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분류 전체보기1666

[콘퍼런스 안내] 문화와설교연구원, 8월 8~9일 '제12회 튤립 콘퍼런스: 4인4색 교회통찰' 문화와설교연구원(원장:신동식 목사, 빛과소금교회)이 오는 8월 8일(월)~9일(화)까지 흩어진평화교회에서 '제12회 튤립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4인 4색 교회통찰'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튤립 콘퍼런스에는 이연우 목사(한빛교회 대학청년부), 주종훈 박사(총신대 교수), 성인경 목사(라브리공동체 한국대표), 한병수 박사(전주대 선교신학대학원장) 등이 강사로 참여한다. 2022. 7. 25.
펜데믹 시대의 설교: 지적과 정죄 아닌 공감과 위로 선포해야 * 설교연구(58) * "코로나 블루 시대에는 지나친 낙관론적 설교, 정죄하는 설교, 인과응보의 설교, 음모론 설교, 지나친 신정론에 집중하는 설교를 피해야 한다. 반면, 성도들에게 위로와 소망을 줄 수 있도록 지적과 정죄보다는 공감해주는 설교, 복음이 근본적 위로임을 선포하는 설교, 하나님을 드러내는 설교, 종말론적 설교 등을 추구해야 한다." 이송우 박사(대신대 교수)는 코로나19 펜데믹의 장기화는 사람들에게 스트레스와 무기력, 우울감을 안겨주는 등 정신건강을 해치고 있다며 코로나 블루 시대의 설교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 이 글은 목회 현장에 직접적으로 소개되진 않았지만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소중한 연구 결과물을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 2022. 7. 16.
[학술정보]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제79호 한국실천신학회 학술지 제79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한국개신교 추모예식에 대한 예전적 제언 / 안덕원 미디어에 물든 기독교 신앙: 코로나 기간 동안의 경험을 통해 살펴 본 온라인 예배의 의미와 한계 / 이민형 포스트코로나(Post-Covid) 시대의 청소년 예배 / 양승아 오늘날 예배 갱신에서 음악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유형들 고찰 / 주종훈 Covid-19 위기 대처에 관한 예배학적 성찰과 “With/Post” 코로나-19 시대의 예배 학적 미래전략 / 오성욱 설교에 대한 두뇌의 이해방식과 양자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김병석 이야기식 설교 (Narrative Preaching), 잘 되어지고 있는가? / 조형진 기도의 언어와 경험: 현대적 언어-경험 이해맥락에서 재해석되는..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2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2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누가복음에 나타난 식사의 ‘공간적 전환’ - 누가복음 15장을 중심으로- / 정복희 부자와 거지 나사로 비유(눅 16:19-31)에서 경계선 모티브: 누가의 경계넘기 신학 / 박영권 누가행전에 나타난 ‘돌아옴’의 회개적 의미: 사회적, 제의적, 종교적 회개 / 박명철 새로운 사도행전 본문 네스틀레- 알란트 28판과 대비평본의 차이점들 / 조재천 혐오 감정의 사회수사학 - 그레코로만 문헌과 고대 유대교 문헌의 혐오 언어에 관한 서설 / 이상목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설교학회, <설교한국> 제15권 한국설교학회 학술지 제15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설교에서 애통의 중요성과 그 실천의 윤리적 함의 / 구아름 존 웨슬리의 구원론 안에서 설교와 세례와 성찬의 관계 연구 / 김진영 위-디오니시우스의 부정신학과 부정의 방식으로서의 설교 / 이상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설교하라! : 설교를 위한 렉시오 디비나 활용에 관한 연구 / 조영창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0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0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의 영적 생명력: 공동체로서의 교회 회복과 세이비어 교회의 사례 / 권문상 츠빙글리와 재세례파의 관계 / 박찬호 그리스도의 속죄의 범위에 있어 충분성과 유효성에 대한 존 다버넌트와 칼빈의 인식 / 김재용 기쁨의 희망, 교회의 기쁨 - 위르겐 몰트만과 디트리히 본회퍼의 ‘기쁨’에 대한 신학적 담론 / 김성호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를 위한 신학 - 『거룩한 신학의 학문』(1883)을 중심으로 - / 이상웅 말씀과 체험으로부터의 인식론을 넘어 성경으로부터의 인식론으로: 토대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오승성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역사신학논총> 제39권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지 제39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언약사상에 나타난 쌍무성: 중세 후기의 언약개념과 종교개혁자들의 언약사상 비교 / 김효남 그리스도의 주권적 통치에 대한 고백과 헌신: 제2스위스 신앙고백(1566)의 교회론 연구 / 김요섭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의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天主實義』 분석 / 안수강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칼빈주의 개념 고찰: 벤자민 B. 