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1666

장로 10명 중 8명, '사역 스트레스' 경험 * 교회연구(101) * 한국교회 장로 10명 중 8명은 교회 비전과 교인/담임목사와의 갈등 등으로 사역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장로 관련 제도 중 '장로 임기제에 대해 찬성하는 비율은 82%로 나타났다. 한국장로신문사와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지난 4월 13일부터 5월 2일까지 (주)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예장통합 교단 장로 1,074명(시무장로 850명/은퇴 및 원로장로 2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가 최근 목회데이터연구소 위클리 리포트인 '넘버스' 204호에 게재됐다. 자세히 보기(클릭). 목회데이터연구소 꼭 지켜주세요. 1) 본 자료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2) 본 자료는 저작권법을 준수하여 모든 통계 자료에 출처를 상세히 .. 2023. 8. 31.
챗GPT가 만든 설교, 설교로 인정할 수 있는가? * 설교연구(62) * "챗GPT를 통해서 설교 전체를 만들어 설교하는 것은 신학적으로나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 챗GPT가 제공하는 설교문 안에는 설교자의 고민이나 하나님과의 교제가 담겨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은 목회현장에 직접적으로 공개되진 않았지만 한국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연구 결과물을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이승우 박사의 , 개혁신학회, 「개혁논총」, 제64권(2023). 챗GPT, 거부가 답인가? 이승우 박사(대신대 교수/실천신학)는 "현재 다양한 기술을 설교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한다"라며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교회는 시대적 분별력과 .. 2023. 8. 31.
"교회, 생존 가능한가?" 월간목회 9월호 특집기사 월간목회가 이번 9월호부터 12월호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한국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목회적 해법을 모색하는 특집기사를 마련했다. '교회, 생존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첫 번째 특집기사를 실은 9월호에서는 지역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교회의 존립이 어려워지고 있는 농어촌교회 목회현장 속에서 치열하게 사역하고 있는 목회자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9월호에서는 이성범 목사(예수정안교회), 이근호 목사(이화교회), 정남진 목사(영천남부교회), 도영환 목사(상주 양평교회), 이현용 목사(임불교회)가 △생존 전략 아닌 죽음 전략이다 △성도의 유익함을 구하는 목회로 △자비량 공동목회로 교회를 회복하자 △농촌목회 생존을 위한 블루오션 전략 △선교적 동행과 연합이 살길이다 등의 글을 통해 농어.. 2023. 8. 31.
[영성포럼] 기독교학술원, 9월 8일 '에즈베리 부흥 개혁신학적 평가' 영성포럼 기독교학술원(원장:김영한 박사)이 오는 9월 8일 오후 3시 양재 온누리교회 화평홀에서 라는 주제로 제43회 영성포럼 및 기도회를 갖는다. 이날 박용규 박사(총신대 명예교수)가 발제자로 참여한다. 발표회 전에는 경건회가 진행되며, 강승삼 목사(전 KWMA 회장)가 말씀을 전한다. 2023. 8. 31.
비(非)신자의 선행, 과연 하나님이 기뻐하실까? "‘비(非)중생자의선행’은 특별은총의 관점에서 본질적으로 죄이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받으실만한 요건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일반은총의 결과로 ‘비(非) 중생자의 선행’은 가능하다. 비중생자의 선행이 비록 하나님께서 받으실 수 없는 선행이지만 사람을 유익하게 할 수는 있다 ... 하지만 비중생자의 선한 행위를 무시한다면 그것은 하나님께 더 큰 죄가 되고, 그분을 더욱 불쾌하시게 만들게 된다." *이 글은 목회현장에 직접적으로 공개되진 않았지만 한국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연구 결과물을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이병일 박사의 , 개혁신학회, 「개혁논총」, 제64권(2023년). .. 2023. 8. 28.
[학술정보] 한국개혁신학회, <한국개혁신학> 제77~78권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지 제77권, 78권(2023)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77권 외치는 자의 소리인가(콜 코레[קוֹל קוֹרֵא]),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인가(콜 코레 바미드바르[קוֹל קוֹרֵא בַּמִּדְבָּרַ])? / 신성윤 열왕기와 역대기의 여호람 기사 비교를 통해 본 역대기 저자의 의도 / 황선우 베드로전서의 권면적 동기에 관한 고찰: 베드로전서 1:3-25에 나타난 “이미와 아직” 개념을 중심으로 / 이기운 제11차 WCC 총회 주제 분석과 개혁주의 시각에서의 평가 / 이은선 성육신의 윤리: 디트리히 본회퍼의 성례전적 ‘현실’ 해석에서 그리스도론의 자리 / 김수연 제78권 성서 히브리어 명사구문 어순에 관한 연구 개관 / 김성진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치유와 축귀.. 2023. 8. 28.
