 운동 – 16세기 종교개혁 운동의 역사적 교훈 / 김주한 문화적 개신교의 발전과 몰락 / 강원돈 나치 시대 독일 교회의 저항운동 – 헬무터 틸리케의 나치 체제 저항을 중심으로 / 김영한 한국의 개신교 성장주의에서 비롯된 신뢰 위기와 극복 방안 / 정재영 민주화 이후 교회의 정치행동과 신뢰 위기 / 최형묵 거룩한 하나님이 선택한 거룩한 “하나님의 백성” -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한 교회 본질의 규명 / 김균진 한국교회 담임목사직 세습 문제와 신뢰 위기 / 오성중 한국교회의 신뢰 위기 극복을 위한 근본주의적 멘탈리티의 분석과 .. 2022. 2. 8.
[학술대회 안내] 한국실천신학회, 2월 12일 '위드코로나 시대와 실천신학의 과제' 한국실천신학회(회장:황병준 박사, 호서대 교수)가 오는 2월 12일(토) 오전 10시 온라인(Youtube/Zoom)으로 제83회 정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한다. '위드 코로나 시대와 실천신학의 과제'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정기학술대회에서는 총 15편의 연구논문이 발표될 예정이다. 이날 발표될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위드코로나 시대, 상호텍스트 활동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 연구 / 주희현 박사(정화예대/공유문화예술연구소) 2. Corona Red, Bule, Black 상황 속에서의 목회신학적 과제:사회적 거리두기를 ‘정서적 거리 좁히기’로 / 고유식(호서대) 3. 위드코로나 시대, 로이드 존스의 설교학적 의미 / 박동진(합신대) 4. 위드코로나 언택트 시대, 융합적 실천으로서의 신학담론 가능.. 2022. 2. 5.
감리교 목회자 486명, "주술에 국민과 국가의 내일을 맡길 수 없다" 신학자 28인의 성명서(관련기사 보기), 교회협 및 YMCA 등의 성명서(관련기사 보기) 발표에 이어 신경하 전 감독회장을 비롯해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486명의 목회자도 '주술에 국민과 국가의 내일을 맡길 수는 없습니다'라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감리회 목회자 486인은 지난 2월 3일 "주술과 무속에 휘둘리는 대통령선거를 우려하는 목회자 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불교·기독교·천도교를 종합한 영세교를 창시한 사이비 교주 최태민의 딸로 오방색 운운하며 사이비 종교를 숭상했던 최순실은 국정 농단을 통해 제18대 대통령 박근혜를 탄핵에 이르게 하는 등 막대한 국가적 혼란과 피해를 가져다주었다"라며 "주술에 의지해 국가의 정책을 결정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에게 대통령의 직을 맡긴다는 것은 이와 같은 불행을 뒤풀.. 2022. 2. 3.
기사연, 오는 2월 15일 '제 20대 대선' 전망 기독교인 설문조사 결과 발표 오는 3월 9일(수)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다. 정권교체냐, 정권유지냐를 비롯해 부동산 및 민생안전 대책, 국가안보 등 다양한 현안을 놓고 대선에 관한 전망이 한참이다. 그렇다면 기독교인은 어떤 현안에 관심이 있을까? (사)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원장:김영주, 이하 기사연)이 오는 2월 15일(화) 오후 2시 기독교회관 조에홀(2층)에서 기자간담회 형식으로 '2021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개신교인 인구조사 연구'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기사연은 "전체 설문조사는 정치, 경제, 통일/평화, 사회/젠더, 생태/환경, 신앙 등 총 여섯가지 분야로 주제를 나눠 분석했다"라며 이 가운데 지난 3일(목) '2021 대선정국과 한국교회'라는 주제로 설문조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언론사에 배포했다.. 2022. 2. 3.
교회협-YMCA, "‘무속 비선 정치가, 주권재민의 공론장 대신할 수 없다" 성명서 발표 신학자 28인의 성명서 발표(관련기사 보기)에 이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회장:장만희 / 총무:이홍정)와 한국YMCA전국연맹(YMCA, 이사장:송인동 / 사무총장 김경민)도 지난 2월 3일 "무속 비선 정치가 주권재민의 공론장을 대신할 수 없다"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두 기관은 "정치는 공론의 장으로 의사소통적 합리성이 추구되는 시공이다.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무속이 지닌 운명론적 세계관을 통해서는 만들어질 수 없다"라며 "이번 선거 과정에 드러난 무속 비선 정치의 개입에 대한 강한 우려는, 국정농단 사태를 불러일으킨 지난 박근혜 정권의 실패와 이에 저항한 촛불 시민의 민주적 혁명을 연상하게 한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 한 사람의 시민주권자로, 무속의 주술적 판단에 의존.. 2022. 2. 3.
신학자 28인, "주술에 흔들리는 대선, 나라가 위태롭다" 성명서 발표 한신대 강원돈 박사, 성공회대 권진관 박사를 비롯해 신학자 28명이 지난 1월 30일 "사이비 주술 정치 노름에 나라가 위태롭다"라는 제목으로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사실상 최근 무속, 역술 등 논란에 휩싸인 윤석열 국민의 힘 대선후보를 겨냥한 공개적인 비판인 셈이다. 신학자 28인은 "20대 대통령선거에 즈음하여, 정치가와 종교인들이 주술에 휘둘리는 실로 어처구니없는 행태를 직면하며 개탄스런 심정으로 우리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다"라며 "주술에 예속된 채로 대선에 나가서 국정을 논하고 이끌겠다고 하는 이가 있으니 그대로 묵과할 수 없다. 국정이 그 점술에 의해 농단당할 때 올 수 있는 끔찍한 혼란과 위험한 사태를 심히 우려하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그동안 세간에 떠돌던, 정치가들과 점치는 .. 2022. 2. 3.