워필드의 칼빈주의 이해를 중심으로 / 류길선 해방정국 신탁통치 반대 국민대회와 기독교 / 이영식 한국 교회의 아프리카 선교사역과 한국문화의 국제화 / 이은선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제38권 한국목회상담학회 학술지 제38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COVID-19 상황 속에서 갈등하는 목회자를 위한 돌봄 과제: 강박적인 목회자 정체성으로 인해 형성되는 목회자 갈등을 중심으로 / 고유식 정동 이론과 목회 돌봄에의 함의 / 김수영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과정 : 질병으로 인한 배우자 사별을 중심으로 / 김현숙, 손철우 맞벌이 여성의 미취학 자녀 양육갈등 경험 / 이경미, 여한구 비출산의 선택하는 젊은 세대를 위한 사유: 하갈에게 주는 엘로이의 위로와 희망 / 이미영 목회상담에서의 ‘성숙한 역전이’: 구원환상에 대한 상호주관적 이해의 재고 / 이재현 안톤 보이슨의 생애와 공헌 / 이효주 체계이론과 사회구성주의를 중심으로 한 가족치료 이론의 가족관(家族觀)과 기독교적 가족관의 비교..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제33호 한국기독교철학회 학술지 제33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이원론 대 혼합주의: 한국 기독교 세계관의 재구성을 위한 제안 / 김기현 기술주의 극복을 위한 생태적 기독교 세계관 / 박관수 세계관과 철학의 관계 - 신 칼빈주의를 중심으로 / 조영호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 최용준 불안과 일상성: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불안관을 중심으로 / 김완종 신학적 인간 이해에 관한 시론- 생태-관계적 인간론을 중심으로 / 김종만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 연구 / 성용구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의 발전과 그의 인식론적 기회주의: 마하와의 관계 속에서 발전한 아인슈타인의 시공간에 관한 인식론의 역사적 여정을 중심으로 / 전대경 2022. 7. 13.
[학술정보] 한국교회사학회, <한국교회사학회지> 제61집 한국교회사학회 학술지 제61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무굴 황제와 예수회 선교사의 문화 종교적 대화: 거룩함의 거울의 텍스트와 세밀화 분석을 중심으로 / 김지인 최근 북미의 아나뱁티스트 연구 동향: 교회론을 중심으로 / 전인성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1560)에 나타난 교회재산의 재분배 규정에 대한 고찰 / 이성진 목회와 신학에 있어서 회중론의 의의에 관한 연구: 교회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안교성 교리서의 번역·출판을 통해 살펴 본 19세기 동아시아 기독교 용어의 유통과 형성: [미이미교회문답]을 중심으로 / 이혜원 간호선교사 에스더 L. 쉴즈의 한국 사역 / 권평 한국 도시산업선교회의 선구자 조지송 목사의 활동과 사상 / 정병준 [예수셩교문답](1881)의 변천사: [셩경문답](1.. 2022. 7. 13.
[학술정보] 기독교통일학회, <기독교와 통일> 제13권 1호 기독교통일학회 학술지 제13권 1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츠빙글리의 국가론에 근거한 통일을 향한 기독교의 책임 / 안인섭 현재와 미래의 북한교회 유형과 한국교회의 과제 / 김의혁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기독교 유아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 / 정희정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학부 교양 수업을 중심으로 / 김주연, 안한나 2022. 7. 13.
[학술정보] 개혁주의생명신학회, <생명과 말씀> 제32권 개혁주의생명신학회 학술지 제32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예수생명”의 확신 ㆍ선포 ㆍ위로 ㆍ경고 : 요한신학의 새관점과 개혁주의생명신학 / 정종성 신학은 학문인가? : ‘현대주의 신학’의 신학 이해와 비평 / 이순식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Free Will and Grace in Augustine of Hippo / 박찬호 아브라함 카이퍼의 근대성 이해 : 스톤강좌의 문화 이해를 중심으로 / 조영호 사도행전의 침례 : 사도행전 2장 38절을 중심으로 / 조재형 2022. 7.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