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한 권의 신학

[책]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 한국교회 근본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by 데오스앤로고스 2015. 12. 10.
728x90
반응형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 / 배덕만 / 대장간 / 127쪽 / 5,500원

 


 

한국의 근본주의적 개신교는 천민자본주의의 탁월한 수혜자로 성장과 확장을 통한 풍요를 누려왔다. 그냥 한국교회라 하자. 사실 한국 교회 내에서 근본주의는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근본주의는 비성경적이고, 비신앙적이다.

 

사실 근본주의는 20세기 초부터 미국의 프로테스탄트 교파 사이에서 자유주의에 대립하여 일어난 보수파의 신앙 운동이다. 성서의 완전한 무오류성을 강조하는 등 성서의 내용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절대적 준수를 지향하는 등 ‘원리주의’라고도 불린다.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배덕만 저, 대장간)는 바로 이와 같은 근본주의의 폐단을 지적한다. 이 책은 한국 교회 근본주의의 신학적, 역사적 기원이 되는 미국 근본주의 역사를 먼저 고찰하고, 이와 같은 개신교의 새로운 유형이 한국 교회에 전달돼 정착해 온 과정을 추적한다.

이어 한국 교회의 근본주의적 특징을 신학적, 윤리적, 사회적으로 관찰,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한국 교회가 극복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다.

 

 

 

 

 

 

 



교수이면서 담임목회를 하고 있는 저자 배덕만은 “한국 교회 신학과 목회 전반이 기복, 배금, 성장, 대형, 일등이라는 마법에 걸려서 그리스도도, 십자가도, 복음도 빛을 잃고 있다”며 “교회에서 맘몬을 축출하고 성령의 전으로 환골탈태하는 것이 현재 근본주의적 교회들이 당면한 가장 어려운 과제”라고 분석한다.

 

이 책의 결론은 간단하다. 한국 교회 근본주의는 미국 선교사들을 통해 한국에 이식됐고,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본능적 경계심, 부흥운동의 제도적 발전, 공산주의와의 부정적 역사경험, 군부독재와 한국형 자본주의와의 밀월관계 등을 통해 토착화의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는 것.

그 결과, 교단의 신학적 배경과 유산의 차이에도 한국 교회 전반에 근본주의적 요소가 강하게 자리 잡고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근본주의가 지닌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이 책은 대안도 제시한다. 먼저 신학적 차원에서 한국 교회는 성경에 대한 자신의 존경과 신뢰의 전통은 계속 유지하되, 변화된 교회와 신학의 환경들을 정직하게 직시하고, 더욱 신중하고 책임 있는 신학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 앞에는 포스트 모더니즘에 의한 독점적 권위 해체, 강력한 성령운동을 통한 새로운 종교문화 출현, 전통적 가족 개념과 윤리의 붕괴, 냉전의 해체와 글로벌주의, 문화적ㆍ종교적 다원화 현상, 자연과학의 발전과 환경문제 등 단지 성경에 대한 평면적 독서, 문자적 해석, 교조적 반응으로 풀 수 없는 문제들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라며 “다양하고 급박한 신학적 난제들을 보다 개방적이고 책임 있는 태도로 연구하고 대화하며 대안을 제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윤리적 차원에서 한국 교회는 근본주의 한계를 겸허하게 반성하고, 진정한 윤리세력으로 거듭날 것, 정치적 차원에서 보수적 한국 교회는 특정 이념의 맹목적 지지세력이라는 배타적 자리에서 내려옴과 동시에 정치적 욕망의 덫에서 빠져나와 교회에 맡긴 본래의 자리, 즉 한국사회를 향한 비판적 예언자의 자리로 복귀해야 한다고 당부한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차원에서 한국 교회는 한국사회와 교회에 만연한 타락한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예수 그리스도와 초대교회의 정신을 회복하라고 요청하고 있다.

 


 

<Copyright데오스앤로고스 / 무단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