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진단!한국교회 (89)
theos & logos
캠퍼스 사역의 현주소와 대안 / 박성민 목사(한국 CCC 대표) 박성민 목사는 “캠퍼스 사역은 현재 사역의 동력인 인적자원의 약화, 꿈과 비전의 약화, 개인주의적인 사고와 공동체성의 약화 등으로 전도의 상황이 많이 변했다”고 말했다. # 발표내용 중에서1. (대학교의 기본현황) 2013년 현재 대학인구(대학원 제외) 수는 2,988,168명(*교육부 교육통계), 2012년 현재 대학교(2,3년제 포함) 수는 343개다..
한국교회 청년사역,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 / 삼일교회 설립 60주년 기념세미나 침체되고 있는 한국 교회, 특히 다음세대 청년사역의 현장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는 세미나가 개최됐다. 삼일교회(담임:송태근 목사)는 지난 4일 오후 2시 교회 본당에서 ‘한국교회 청년사역,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를 주제로 ‘창립 60주년 기념세미나’를 개최했다.한국 교회 청년사역에 대한 진단 및 대안을 모색하는 순서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
기윤실, ‘2013년 한국 교회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결과 발표 2008년, 2009년, 2010년에 이어 네 번째 한국 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회적 신뢰도의 수치는 19.4%로 나왔다. 냉혹한 평가이며, 심각할 정도로 부끄럽게 여겨야 할 점수다. 5점 척도로 봤을 때도 ‘보통’ 정도의 3점보다도 낮은 2.62점으로 평균 이하의 점수가 나온 것이다. 이는 성인 10명 중 단 2명 만이 한국 교회를 신뢰한다..
한국교회 목회자:오늘과 내일 / 은준관 박사(실천신대 명예총장) 은준관 박사는 한국 교회 미래를 위해 목회자들에게 △교회론에 근거한 신학교육의 재편 △하나님 백성 공동체로서의 교회론에서 다시 출발할 것 △하나님 백성공동체의 교회론에서 ‘목회’와 ‘목회자’의 정체성을 다시 설정할 것 △하나님 백성공동체의 교회론에서 평신도의 신학적 위치와 사역을 다시 찾을 것 등을 강조했다. # 발표내용 중에서1. ‘영적 문맹’이라는 것..
표류하는 한국 교회, 그리고 목회자의 멍에 / 이원규 교수(감신대, 종교사회학) “한국교회는 한때 뜨겁고 열정적이고 부흥하고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존경과 신뢰를 받았다. 그러나 이제 한국교회는 열정이 식었고 부흥도 안 되며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공신력을 잃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이원규 교수는 “한국교회의 이러한 영욕(榮辱)의 중심에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있다. 모든 조직에 있어 지도자의 역할..
생명평화마당, ‘대형 교회, 그 신화를 넘어서’ 4월 정기포럼 생명평화마당은 “대형 교회는 한국 교회의 대안이 될 수 없다. 대형 교회를 둘러싸고 있는 신화는 어떤 것이 있으며, 이 신화들의 뿌리는 무엇이고, 과연 신학적, 교회사적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 과연 교회와 사회에 유익한 것인지,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복음적’인지 묻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행사 취지를 밝혔다. # 대형 교회의 넓은 길, 작은 교회의 좁은..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 ‘교회세습, 신학으로 조명하다’ 학술 심포지엄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가 ‘교회세습,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대중좌담회에 참석한 발제자들의 주장을 정리했다. # 교회세습에 대한 구약학적 고찰(전성민 교수, 웨신대)1. 우리의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구약, 특히 역사서는 혈연에 의한 세습을 토대로 하는 왕정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 아무리 훌륭한 지도자라 하더라도 그들의 권력은 이어..
세반연, ‘교회세습, 무엇이 문제인가’ 대중좌담회 교회세습반대운동연대가 ‘교회세습,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개최한 대중좌담회에 참석한 발제자들의 주장을 정리했다. # 다시 개신교 정신으로(양희송, 청어람아카데미 대표기획자)1. 대다수 한국 개신교회는 공룡이 되고자 하는 열망을 공유하고 있다. 우리의 문제는 공룡이 되어서 생긴 문제와 공룡이 되지 못해서 생긴 문제 등 둘로 나뉠 뿐이다. 나는 ‘공룡이 되고자 하는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