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성경과 신학

잠언 설교,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할까?

by 데오스앤로고스 2016. 1. 7.
728x90
반응형

 

* 설교연구(16) * 


 

 

김성진 교수, 복음주의구약신학회 논문발표회서 ‘잠언 분석을 위한 해석학적 제안’ 발표

 

2015년 3월 23일 기사

 

구약성경의 ‘잠언서’는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통일성이 없어 목회자들이 설교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고 한다. 그렇다면 잠언서를 어떻게 분석 혹은 해석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회장:김지찬 교수, 총신대)가 지난 3월 21일(토) 오전 10시 안양대 아리관 CEO룸에서 개최된 ‘제26차 논문발표회’에 발제자로 참여한 김성진 교수(아신대, 구약학)는 잠언 해석방법에 대한 3가지 제안을 내놓았다.

김성진 교수는 “잠언 1~9장은 아버지가 아들에게 지혜로 대변되는 삶의 원리를 교훈과 훈계의 양식으로 제시하고 있어 일관된 주제를 바탕으로 통일된 구조를 보이고 있지만 10장 이후의 ‘문장 잠언’들은 특별한 편집 의도나 문학적 주제 없이 수집된 개별적 잠언의 모음집처럼 보여 문학적 통일성이 결여돼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따라서 독자들로 하여금 잠언을 한 권의 책으로 인식해 전체론적인 관점에서 잠언을 통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했다”며 “하지만 최근 잠언의 유기적 통일성을 전제로 보다 큰 문맥 안에서 개별 잠언들을 연구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따라서 문학적으로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는 잠언을 해석할 때 잠언이 갖는 문학적 특이성을 분석해 잠언 전체 및 개별 잠언의 의미를 파악하는 해석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번에 발표하는 연구논문은 이론적인 접근이라기보다는 실제적인 접근이다. 즉, 잠언을 해석하고 설교해야 하는 목회자와 신학자들에게 잠언의 문예적 특징을 보다 더 쉽게 이해하고 개별 잠언이 속한 문맥과 또한 전체 문맥 속에서 잠언을 해석하는 방법론에 대한 제안”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잠언 분석을 위한 해석학적 제안’이란 제목의 연구논문에서 김 교수는 주제적 접근, 전체론적 접근, 세부적 접근이라는 세 가지 해석학적 방법론을 제시했다. 특히 잠언 분석의 예로 잠언서에 나타난 ‘인간 관계’에 대한 원리를 세 가지 접근 방법으로 분석했다.

김 교수는 “잠언서의 핵심인 ‘지혜’의 중심에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창조질서 가운데서 형성된 인간관계를 어떻게 유지하고 발전시킬 것인가라는 실제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잠언에서 ‘이웃’ 혹은 ‘친구’라는 개념은 모든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폭넓은 개념으로 제시한다”며 “특히 ‘우정’이라는 주제는 친밀한 친구관계를 뛰어넘는 다양한 차원의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윤리적 원리로 나타나는 만큼 이 주제를 중심으로 잠언 분석을 위한 세 가지 해석학적 접근 방법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김성진 교수가 발표한 연구논문의 주요 내용이다.

1. 주제에 따른 잠언 분석(Topical Approach)

잠언서의 문학적 특징은 삶에 대한 다양한 주제가 특별한 질서나 배열 없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임의적 배열과 주제의 다양성은 독자들로 하여금 잠언의 문학적 통일성에 의구심을 갖게 하며, 또한 이러한 의구심은 잠언해석에 있어서도 반복되는 내용에 대한 심의 있는 분석이나 통합적인 접근이 없는 파편적인 접근을 유도하고 있다.

반복되는 주제에 대한 분석의 핵심은 히브리 문학의 ‘반복’에 대한 이해이다. 따라서 잠언에 나타나는 동일하거나 비슷한 주제의 반복은 잠언 편집자의 문학적 의도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잠언에 대한 주제별 접근 방법은 가장 실제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잠언 자체의 문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잠언이 전하고자하는 특정한 주제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이다.

첫째, 선택한 주제에 합당한 잠언구절을 수집하는 것이다. 특정한 문학적 배열이나 질서 없이 산발적으로 나타나는 개별 잠언들이 공통의 주제를 갖고 있을 때, 이를 모두 모아서 그들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주제별 분석의 첫 단계다.

이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특정한 주제를 갖는 개별 잠언을 검색해 이를 수집하는 단계다. 최근에 발달한 성경 소프트웨어의 검색기능을 통해 특정한 주제를 갖는 개별 잠언들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 관계의 원리’에 대한 잠언을 검색하기 위해 ‘친구’, ‘이웃’, ‘다른 사람’, ‘사랑하는 자’ 등 연관된 세부 키워드를 검색해 이와 관련된 잠언을 수집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집된 잠언을 ‘반복’과 ‘강조’의 원리로 분석하는 것이다. 수집된 개별 잠언을 반복적으로 읽다가보면 그 가운데 동일한 내용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히브리 문학을 해석함에 있어서 ‘반복’에 대한 의견은 상반적으로 나타나긴 하지만 ‘반복’은 히브리 지혜 문학의 중요한 특징이다.

