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사와 신학 (60)
theos & logos
‘제1회 아나뱁티스트 신학 학술발표회 개최 16세기 종교개혁 운동의 한 축이기도 했던 아나뱁티스트(Anabaptist)의 운동과 신학을 조명해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KAP(한국아나뱁티스트출판사) 주관으로 지난 1월 23일 한국기독교회관 2층에서 ‘What's Anabaptist? Why Anabaptist?’으로 ‘제1차 아나뱁티스트 신학 학술발표회’가 열린 것. # 아나뱁티스트, ‘제3의 그룹’으로 이해해서는 안돼 이날 ‘16세기 종교개혁에 있어서 아나뱁티스트 운동의 역사적 의의’에 대해 발표한 남병두 교수(침신대)는 “16세기 아나뱁티스트들을 가톨릭도, 개신교도 아닌 제3의 그룹으로 이해하는 것은 잘못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나뱁티스트는 가톨릭교회를 개혁하는 과정에서 어떤 개혁가..
서울신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지난 25일 ‘한국성결교회 인물연구 특별 학술세미나’ 개최 / 2015년 11월 26일 기사 , , , , , 등. 이들의 공통점은 한국성결교회 부흥에 기여했던 주요 인물들이다. 서울신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가 지난 11월 25일(수) 오후 1시 우석기념관 강당에서 ‘한국성결교회 인물연구 특별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동 연구소는 “한국성결교회를 위해 기여했던 주요 인물들을 연구해 성결교회의 역사적 배경을 확인하고, 미래 성결교회를 설계하는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국성결교회 인물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인물들에 관한 연구 내용을 일부 정리했다. < 아래 인물 이름 옆에 게재된 연도는 성서학원 및 신학교 수학기간을 의미함> 1. 정빈(1905~19..
구약성경에서 나타난 교회의 하나됨, 공동체성 / 김구원 교수(개신대학원) 데오스앤로고스 | thelogos66@gmail.com 승인 2015.09.01 13:49:54 “하나님 백성의 하나됨과 연합이라는 주제가 여호수아에서 정점을 찍고, 사사기에서 바닥을 쳤다가 다윗과 솔로몬에서 다시 정점에 이르고, 르호보암과 여로보암의 왕국 분열에서 다시 한 번 바닥으로의 운동을 시작한다. 구약의 역사를 언약 백성의 실패의 역사라 한다면, 그 실패의 핵심에는 하나되지 못함이 있다.” “분열된 교회는 하나님의 사명에 효과적일 수 없다. 교단 간의 통합이 불가능하다면 적어도 사명적 연합을 위한 운동에 더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하나님이 주신 공동의 사명, 즉 하나님 나라 복음의 핵심을 다시 한 번 묵상하고, 연합을 해..
김성봉 목사, ‘2015년 서울 퓨리턴 컨퍼런스’에서 강연 / 2015년 6월 10일 기사 “신학교 시절부터 개혁주의 유산을 바로 전수받고, 목회현장에서 개혁주의 내용을 성도들에게 바로 소개하며, 개혁주의 전통을 시대 속에서 변질되지 않으면서도 현 시대에 맞도록 적용시켜야 한다.” 큐리오스 인터내셔널(대표:정성욱)과 워싱턴 트리니티연구원(원장:심현찬)이 지난 6월 8일 오전 10시 신반포중앙교회에서 ‘퓨리턴 신학과 한국 교회 전망’을 주제로 2015년 서울 퓨리턴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개혁주의 전통과 목회자의 준비와 역할’을 주제로 강의한 김성봉 목사(신반포중앙교회)는 개혁교회를 이루려는 열망을 가진 목회자가 준비해야 할 3가지 역할을 제시했다. # 한국교회, 과연 개혁주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가?..
아펜젤러ㆍ언더우드 한국선교 13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개최 / 2015년 6월 2일 기사 ‘아펜젤러ㆍ언더우드 한국선교 13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이 지난 5월 30일과 31일 양일 간에 걸쳐 정동제일교회와 새문안교회에서 개최됐다. 새문안교회와 정동제일교회가 공동으로 ‘제4회 아펜젤러 학술포럼 및 제8회 언더우드 국제심포지엄’으로 열린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아펜젤러와 언더우드의 선교정신과 현대 한국 교회의 발전 방향:두 선교사, 하나의 꿈, 그리고 우리’를 주제로 진행됐다.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교차로에선 한국 개신교 미래의 해답’을 주제로 강의한 김진홍 교수(뉴브런스윅신학교)는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선교사가 오늘날의 한국 교회에 전해주는 메시지는 분열을 넘어 이해와 양보, 협조를 통한 초교파적 사랑..
