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역사와 신학

진정한 부흥은 개인-교회-사회 변화의 동력

by 데오스앤로고스 2024. 1. 2.
728x90
반응형

 

"부흥은 내면의 변화일 뿐 아니라 내면의 변화가 교회와 사회로 외연되는 동력이 되지 못하면 그것은 진정한 부흥이라고 할 수 없다. 영적인 변화와 각성보다 외적인 변화와 개혁을 우선시할 경우 사회복음주의 혹은 민중신학과 같은 양상을 띠게 되지만 영적인 변화와 각성은 개인-교회-사회로 연결되는 건실한 변화의 에너지가 될 수 있다."

 

이상규 박사(백석대 석좌교수)의 주장이다. 이 박사는 연구논문에서 영국과 미국의 부흥운동, 한국의 부흥운동의 흐름과 역사를 중심으로 사회변화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개인의 영적 각성과 교회 부흥의 의미를 정리한다.

 

 

*이 글은 목회현장에 직접적으로 공개되진 않았지만 한국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연구 결과물을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이상규 박사의 <영적 각성과 사회변화:영적 각성은 사회변화를 동반하는가?>, 개혁신학회, 「개혁논총」, 제65권(2023년).

 

 

세상을 바꾸는 그리스도인

이 박사는 "영적 갱신과 변화를 경험한 그리스도인은 신자다운 삶을 추구하게 되고, 변화된 삶의 태도와 가치관은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충실하여 교회를 변화시켰고, 교회의 변화된 에너지는 그 시대 사회에도 영향을 주었다"라며 "진정한 부흥은 개인과 교회, 그리고 사회변화의 동력이 될 수 있다"라고 강조한다.

 

이 박사는 존 웨슬리, 조지 휫필드, 조나단 에드워즈 등 영국과 미국의 영적대각성 운동을 주도했던 지도자들을 소개하면서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한 사람의 내면의 각성과 변화는 개인과 교회, 교회와 사회로 외연되는 변화의 에너지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진정한 부흥은 무엇인가?

이 박사는 "‘부흥’이라고 말할 때 단순히 수적인 성장이나 외적인 확장 정도로 이해 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것은 부흥의 외적 결과일 뿐 보다 우선하는 것은 인간 내면의 변화와 각성이라고 할 수 있다"라며 "역사적으로 보면 진정한 각성이나 영적 부흥은 개인의 삶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교회를 변화시키고, 그것이 그 사회 변화의 동인(動因)이자 동력(動力)이 되었다는 점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한다.

 

부흥은 어떻게 오는가?

이 박사에 따르면 영적 각성과 부흥은 몇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부흥은 성경 중심, 성경연구, 사경회(査經會), 혹은 말씀의 선포와 깊이 관련돼 있다.

 

둘째, 부흥을 위한 간절한 기도, 곧 ‘간구’가 부흥의 기초가 되었다. 기도한다고 부흥이 보장된 것은 아니지만 기도 없이는 각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셋째, 부흥의 역사를 불러 일으켰던 가장 현저한 특징은 죄의 고백이다. 통회와 자복은 하나님의 역사를 불러일으키는 통로다.

 

넷째, 부흥에 대한 소식들이 도전과 자극을 주었다. 부흥운동의 역사에서 다른 지역의 부흥에 관한 소식과 전언이 상호 영향을 주고 새로운 부흥을 불러일으키는 동기가 되었다.

이 박사는 "중요한 사실은 부흥을 불가피하게 만들어 주는 어떤 인과 원리를 정법화(定法化)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라며 "영적 각성이나 부흥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기쁘신 뜻(엡 1:5)에 속하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한다.

 

728x90

 

사회를 변화시킨 대각성운동

웨슬리 형제와 조지 휫필드를 중심으로 한 영국의 대각성운동을 소개한 이 박사는 "복음주의자들의 전도와 설교는 직접적으로 불신자의 회심과 영혼의 구원 등 영적 각성운동이었고, 사회 개혁 프로그램을 설파하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교회와 사회를 개혁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라고 소개한다.

