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1133

[책] 사도행전 신학: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 교회의 부흥과 확장, 복음의 확장을 기록한 사도행전. 그 중심에는 성령의 역사가 있었다. 그렇다면 사도행전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사도행전을 건강하고 바르게 읽을 수 있게 도와주는 신학책이 나왔다. 「사도행전 신학」 / 패트릭 슈라이너 저 / 김태형 역 / 부흥과 개혁사 / 250쪽 / 17,000원 「사도행전 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일하심, 곧 하나님의 선교를 말한다. 저자 패트릭 슈라이너 박사는 "사도행전은 삼위일체적 특징을 지닌 책으로, 하나님이 이루셔야 할 사명이 있음을 보여 준다"라고 설명한다. 또한 "성부 하나님은 높임 받으신 그 아들을 중심으로 하고 권능 입히시는 성령을 통해 진행되는, 자기 백성을 위한 하나의 계획을 가지신다. 마치 모든 시대의 하나님의 교회를 새롭게 하는 그 성전에서 .. 2023. 1. 11.
사사들이 받은 하나님의 영, "전쟁 위한 일시적인 하나님 임재" "하나님의 영이 임한 사사들이 좋은 리더로 기억되는 것은 아니다. 사사기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영은 군사적인 업적과 관련될 뿐, 그 영이 임한 사사의 신앙이나 윤리적, 내면적인 변화와는 무관하다. 그 영의 임재는 지속적이지 않고 일시적인 일이었으며, 영이 임한 사람에게 본질적인 변화를 일으키지는 않았다." "하나님의 영이 지속적으로 임재하기 시작한 것은 다윗 이후이며, 내면적, 윤리적 변화의 힘으로 역사한 것은 포로시대 이후이다." 한국구약학회(회장:서명수 박사, 협성대 교수)가 지난해 12월 9일(금) 오후 2시 중앙감리교회(담임:이형노 목사)에서 개최한 제121차 송년학술대회에서 주제발표를 한 이사야 박사(남서울대 교수)의 주장이다. 를 주제로 진행된 학술대회에서 이사야 박사는 '하나님의 영이 임한 사.. 2023. 1. 6.
[책] 구원 프로세스:성령께서 전도하시는 원리 사람이 우선되는 실용주의적인 전도 방법이 아닌 성령께서 일하시는 과정을 따르는 전도의 방법을 소개한 책이 출간됐다. 「구원 프로세스」 / 김홍만 저 / 생명의말씀사 / 96쪽 / 9,000원 * 아래 글은 생명의말씀사에서 보내온 보도자료를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우리의 전도는 성령께서 역사하시는 방법을 따르고 있는가? 성령께서 전도 중에 일하시는 과정을 조명한다 우리는 전도할 때 전도자의 역량을 중시해 각종 훈련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불신자들이 복음을 저항 없이 쉽게 받아들이도록 전도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이 모든 노력과 수고는 그 나름대로 귀하지만, 실제로 한 사람이 복음을 듣고 받아들여 구원 얻는 과정에서 성령께서 어떻게 역사하시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면, 오히려 성령의 역사와 어긋나는 전도 활동을 .. 2023. 1. 4.
기독교적 능력주의는 "선한 능력, 타자를 위한 능력" "‘능력’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책임’은 하나님께서 능력을 주신 자에게 부여하는 삶의 과제이다." 지금 능력주의 사회 아래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선한 능력’, ‘타자를 위한 능력’을 추구해야 한다." "기독교적 능력주의 윤리-교육은, 타자를 위한 교회를 넘어 타자를 위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시의 적절하고 긴급하게 요청되는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이다." *이 글은 한국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연구 결과물을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정리한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김성호 박사의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2권(2022년). 김성호 박사(서울신대 연구교수)는 디트리히 본회퍼의 '책.. 2023. 1. 4.