모세의 리더십은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 "출애굽 사건에서 모세는 백성들을 자유케 하는 전인적 해방 리더십을, 광야생활 속에서는 백성들을 일관되게 보호하고 중보하는 리더십과 협동, 분권의 리더십을 보여준다. 일반적 리더십으로 정리하면 모세는 윤리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을 갖고 있었다." 조영호 박사(안양대 교수)는 출애굽 사건 속에서의 모세 리더십(출애굽기), 광야생활 속에서의 모세 리더십(민수기), 모압 평지에서의 모세 리더십(신명기)을 중심으로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하는 윤리적 리더십의 전형으로 모세 리더십을 제시한다. * 이 글은 목회 현장에 직접적으로 소개되진 않았지만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매우 가치 있는 소중한 연구 결과물이 목회자와 성도들에 의해 읽히길 소망하는 한편, 본지 독자들에게 연구 가치를 소개할.. 2022. 1. 28.
[학술정보] 개혁신학회, <개혁논총> 제58권 개혁신학회 학술지 제58권(2021)에 실린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58권 저스틴 마터(Justin Martyr)의 신학 안에서 삼위일체론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 김용준 섭리론의 요소로서의 '보존'의 가치와 한계: 환경 위기 극복에 덧붙여서 / 이신열 헤르만 바빙크의 중보자 그리스도의 삼중직 이해: 창조회복으로서의 구원에 중점을 두고 / 조윤호 조나단 에드워즈의 완성된 천국 이해: 그리스도와 성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성태 교회관에 따른 교회사 인식의 차이에 관하여 / 김성욱 선교학 영역의 연구 방법론 확장을 위한 근거이론의 적용 / 배아론, 이현철 전쟁과 전염병, 개혁교회가 대처한 역사적 사례: 원리와 적용 / 류길선 2022. 1. 28.
[책] 한국교회, 기본소득을 말하다 교계 안팎으로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는 '기본소득'이라는 주제를 성서학, 조직신학, 기독교윤리학, 경제학 등 신학과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다룬 책이 나왔다. 「한국교회, 기본소득을 말하다」 / 강원돈 외 7인 저 / 새물결플러스 / 406쪽 / 20,000원 이 책은 정미현 박사(연세대 연합신대원 교수)를 비롯해 강원돈 박사(한신대 은퇴교수), 곽호철 박사(연세대 연합신대원 조교수), 김회권 박사(숭실대 인문대 기독교학과 교수), 야닉 판데르보흐트 박사(벨기엘 루뱅대 정치경제학 교수), 전강수 박사(대구가톨릭대 경제금융부동산학과 교수), 정용한 박사(연세대 연합신대원 부교수) 등 구약학자, 신약학자, 조직신학자, 기독교윤리학자, 경제학자들의 기본소득에 대한 연구결과물이 담겼다. 책은 기본소득의 본래적 취지.. 2022. 1. 28.
[세미나 안내]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제16회 예수목회 세미나 한국기독교연구소가 오는 2월 15일 오전 10시 '대전환 시대의 기독교:주여, 어디로 가오리까?'라는 주제로 제16회 예수목회 세미나를 개최한다. 온라인(ZOOM, 유튜브)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오강남 박사(캐나다 리자이나대)가 주제강연을 진행한다. 2월 11일까지 참가신청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현장 참여는 10명으로 제한된다. 현장 참여 문의는 준비위원장 양재성 목사(010-4348-994)에게 문의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일정표를 참고하면 된다. 2022. 1. 26.
[세미나 안내] 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 2월 21일 '교회와 국가의 관계' 한국개혁주의설교연구원(원장:서창원 박사, 총신대 신대원 교수)이 오는 2월 21일(월)부터 23일(화)까지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주제로 제36기 정기세미나를 개최한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이번 정기세미나는 데이비드 반드루넨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교 교수)를 비롯해 서창원 박사, 이상규 박사, 문병호 박사 등이 강사로 참여한다. 등록비는 2만원이다. 2022. 1. 26.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제32호 한국기독교학회 학술지 제32호(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32호 신의 형상과 인간 인격 / 김남호 닫힌 세계, 열린 세계: 팬데믹 시대의 그리스도인과 교회에 대한 고찰 / 서혜정 어거스틴의 감정론 / 양성만 라이프니츠의 세 원리에 근거한 과학의 형이상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클라크에게 보낸 라이프니츠의 서신을 중심으로 / 우호용 기독교철학 개념 정립을 위한 세계관의 실재론적 전회 / 이경재 소외된 자를 위한 교회의 사회복지적 책무: 사회 내 소외된 자를 섬겨야 하는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사회복지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 이관표 아담의 이름 짓기”는 과연 문화 활동인가? / 이신웅 캐런 바라드의 자연구성주의는 사회구성주의와 ANT의 대안인가? - ‘행위적 실재론’의 상보성/상호배타성,.. 2022. 1.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