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조직신학연구7

찰스 피니의 부흥운동 평가, "인위적 방법은 위험하다" "피니의 부흥 운동은 그의 신학과 새로운 방법론으로 기독교인의 수를 크게 늘렸고 노예제 폐지, 여성의 권리 확대 등 미국 사회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피니의 신학은 칼빈주의에서 알미니안주의로 바뀌었고, 그의 방법론은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   "그의 새 방법론이 부흥 운동을 더욱 촉진했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부흥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성령의 주권적 사역보다 인위적인 방법들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피니의 방법론은 다소 위험하다."           유창형 박사의 주장이다. 유 박사는 "개혁신학의 관점에 따라 그의 부흥신학과 방법론을 적절히 분석하고 평가해야 한다"라며 "피니는 인간의 완전한 타락은 부정하고 부흥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보다 인간의 역할을 중시했다. 이러한 측면은 개혁신학에 비추어 비판.. 2025. 2. 4.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2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2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탈진실의 해독제로서 비판적 실재론의 차용?: 웬첼 반 휴이스틴의 후토대주의 합리성에 대한 재검토 / 윤형철 십자가에서 극복된 무: 칼 바르트의 새로운 신정론 / 황돈형 뉴노멀 시대와 칼 바르트 교회론 -기독론 집중의 교회론 비판과 대안을 중심으로 / 박홍기 죽산 박형룡의 죄의 전가에 대한 이해 고찰 / 이상웅 능력주의와 그리스도인의 책임 - 디트리히 본회퍼의 ‘책임’과 ‘형성의 윤리’ 개념을 중심으로 / 김성호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1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1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신천지의 종말론 비판 : 『요한계시록의 실상』에 나타난 핵심교리를 중심으로 / 박태수 환경위기 극복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교리와 윤리의 관계 / 이신열 조나단 에드워즈의 『이신칭의』에 나타난 칭의 교리 이해에 대한 고찰 / 이윤석 김호식 박사의 생애와 신학 연구 / 유정선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 그 현재적 의의 및 적용 / 장호광 하나님의 선택 대상자에 대한 칼빈의 인식: 그의 주석을 중심으로 / 김재용 다원성의 도전 속의 기독교 윤리 -현대 기독교 사회윤리의 도전으로서의 ‘다원주의’의 질문 / 이상은 성품 윤리로 분석한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 형성 / 강성호 2022. 10. 6.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0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0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팬데믹과 온라인 시대의 영적 생명력: 공동체로서의 교회 회복과 세이비어 교회의 사례 / 권문상 츠빙글리와 재세례파의 관계 / 박찬호 그리스도의 속죄의 범위에 있어 충분성과 유효성에 대한 존 다버넌트와 칼빈의 인식 / 김재용 기쁨의 희망, 교회의 기쁨 - 위르겐 몰트만과 디트리히 본회퍼의 ‘기쁨’에 대한 신학적 담론 / 김성호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를 위한 신학 - 『거룩한 신학의 학문』(1883)을 중심으로 - / 이상웅 말씀과 체험으로부터의 인식론을 넘어 성경으로부터의 인식론으로: 토대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오승성 2022. 7. 13.
팬데믹 시대의 기독교 생사학, "잘 죽는 것도 중요하다" "좋은 신앙인으로 ‘잘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신앙적으로 ‘잘 죽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그리스도인이라면 마땅히 인생의 말년은 물론 평생을 영원의 관점에서 살아가면서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할 훈련을 해야 한다." "한국교회가 죽음의 존엄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는, 평안할 때만이 아니라 인간의 노력이 거의 무력해 보이는 가공할만한 대재앙 앞에서 더욱 의연하게 대처해야 하기 때문이다." 곽혜원 박사(21세기교회와신학포럼 대표)는 "지난 2년간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돌입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이 사람들의 폐부 깊숙이 각인됨으로써, 생전에 죽음을 성찰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라며 성경에 기반하여 삶과 죽음을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필요성을 주.. 2022. 2. 11.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39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39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A Consideration on Karl Barth’s Attempt to ‘Unphilosophize’ Friedrich Schleiermacher’s Philosophical Soteriology / 박재은 기독교 자연신학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알리스터 맥그래스를 중심으로 / 임영동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 곽혜원 (관련기사 보기) 2022. 1. 12.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37권-38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37-38권(2021)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제38권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에 대한 죽산 박형룡의 이해 / 이상웅 심산 차영배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연구 / 이동영 에밀 브룬너(E. Brunner)의 “만남으로서의 진리”가 지닌 교회론적 함의 / 박영범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 1623-1687)의 창조론 / 이신열 프란시스 쉐퍼의 성경관과 창조론 / 박찬호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이 강행하는 성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곽혜원 An Investigation on the Trinitarian Difference between Karl Barth and Jürgen Moltmann / 오성욱 제37권 포스트코로나 시.. 2021. 11.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