허명섭 교수, 서울신대 영익기념강좌서 종교 세력의 건국운동 다뤄 / 2015년 4월 1일 기사 허명섭 교수(서울신대)는 지난 4월 1일 오전 10시 우석기념관 강당에서 서울신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가 ‘해방 70주년과 한국 기독교’를 주제로 개최한 제19회 영익기념강좌에서 ‘대한민국 건국과 종교:종교 세력의 건국운동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허명섭 박사는 “해방 후 한국의 각 종교들은 그 범주와 방식, 그리고 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 건국운동에 뛰어들었다”며 “이합집산을 거듭하는 좌우익의 다양한 건국운동 세력들과 조우하며 각자의 노선을 취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허 박사는 “개신교가 미군정의 각 방면에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당국의 특혜가 아니라 새 시대에 적합한 역량을 가진 풍부한..
박명수 교수, 서울신대 영익기념강좌에서 발표 / 2015년 4월 1일 기사 “1945년 8월 15일 해방됐을 때부터 9월 8일 미군이 진주할 때까지 약 한 달 동안 한반도에서는 공산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의 건국논쟁과 투쟁과정이 치열하게 전개됐다.” 서울신대가 지난 4월 1일 오전 10시 우석기념관 강당에서 ‘해방 70주년과 한국 기독교’를 주제로 개최한 제19회 영익기념강좌에 발제자로 참여한 박명수 교수(서울신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소장)는 이같이 주장했다. 박 교수는 이날 ‘해방정국의 건국논쟁:인민공화국인가? 민주공화국인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박 교수는 이날 1945년 8월 15일 해방됐을 때부터 9월 8일 미군이 진주할 때까지 약 한 달 동안 한반도에서는 어떤 세력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ㆍ한국교회사학회, 공동학술대회 개최 / 2015년 3월 31일 기사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제32차 및 한국교회사학회 제125차 공동학술대회가 지난 3월 28일 토요일 오전 9시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내게 천 개의 목숨이 있다면:양화진 선교사들의 삶과 사상’을 주제로 진행된 공동학술대회에서 임희국 교수(장신대)와 이상규 박사(고신대)가 주제강연자로 나서 각각 ‘양화진의 역사와 외국인 묘지’, ‘근대선교운동과 내한 선교사들’이란 제목으로 발표했다. # 선교사들의 한국 내한은 18세기 근대선교운동의 결실 ‘근대선교운동과 내한 선교사들’을 주제로 발표한 이상규 박사는 “한국 기독교의 기원은 근대선교운동의 결실”이라며 “한국에서의 기독교의 탄생은 자생적 창립이나 서구 교회..
웨슬리의 영성 / 유경동 교수(감신대) / 2015년 3월 27일 기사 바른교회아카데미가 지난 2월 9일부터 10일까지(2015년) ‘기도의 신학, 경건의 실천’을 주제로 제18회 연구위원회 세미나를 개최했다. 길선주, 이용도, 손양원, 한경직, 문준경, 함석헌, 이현필, 문익환 목사 등을 비롯해 조나단 에드워즈, 웨슬리, 볼룸 하르트, 본회퍼, 루터, 칼뱅, 카타리나 쉬즈 젤, 존 오웬, 슈페너 등 세계 및 국내 개신교 전통에서 기도의 신학과 경건을 실천한 신앙선배들의 신앙과 신학을 조명했다. 이에 본지는 세미나에서 발표한 자료를 중심으로 신학자와 목회자들이 바라본 과거 신앙위인들의 기도의 신학과 경건의 삶의 모습을 간단히 정리하며, 한국 교회에서의 적용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유경동 교수(감신대, 기독..
조나단 에드워즈의 젊은 날의 경건 / 양낙흥 교수(고신대 신대원) / 2015년 3월 6일 기사 바른교회아카데미가 지난 2월 9일부터 10일까지(2015년) ‘기도의 신학, 경건의 실천’을 주제로 제18회 연구위원회 세미나를 개최했다. 길선주, 이용도, 손양원, 한경직, 문준경, 함석헌, 이현필, 문익환 목사 등을 비롯해 조나단 에드워즈, 웨슬리, 볼룸 하르트, 본회퍼, 루터, 칼뱅, 카타리나 쉬즈 젤, 존 오웬, 슈페너 등 세계 및 국내 개신교 전통에서 기도의 신학과 경건을 실천한 신앙선배들의 신앙과 신학을 조명했다. 이에 본지는 세미나에서 발표한 자료를 중심으로 신학자와 목회자들이 바라본 과거 신앙위인들의 기도의 신학과 경건의 삶의 모습을 간단히 정리하며, 한국 교회에서의 적용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