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한동구박사2

레위기 11장,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 규정의 신학적 의미 "레위기 11장의 음식규정은 육식허용에서 부여된 하나님의 축복, 즉 하나님의 지상 대리자로서의 축복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정결과 불결의 구별을 통하여, 무분별한 살상을 피하고, 창 1장 29절에서 추구하는 세계 공동체의 평화 이상도 성취하고자 했다."   한동구 박사(평택대 명예교수)의 주장이다.  한 박사에 따르면 레위기 11장부터 15장에는 다양한 정결 규정을 담고 있는 정결법전이 소개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1)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 규정(레 11장; 참조 신 14: 3-21), (2) 출산 이후 부인의 정화 규정(레 12장), (3) 나병 규정(레 13-14장), (4) 신체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인한 부정 규정(레 15장)은 초기에 단순한 제의적 규정으로 법적 구속력은 없었지만 점차 율법으.. 2024. 10. 25.
"야훼를 경외(두려움)하는 것"의 신학적 의미 "신에 대한 두려움은 신에 대한 공경과 완전한 신뢰를 나타내며, 그리고 신에 대한 사랑 그래서 신의 요구에 대한 완전한 수용의 표현으로도 확대된다. 뿐만 아니라, 신에 대한 경외와 사랑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나아가 세계를 향한 자신의 목표를 나타낸 것이다." 한동구 박사(평택대 명예교수)의 주장이다. 한동구 박사는 한국구약학회가 지난 9월 22일(금) 오후 1시 호서대 아산캠퍼스에서 라는 주제로 개최한 '제123차 추계학술대회'에서 일반논문 라는 제목으로 일반논문을 발표했다. 한 박사는 "야훼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다"라는 잠언 1장 7절의 말씀에서 잠언 편집자가 '경외'(하나님에 대한 두려움)라는 단어를 통해 무엇을 주장하고자 했는지에 대해 분석했다. 야훼 경외사상 잠언 1장을 주.. 2023. 10.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