반복되는 잠언 구절을 분석해 대주제와 소주제로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현대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고대 히브리인들의 문학을 현대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분석해 정리하는 단계다.

 

 

셋째, 정경 안의 다른 성경과 비교 분석해야 한다. 특정한 주제를 담은 잠언들을 수집, 분석해 정리한 후에 해야 할 작업은 다른 성경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잠언은 다른 성경과 비교할 때, 독특한 신학적, 문학적 경향을 드러내는 것이 분명하지만 정경이라는 큰 틀 안에서 동일한 주제를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안에서 특정한 주제를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파악해 비교 분석할 수 있다면 잠언의 가르침이 정경적으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잠언 안에서 발견된 특정 주제에 대해 수집, 분석, 비교를 마쳤다면 마지막으로 해야 할 일은 현대인들의 삶에 적용하는 것이다. 잠언의 가르침이 상당 부분 현대인들의 삶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 진리를 담고 있기에 적용에 큰 어려움은 없지만 이를 현대인들의 실제 삶 속에서 다양한 원리와 실례로 적용해 설명한다면 더 큰 유익이 있을 것이다.

2. 전체론적 접근(Macro-Level Approach)

잠언을 통일된 구조를 가진 한 권의 책으로 보고 잠언서가 특정한 주제에 대해 전하는 통합적인 관점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전체론적 접근 방법은 잠언서를 주제적으로 일관성 있고, 형식적으로는 통일성 있는 작품으로 인식해 잠언서 전체 구조 속에서 특정한 주제를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다.

이러한 방법론이 주는 유익은 잠언서 자체의 내적인 구조 속에서 잠언서 전체가 전하는 가르침을 일관성 있게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체론적 접근을 위한 해석학적 전제는 잠언서의 문학적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잠언서 구조에 대해 많은 학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모든 학자들이 인정하는 것은 잠언 1-9장은 10-31장의 서론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잠언 1-9장은 10-31장에 대한 서론적 역할을 한다는 잠언의 기본적 구조를 잠언해석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전체론적 접근은 잠언 1-9장은 10장 이후에 나타나는 개별 잠언의 서론으로 일반적으로 추상적인 가르침을 전하고, 10-31장은 1-9장이 전하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원리를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실제적인 예를 통해 설명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해석학적 원리는 인위적인 것이 아니고 잠언서 자체가 갖는 내재적 문학 특성 속에서 발견한 것이다. 잠언 1-9장은 아버지가 아들에게 전하는 삶의 지혜로 다양한 주제에 대해 교훈과 훈계의 문학적 장르를 사용해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삶의 원리를 전하고 있다. 그러나 10-31장에 나타나는 개별 잠언들은 짧고 간결한 문장 잠언을 사용해 1-9장에서 아버지가 교훈한 삶의 원리들을 다양한 상황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다시 발하면 잠언의 최종 편집자는 1-9장에서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원리를 전하고, 이러한 원리에 대한 적용과 실례를 10장 이후에 기록해 ‘원리-적용’이라는 문학구조를 바탕으로 잠언을 한 권의 통일성 있는 책으로 편집하려고 시도했던 것이다. 이러한 해석학적 원리를 사용해 잠언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이 바로 전체론적 접근 방법이다.

 

 

3. 세부적 분석(Micro Level Approach)

세부적 분석 연구의 기본 전제는 개별 잠언이 독립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고 그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전후의 잠언들과 서로 연결돼 보다 큰 의미단락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즉, 잠언의 편집자가 개별적 잠언 격언을 수집, 편집할 때 아무런 문학적 통일성 없이 편집한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문학적 도구(예: 주제, 키워드, 표제어, 잠언 쌍, 의상소통의 상황 등)를 사용해서 개별적 잠언들을 수집해 문학적 통일성을 이루고자 한 원리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잠언 형성의 내재적 원리를 바탕으로 우리는 잠언을 해석함에 있어서 개별 잠언들을 독립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전후에 놓은 다른 잠언 경구들과의 보다 큰 문맥 속에서 해석할 때, 잠언 경구들이 갖는 보다 더 깊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특별히 이러한 접근은 10장 이후에 나타나는 개별 잠언을 해석함에 있어서 필요하다. 10장 이후에 주제적, 구조적 통일성 없이 나타나는 개별 잠언을 보다 더 통합적인 관점으로 큰 의미단락에서 해석한다면 개별 잠언의 자체 의미뿐만 아니라 그 개별 잠언들이 서로 연결돼 생성하는 문맥적 의미를 보다 더 분명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개별적 잠언을 보다 큰 문맥 안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개별적 잠언들이 연합돼 생성하는 본문의 깊은 의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현대 잠언 해석자들의 임무는 이러한 다양한 고대 지혜문학의 문학적 기법들을 발견해 개별적 잠언 묶음 속에서 통일성을 발견하고, 편집자의 의도 안에서 본문을 해석하는 것이다.

 


<Copyright데오스앤로고스 / 무단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