[학술정보] 기독교학문연구회, <신앙과 학문> 제28권 1~2호 기독교학문연구회 학술지 제28권 1~2호(2023)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28권 1호 교회공동체의 법 이해와 준수 / 고세일 취향과 기독교: 기독교적 입장에서 본 취향간의 갈등 해결 / 김종원 19-20C초 중국어 12종 성경의 문체와 그 판본에 나타난 “성령(聖靈)” 어휘 유래 고찰 / 소은희 한국어교육의 문화 통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특수목적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 이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종교’교과 「삶과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종교교과의 목적을 중심으로 / 정문선 종교개혁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의 문제: 2015 개정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권태경 OECD가 제시한 미래역량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의 한 시도 / 강영택 자유민주주의와 교회 정치 / 이.. 2023. 8. 28.
[학술정보] 기독교통일학회, <기독교와 통일> 제14권 1호 기독교통일학회 학술지 제14권 1호(2023)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한반도 평화교육의 방향 탐색: 남북한 주민 갈등과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 신효숙 한반도 통일에 관한 하나님의 뜻과 교회와 성도의 역할 / 한숙원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북한 용서 개념, 가치 / 김경숙 2023. 8. 28.
[학술정보]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제35권 개혁주의생명신학회 학술지 제35권(2023)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화란개혁주의 관점에서 조명한 개혁주의생명신학 / 안인섭 ‘오직 은혜로(sola gratia)’의 종교개혁기의 의미와 오늘의 적용 / 이은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명제의 개념 개략도 / 이춘길 성령의 은사는 중지되었는가? / 신현우 개혁신학의 종교개혁적 성경관: 칼빈의 성경 이해를 중심으로 / 김요섭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에 나타난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논지 분석 / 안수강 ESG 기반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성 모색 / 장유정, 박현정 2023. 8. 28.
[학술정보] 개혁신학회, <개혁논총> 제63~64권 개혁신학회 학술지 제63권, 64권(2023)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63권 이단의 도전과 교회의 대응 / 박응규 성령과 공동예배의 기도: 개혁주의 예배 회복을 위한 제언 / 주종훈 터툴리안(Q. S. F. Tertullianus)의 삼위일체론 연구: 신앙의 규범(Regula Fidei)에 근거한 용어 사용을 중심으로 / 김용준 중세의 성찬논쟁과 화체설 교리의 발달 / 정원래 율법과 복음에 관한 로마 가톨릭의 현재 입장: 새 관점(New Perspective) 학파의 주장과 비교하여 / 문홍선 Is James 2:1-7 Simply a Moral Teaching? / 이기운 빌립의 복음전도와 선교적 적용: 사도행전 8:26-40을 중심으로 / 배춘섭 마테오 리치의 신학 사상 비평적 분석: 『천.. 2023. 8. 28.
[학술정보]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신학과 사회> 제37권 1~2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학술지 제37권 1~2호(2023)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37권 1호 Systemsprenger -„neuer Wein in alten Schläuchen“ oder ein neues Paradigma in der deutschen Kinder- und Jugendhilfe? / Peter Hansbauer 사회경제적 관점으로 읽는 전도서의 소박한 행복과 ‘탈성장’ / 김순영 에브라임 족보와 정착 전승의 의미(대상 7:20-29) / 이미숙 식민지 여성의 저항 관점에서 본 음녀 환상(계 17장)의 연구 김혜란 개신교 '경험신학'의 원천으로서의 경건주의: 고트프리드 아놀드의 『경험신학』(Theologia experimentalis)을 중심으로 / 이상조 Politi.. 2023. 8. 28.
[학술대회] 한국실천신학회, 9월 16일 '건강한 교회 세우기' 한국실천신학회(회장:서승룡 목사/새전주중앙교회)가 오는 9월 16일(토) 오전 10시 분당 한신교회(윤교희 목사)에서 '제89회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날 학술대회는 '건강한 교회 세우기'라는 주제로 분과별로 교회 사례 발표 후 신학적으로 분석하는 시간으로 진행된다. 2023. 8.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