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공공성15

교회의 사유화, 기독교의 사망선고와 같다 한국기독교의 사유화와 공공성 / 이철(숭실대), 전철(한신대), 조성돈(실천신대) # 한국기독교의 사유화와 공공성 / 이철 교수(숭실대, 종교사회학) 서로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신자유주의와 마르크스주의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곧 경제가 가장 중요하며, 경제에 모든 것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둘 간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전자는 물질의 사유화를 후자는 공유화를 주창한다. 그러나 이 차이보다 더 중요한 점은 경제와 물질이 갖는 힘과 마력에 대한 양자 간의 공통된 이해이다. 사유화는 물질의 이러한 마력에 매몰된 결과이다. 신자유주의는 이 힘에 매료되어 이 힘을 더 향유하고자 사유화를 고집하고, 마르크스주의는 이 사유화의 파괴적 결과를 알기에 공유화로 나아가고자 한다. 그러나 이미.. 2015. 12. 10.
‘공공의 문제’에 관심 갖는 것은 보냄받은 교회의 사명 한국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모색 / 정재영 교수(실천신대, 종교사회학) 개신교의 공신력 약화는 교회의 활동이 공공성을 상실한 데에 기인한다. 한국 교회가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공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책임 있는 역할을 감당하기보다는 교세확장과 교회 건물 건축, 교권 유지 등 세상과는 벽을 쌓고 자기들만의 왕국을 건설하는 데에만 급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래 초기 한국 개신교는 사회 부조리를 혁파하고 새로운 가치 질서를 제시하는 선구자의 역할을 감당했지만, 오늘날의 개신교는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움직일 뿐, 공공의 선이나 선한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은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 교회 공동체의 공공성 교회 공동체 안에서 훈련된 기독교인이라면 교회 밖에서도 일반인들과는 다른 .. 2015. 12. 10.
교회의 공적책임, 역량강화와 훈련이 필수 공공신학에 기반한 교회의 사회적 책임 / 노영상 교수(장신대, 기독교윤리학) # 공공신학의 주요 명제들 ‘공공신학’이란 개념을 처음 쓴 학자는 미국의 종교사회학자 벨라(Robert N. Bellah)로 추정된다. 그는 그의 논문, “Civil Religion in America”에서 초월적인 특정한 신앙들과는 구별된 시민 종교를 “사회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공적 종교”(a common public religion)로 부르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공공신학자, 스택하우스(Max Stachhuose)는 이 공공신학을 넓은 의미로서 정의한다. 그는 신학이 ‘공적’(public)이라고 불릴 수 있는 두 가지의 근거에 대해서 말한다. “첫째는 기독교인들이 믿는 바와 같이 우리는 비밀스런 집단이 아니며, 어떤 특권층.. 2015. 1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