 

즉, 웨슬리와 휫필드가 활동할 당시 18세기 산업혁명 전후 영국사회는 도덕적으로나 윤리적으로 타락한 시대였고, 교회는 합리주의 혹은 이신론(Deism)의 영향으로 나태했고 영적으로 무기력했으며, 빈부차는 심화되었는데, 복음주의 부흥운동으로 인해 영국 교회의 쇄신과 더불어 영국 사회 개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

 

이 박사는 "대각성운동은 개인과 교회의 변화뿐만 아니라 노예제도 폐지운동의 전개, 학교 설립 및 교육의 쇄신, 병원과 고아원을 비롯한 모자원과 구빈원의 설립, 감옥개선운동, 노동조합 및 노동운동 등 영국사회를 변화시킨 변혁의 동인이 됐다"라고 강조한다.

 

데오도르 후릴링허이젠, 길버트 테네트, 조나단 에드워즈, 찰스피니 등을 중심으로 미국의 제1차, 제2차 대각성운동을 소개한 이 박사는 "신학교를 비롯한 여러 고등교육 기관의 설립, 매춘과 도박 금지 등 사회정화운동의 활성화, 노예제도 폐지와 노예해방에 기여, 여권 신장 기여, 절제 및 금주운동을 통한 금주법 제정 기여 등 영적 각성운동은 미국의 정치운동에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라고 소개한다.

 

 

한국의 부흥운동이 끼친 영향

특히 이 박사는 평양대부흥운동과 같은 한국의 부흥운동 또한 한국사회에 변화를 주었다고 소개한다.

 

첫째, 가정과 결혼에 대한 새로운 이식을 가져왔다는 것. 부흥을 통해 새로운 삶을 결단한 이들은 부부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되었고, 축첩이나 중혼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게 돼 남존여비 사상을 극복과 조혼 풍습도 서서히 사라지게 했다는 설명이다.

 

둘째, 여성 인권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했다는 것. 교회는  남성중심의 사회 구조에 저항하고 여성들을 위한 교육과 의료를 시행하여 의식의 변화를 촉구했는데, 특히 부흥을 통하여 각성된 신도들은 이를 새로운 가치로 받아들이고 여성교육, 남녀차별의 철폐,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인정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셋째,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노비제와 같은 신분제도 타파에 기여했다는 것. 

 

개인의 영적 변화,
사회와 제도의 개혁보다 우선돼야

연구논문을 마무리하면서 이 박사는 "사회개혁이나 제도의 개혁보다 우선하는 것은 한 개인의 영적 변화라는 사실이다"라며 "영적인 변화와 각성보다 외적인 변화와 개혁을 우선시할 경우 사회복음주의 혹은 민중신학과 같은 양상을 띄게 되지만 영적인 변화와 각성은 개인-교회-사회로 연결되는 건실한 변화의 에너지가 될 수 있다"라고 강조한다.

 


[연구논문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적 각성이란 무엇인가?
3 부흥은 어떻게 오는가?
4 영적 각성과 사회변화
  4-1 영국에서의 복음주의 부흥운동
   4.1.1 존 웨슬리
   4.1.2 조지 휫필드
   4.1.3 영국에서의 부흥과 각성, 그리고 사회 변화
  4.2 미국에서의 제1차 각성운동
   4.2.1 데오도르 후릴링허이젠, 길버트 테네트
   4.2.2 조나단 에드워즈
  4.3 미국에서의 제2차 각성운동
   4.3.1 찰스 피니
   4.3.2 부흥과 교회 및 사회변화
  4.4 한국에서의 부흥과 사회변화
   4.4.1 1903년 이후의 부흥과 각성
   4.4.2 평양에서의 대부흥
   4.4.3 부흥과 사회 변화
5 맺는 말
RISS 검색 - 이상규 박사의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데오스앤로고스 / 무단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