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찰스피니2 찰스 피니의 부흥운동 평가, "인위적 방법은 위험하다" "피니의 부흥 운동은 그의 신학과 새로운 방법론으로 기독교인의 수를 크게 늘렸고 노예제 폐지, 여성의 권리 확대 등 미국 사회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피니의 신학은 칼빈주의에서 알미니안주의로 바뀌었고, 그의 방법론은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 "그의 새 방법론이 부흥 운동을 더욱 촉진했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부흥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성령의 주권적 사역보다 인위적인 방법들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피니의 방법론은 다소 위험하다." 유창형 박사의 주장이다. 유 박사는 "개혁신학의 관점에 따라 그의 부흥신학과 방법론을 적절히 분석하고 평가해야 한다"라며 "피니는 인간의 완전한 타락은 부정하고 부흥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보다 인간의 역할을 중시했다. 이러한 측면은 개혁신학에 비추어 비판.. 2025. 2. 4. 진정한 부흥은 개인-교회-사회 변화의 동력 "부흥은 내면의 변화일 뿐 아니라 내면의 변화가 교회와 사회로 외연되는 동력이 되지 못하면 그것은 진정한 부흥이라고 할 수 없다. 영적인 변화와 각성보다 외적인 변화와 개혁을 우선시할 경우 사회복음주의 혹은 민중신학과 같은 양상을 띠게 되지만 영적인 변화와 각성은 개인-교회-사회로 연결되는 건실한 변화의 에너지가 될 수 있다." 이상규 박사(백석대 석좌교수)의 주장이다. 이 박사는 연구논문에서 영국과 미국의 부흥운동, 한국의 부흥운동의 흐름과 역사를 중심으로 사회변화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개인의 영적 각성과 교회 부흥의 의미를 정리한다. *이 글은 목회현장에 직접적으로 공개되진 않았지만 한국 교회를 사랑하는 신학자들의 깊은 고민과 애정이 담긴 가치 있는 연구 결과물을 본지 독자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일부 .. 2024. 1. 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