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1133

코로나19 시대에 주의해야 할 세 가지 '기독교 음모론' "코로나19 시대에 백투예루살렘 음모론, 백신 음모론, 적그리스도의 세계지배 음모론이 나타나고 있다. 개인의 정치적인 성향이나 실체가 없는 음모론에 근거하여 성경을 해석하게 된다면 그것이 이단사설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교회는 극단적 세대주의자들의 종말론을 경계하고 올바른 성경해석을 통해서 건강한 그리스도인, 건강한 교회를 만들어내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김남일 박사(배석대학교 교수/기독교와 문화)는 백투예루살렘 음모론, 백신 음모론, 적그리스도의 세계지배 음모론에 대해 비판하면서 "코로나19 시대에 증명하기 어려운 각종 음모론이 활개 치고 있다. 음모론을 극복하는 방법은 가장 객관적인 정보를 쉬지 않고 내보내는 것이다"라고 강조한다. * 이 글은 목회 현장에 직접적으로 소개되진 않았지만 교회.. 2021. 11. 11.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음악학회, <기독음악-문화> 제4권 한국기독교음악학회 학술지 제4권(2019)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4권 선정적 아이돌음악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김세진 경배와 찬양 예배 콘텐츠 제작을 위한 효과적인 드럼 설치방법 연구 / 김장순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음향체제로의 새로운 접근 -무지향 스피커: 오메가 개발을 중심으로 / 김종성 우리말의 장단과 강세를 활용한 찬송가 선율작법 / 천봉화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회, <기독교 사회복지> 제3권 한국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회 학술지 제3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3권 嶋田啓一郞 사회복지이론(社會福祉理論)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사회복지와 사회체제를 중심으로 / 함세남 중견 사회복지사 자신의 직업적 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배진형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장로교신학회, <장로교회와 신학> 제16권 한국장로교신학회 학술지 제16권(2020)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16권 한국장로교와 사회적 책임 / 박용규 한국교회의 장애인 사역과 사회참여 / 박응규 강태국 박사의 민족복음화 운동과 애국사상/ 박태수 코로나19 이후 상황에서의 성경적 교회의 모습과 성경적 목회 / 이승구 시대의 빛과 소금, 새문안교회 대학생회 / 탁지일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역사신학논총> 제38권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학술지 제38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38권 Augustine’s Theology of Deification: His Christian Response to the Platonic Concept of Deification / 조동선 보나벤투라의 성경에 대한 이해 / 정원래 푸치우스의 “흑사병에 대한 영적 해독제” / 권경철 조나단 에드워즈의 교회론 : 언약공동체로서의 교회 / 한동수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원론 : 성향적 구원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성태 일제 문화정치 초엽 김활란의 신앙정체성 분석: 설교문 “두려워하지 마라”(1921)와 찬송 가사 “풍랑에셔 구원함”(1921)을 중심으로 / 안수강 2021. 11. 10.
[학술정보]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신학과 사회> 제35권 1-3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학술지 제35권 1-3호(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35권 3호 로마제국과 바울의 선교 전략: 로마서 13장 1-7절에 투영된 팬데믹 시대의 ‘현명한’ 복음 / 김종현 넘어감과 머무름 ― 하나님을 아는 방법에 대한 위-디오니시우스와 장 칼뱅의 견해 연구/ 김효석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 한경미 하나님 선교에 참여하는 생명 목회 연구/ 김성준 사회복지실천과 영성: ‘영성복지’의 이론화 작업의 일환으로 / 전명수 제35집 2호 ‘과도기적(過渡期的) 나실인’ 삼손 - 사사기 13장을 중심으로/ 장석정 로마교회의 약한 자와 강한 자의 갈등과 바울의 권면: - 로마서 14:1-15:13을 중심으로 / 정복희 ‘코로나 19.. 2021. 11. 10.