[학술정보]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제68권 한국조직신학회 학술지 제68권(2022.06)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앙살디와 꼬스의 ‘하이브리디티 신학’ (Hybridity Theology) ― 루터와 라깡에 기반한 Fides-Théologie-Ecritures (실재-신학-성서)의 연결에 관한 논의 / 강응섭 국가와 교회의 관계에 관한 정치신학적 고찰 ― 아우구스티누스와 함석헌을 중심으로 / 김봉근 하나님의 눈썹은 무슨 색일까? ― 비트겐슈타인 철학과 종교 언어의 문제 / 김효석 칼뱅의 성찬 신학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 토드 빌링스의 ‘실체’(substantia) 언어 분석을 중심으로 / 송용원 언어적 지평 안에 등장한 신학적 실재의 이해를 위해서 ― 데리다의 해석을 넘어서 / 황돈형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제82호 한국실천신학회 학술지 제82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미래지향적 예배를 위한 초기교회 예배 성찰과 적용 방안 연구 / 김순환 주님의 만찬으로서 성찬 성례전 방안 / 민장배, 이재민 신경증적 의례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목회 신학적 과제 - 의례의 ‘소통 기능 강화’ 필요성 연구를 중심으로 / 고유식 한글 성경 번역을 통해 본 ‘영적 예배’ 의미 톺아보기 - 삶으로 드리는 예배로서의 ‘로기켄 라트레이안 (λογικην λατρειαν)’에 대한 성찰 / 이인수 배우로 부름 받은 그리스도인, 연극으로서의 예배 / 류욱렬 하나님 나라 설교를 통한 책임공동체 형성 / 오현철 영의 밤을 통한 하나님의 사랑체험이 나우웬의 정체성 인식에 미친 영향 / 오방식 힐링목회를 위한 영성학적 힐링의 의미 고..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제29권 4호 한국신약학회 학술지 제29권 4호(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마태복음 25:1-13 다시 읽어보기: 인물의 행동 패턴을 중심으로 / 박노식 마가복음의 군대 귀신 본문 연구(막 5:1-20): 사회-정치적 접근과 제자직 주제 / 박찬웅 수로보니게 여인 에피소드 (막 7:24-30) 다시 읽기: 그레코-로만 전기의 장르적 특성을 중심으로 / 권영주 마르다와 마리아, 공간의 분리 담을 넘다 - 누가복음 10:38-42의 새 해석 / 최영숙 성령의 기억나게 하기: 요한 특유의 구약 해석 방법 / 김동수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예배를 위한 모색 -공동(체)성경읽기와 초기기독교의 예배 / 김영인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설교학회, <설교한국> 제16권 한국설교학회 학술지 제16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마틴 루터의 구원론 안에서 설교와 성찬 사크라멘트의 과제와 상호 관계 연구 /박요한 데이비드 버트릭의 현상학적 설교학 연구 : 설교의 ‘움직임’과 ‘구조’를 중심으로 / 송관석 교회의 책임성 회복을 위한 설교의 프락시스 연구 : 토마스 그룸, 월터 윙크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채정명 동성애와 차별금지법에 대응하는 설교 방안 연구 / 최광희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선교신학회, <선교신학> 제68집 한국선교신학회 학술지 제68집(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한국선교신학회와 공공신학 / 권오훈 한국선교신학회의 기원과 초기 발전역사 / 김은수 한국선교신학회 30년 역사 속에서 다룬 선교학적 중심주제들: 「선교신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 김칠성 한국 선교학의 미래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선교신학회’를 중심으로 / 박보경 한국선교신학회 30년 역사(1992~2022년) / 박영환 한국선교신학회 태동의 선구자들 / 손윤탁 한국적 선교신학의 가능성 모색: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선교신학적 담론 / 이선이 포스트코로나시대 한국교회 선교의 과제와 전망 / 전석재 한국선교신학회의 오늘의 실천적 과제 / 조해룡 한국선교신학회와 선교적 교회론 / 황병배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조직신학연구> 제42권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학술지 제42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탈진실의 해독제로서 비판적 실재론의 차용?: 웬첼 반 휴이스틴의 후토대주의 합리성에 대한 재검토 / 윤형철 십자가에서 극복된 무: 칼 바르트의 새로운 신정론 / 황돈형 뉴노멀 시대와 칼 바르트 교회론 -기독론 집중의 교회론 비판과 대안을 중심으로 / 박홍기 죽산 박형룡의 죄의 전가에 대한 이해 고찰 / 이상웅 능력주의와 그리스도인의 책임 - 디트리히 본회퍼의 ‘책임’과 ‘형성의 윤리’ 개념을 중심으로 / 김성호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복음과 실천신학> 제65권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학술지 제65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 활성화를 위한 청중의 설교 참여 방안 : 루돌프 보렌을 중심으로 / 최광희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 기독교적 소통과 공감의 가능성 연구 / 조미나 신천지에 대처하는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 송지섭 코로나(COVID-19) 이후,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비대면 활동으로 점철되는 설교적 역할에 관한 연구 / 김효성 해석학적 맥락화에 근거한 아브라함 내러티브 (갈 3:1-24) 강해설교 연구 / 이춘구 A Study of D. James Kennedy’s Social Actions and Evangelism / 윤영민 존 칼빈의 십계명 강해 - 설교학적 고찰 / 박태현 포.. 2022. 12. 29.
[학술정보]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성경과 신학> 제104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학술지 제104권(2022)에 게재된 연구논문은 아래와 같다. 구약에서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를 위한 제언: 말라기의 의사소통장치를 중심으로 / 이희성 요한계시록의 하늘 예배 장면에 대한 연구 / 강대훈 루터의 칭의론에 비추어 본 세례 이후 죄(péché)의 문제: 루터(M. Luther)와 라토무스(J. Latomus)의 논쟁과 관련하여 / 서혜정 어거스틴(St. Augustine)의 H삼위일체론(De Trinitate)H에서 Substantia에서 Essentia로 변화에 대한 연구: 보편교회 신앙의 틀 안에서 / 김용준 존 웨슬리의 두 가지 예배음악적 속성 연구 / 김용화 2022. 12.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