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한 권의 신학

[책] 계속되는 도전:늘어나는 비제도권 교회

by 데오스앤로고스 2022. 6. 23.
728x90
반응형

 

교단에 소속되지 않은 교회가 바로 비제도권 교회다. 처음에 교단에 소속돼 있다가 이런저런 이유로 교단을 탈퇴해서 독립된 교회를 추구하는 교회도 비제도권 교회겠지만 처음부터 비제도권 교회로 시작하는 교회들이 많아지고 있다.

 

가정교회도 어찌보면 비제도권 교회라고 할 수 있다. 평소에는 카페를 운영하며 일요일에 예배를 겸하는 유형의 교회도 있다. 지역에서 아이들과 가족을 위한 도서관 운영과 함께 교회를 실험하는 유형, 인디밴드나 어쿠스틱 그룹을 초청하여 음악을 나누며 공동체를 추구하는 하우스 콘서트형, 사무실이나 학원의 비는 시간을 이용하여 기독교 공동체가 모이는 일터 교회 유형도 있다. 모두 비제도권에 속한 교회 유형인 셈이다.

 

왜 이런 비제도권 교회가 생겨날까?

 

지난 3월 중심부가 아닌 변방, 혹은 주변부에서 시작되고 있는 비제도권 교회를 주목하고, 비제도권 교회 목회자와 성도를 인터뷰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 책을 출판한 정재영 박사(실천신대 교수)가 지난 6월 20일 오후 3시 성음아트센터 플럭스온(판교)에서 북콘서트를 열고, 비제도권 교회의 등장 이유와 특징에 대해 설명했다.

 

 

「계속되는 도전:늘어나는 비제도권 교회」/ 정재영 저 / SFC / 262쪽 / 15,000원

 

 

"관행과 제도, 언제나 정답은 아니다"

 

정재영 박사의책은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인 '비제도권 교회의 유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2년 간 면접조사와 통계조사를 진행한 연구결과를 담은 책이다.

 

정 박사는 " 이 땅에 기독교 신앙이 전파되고 교회가 시작된 지 1백 년이 훌쩍 넘으면서 그동안에 쌓인 관행들로 인해서 여기저기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라며 "이렇게 오랫동안 누적된 관습들은 제도라는 형태로 더욱 견고해진다. 사회학에서 말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구조의 문제는 어느 한두 사람의 노력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모든 신앙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함께 도전해야 한다"라며 비제도권 교회의 등장에 주목한 이유를 설명했다.

 

정 박사의 설명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7만 개가 넘는 교회들이 있고 370여 개의 교단이 있음에도, 교단에 속하지 않고 교회를 설립하고 그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는 것은 뚜렷한 목적과 의도가 있다. 무엇보다 비제도권 교회는 그 자체로 실험적인 새로운 기독교 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정 박사는 비제도권 교회의 등장 이유에 대해 "제도권 교회의 틀에서는 의미 있는 생존이 어렵다고 보는 것,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가운데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것, 기존 교회들에 불만족하면서 새로운 교회를 원하는 교인들의 욕구에 부응하여 기존 교회의 모습에서 탈피한 신앙 공동체들이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개인 중심의 영성 추구, 형식적 종교의례보다는 의미와 관계 중심의 신앙 표현, 명목상 그리스도인의 증가에 대한 저항 등과 같은 새로운 가치 등을 반영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왜, 비제도권 교회를 선택했을까?

 

정재영 박사는 사례 조사를 통해 비제도권 교회의 유형을  목적 지향에 따라 대안 추구형, 본질 회복형, 필요 반응형으로 분류했다.

 

정 박사는 "대안 추구형은 기존 교회가 성경의 가르침이나 기독교 정신에서 벗어났다고 보고 이와는 다른 형태의 대안적인 교회를 추구하는 형태이며, 본질 회복형은 기존 교회와 대립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보다는 교회 본래의 모습을 회복하고자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성경을 깊이 있게 해석하고 성경의 본뜻을 파악하여 이를 교회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필요 반응형은 기존 교회에 대한 대립이나 교회 본질에 대한 문제의식보다는 특정한 종교적 필요에 반응하여 교회를 설립하는 경우에 해당한다"라며 "모든 교회가 종교적 필요에 의해서 세워지기는 하나 앞의 두 유형과 달리 새로운 교회 운동의 차원이 아니라 기존 교단의 틀 안에서 하기 어려운 활동을 위해 교단 밖에서 교회를 세우는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현대 성도들, 비제도권 교회에 주목

 

특히 정 박사는 " 통계 조사를 통해, 규모와 체계를 갖춘 교회에 유리한 항목을 제외하고 교회의 본래적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체적인 측면에 대해서 비제도권 교회가 훨씬 높은 평가를 받았다"라고 설명하면서 "비제도권 교회들이 오늘날 개신교 신자들이 요구하는 신앙적 욕구에 더 부합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라고 주장했다.

 

즉, 비제도권 교회 교인들은 신앙생활 이유에서도 보다 본질적인 차원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하지만 정 박사는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비제도권 교회의 우월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차이가 비제도권 곧 소속 교단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라며 "교단이 없어서라기보다는교단의 방침이나 이해관계를 넘어서 교인들의 종교적 필요에 민감하고 보다 교회 본연의 모습을 추구하려는 경향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다"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교단 소속 여부와 상관없이 교회 본연의 모습을 추구하며 보다 공동체적인 교회를 이루려고 하는 교회라면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밝혔다.

 

 

탈교회, 더 가속화될 것

 

정 박사는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서 한국 교회의 탈교회 현상이 심화될 우려가 있고, 성도들의 신앙관, 교회관이 변하고 있으며 예배 공간 공유라든가 이중직 목회 등 새로운 목회 모델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탈제도적인 교회가 더욱 늘어날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이어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기성 교회가 어떻게 반응할 것이며 교회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서 한국 교회의 미래가 달라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북콘서트에서는 성석환 박사(도시공동체연구소 소장/장신대 교수)가 서평을 했고, 평신도 교회에 참여하고 있는 최규창 대표가 사례 발표를 했다.

 

 

 

 

새로운 교회를 향한 끊임없는 도전들
<계속되는 도전> 책의 목차


서문 9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1 15
I. 비제도권 교회들의 등장 19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2 35

 

Ⅱ. 비제도권 교회의 특징 41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3 77

 

Ⅲ. 비제도권 교회의 유형 8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4 109


Ⅳ. 비제도권 교회의 등장 배경 11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5 140

 

Ⅴ. 비제도권 교회와 가나안 성도 14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6 168

 

Ⅵ. 제도화 문제의 극복 173
비제도권 교회 인터뷰 7 246

 

Ⅶ. 나가는 말 251

 


<Copyright데오스앤로고스 / 무단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