[학술정보] 혜암신학연구소, <신학과 교회> 제15권 혜암신학연구소 학술지 제15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15권 물질적 부와 기독교 영성 : 혜암신학연구소 2021년 상반기 학술세미나: ‘현대 사회의 물질주의와 기독교 영성’ / 김영한, 강근환,이은혜,김균진 마르크스의 물질주의와 기독교 영성 : 혜암신학연구소 2021년 상반기 학술세미나: ‘현대 사회의 물질주의와 기독교 영성’ / 강원돈, 강근환,박명수,홍인식,김균진 아우구스티누스와 영성 : 탐욕이 미덕인 시대에 다시 읽기 / 문시영 청교의 영성과 공화주의/ 이양호 코메니우스의 영성과 인문주의 정신 / 정일웅 경건과 디아코니아 / 이승열 웨슬리의 영적 감각 사상과 칸트 이후 신(神)-인식론/ 남기정 칼 바르트(Karl Barth)의 영성 :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화해론에서 기독론적 ..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54권-55권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학술지 제54-55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55권 1882년 이수정의 도일(渡日) 과정에 대한 재검토: 임오군란 당시 공훈(功勳)과 신분을 중심으로 / 김일환 고양읍교회의 설립과 성격에 관한 연구 / 홍민기 1924년 강경공립보통학교 신사참배 거부사건에 대한 재검토 / 한규무 최태용과 무교회주의: 김교신·우치무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류대영 권세열 선교사의 생애와 한국교회에 남긴 공헌/ 정병준 한국기독교세계봉사회의 지역사회개발사업 연구/ 김가흔 한국기독교의 태극기 인식과 그 흐름에 대한 소고 / 홍승표 기혼 여선교사의 정체성과 선교사업의 역동성을 탐구한 첫 미시사(조선혜, 『매티 노블의 선교생활, 1892-1934』,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 김진연 제54권 한..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대학선교학회, <대학과 선교> 제47권-49권 한국대학선교학회 학술지 제47-49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49권 기포드강좌에서의 ‘자연’의 재구성을 위한 시도들 - 바버, 미즐리, 브룩 & 칸토어를 중심으로 / 백충현 Religious Traditions as Pieces in a Jigsaw Puzzle? Reflection on Jeffery Long’s Neo-Vedantic Pluralistic Theology from a Christian Theological Perspective / 김효석 포스트휴먼 시대에 몸의 의미와 신학적 전유 - 그레이엄 워드의 ‘횡단신체성’을 중심으로 / 고형상 코로나19 시대 “함께 살아감”을 위한 기독교 윤리 / 이동호 나사렛교회의 정체성에 대한 종합적 연구 / 최두현 요한 잘로모 제믈..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32권 1-3호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학술지 제32권 1-3호(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32권 3호 성소수자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영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김나나, 권수영 불안하고 공격적인 아동의 놀이와 상담자의 역전이 사례연구 / 김다혜 40대 기독교 남녀의 비혼 경험에 관한 연구 / 김용우 어린이집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인식, 자기조절능력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 김지혜 개신교 남성목회자의 재혼 경험 연구 / 박화영, 한재희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 방희조 선교사의 선교지에서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여성 선교사 중심으로 / 윤선영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워킹맘의 일과 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성경신학회, <교회와 문화> 제44권 한국성경신학회 학술지 제44권(2020)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44권 욥기를 어떻게 이해하고 설교해야 하는가? / 이승구 욥기의 구조와 신학 / 강규성 욥기 38:1-42:6의 하나님 말씀의 의미 / 현창학 욥기 42:1-6에 나타난 회개의 의미 / 장세훈 누가-행전의 평화와 3.1운동의 평화 / 송영목 데이비드 웰스가 말하는 현재 복음주의 운동의 문제점들과 개혁 방안 / 이승구 2021. 11. 10.
[학술정보]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제 62집-64집 한국조직신학회 학술지 제62집-64집(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64집(2021.09) 포스트자본주의와 기독교의 조에(zoe)로서의 생명 이해 / 김수연 종교적 믿음과 종교적 경험의 관계에 대한 고찰 ― 분석종교철학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효석 과학시대, ‘신’에 대한 현대 자연신학의 논의 ― R. 스윈번과 R. 스태나드의 신 이해 그리고 신정론에 대한 대답들 / 이관표 팬데믹(Pandemic) 시대 교회와 신학의 과제 / 이찬석 헤르만 바빙크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교부신학적 재고 ― 필리오케(Filioque)를 중심으로 / 이충만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교회론의 인간학적인 기초 / 천현숙 존 웨슬리의 구원론 탐구 ― 그의 인간론의 관점에서 / 최승태 현대 오순절 신학의 성령 중심 오.. 2021. 11.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