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를 위한 신학이야기/사회•환경과 신학

[원문] 한반도 통일과 코리안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by 데오스앤로고스 2015. 12. 14.
728x90
반응형

 

정현수(평통기연)

 

2014년 5월 8일 기사

 

하단의 내용은 기독교통일학회와 평통기연이 지난 5월 5일부터 6일(2014년)까지 사랑의교회 안성수양관에서 ‘통일 before & after’를 주제로 개최한 ‘제3회 기독청년대학생 통일대회’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제공 단체(자)와의 협약에 의해 데오스앤로고스에서 독자들에게 제공하지만 저작권은 제공 단체(자)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아울러 무단전제 및 불법적인 도용은 추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는 만큼 주의를 당부합니다. <편집자 주>


한반도 통일과 코리안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한반도통일 전후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현수(평통기연)


한반도의 통일은 한국인 내지 한민족의 삶의 양식에 대대적인 변화가 동반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혁명적인 변화의 대상에는 남과 북의 영토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들뿐만 아니라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720만 명의 재외동포들에 까지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서는 “한반도의 통일은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라는 의문점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I.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특징 및 역사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누구인가?
우리들은 통상적으로 외국에 나가 살고 있는 한민족을 가리키는 공식용어로서 '교포, 교민, 해외한인'이라는 용어보다 '재외동포‘라는 용어를 선호하고 있다. 최근에 와서는 재외동포를 서구적 맥락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라는 개념으로 재해석하려는 경향이 일반화하고 있다.
한국의 재외동포를 코리안 디아스포라라는 개념으로 재규정하려는 이유는 서구의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용어의 이미지를 내재하고 있다는 의미부여에 근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라는 말은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사는 유대인과 그 공동체를 가리키는 말로 원래는 '이산'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라고 한다. ‘디아스포라’라는 용어는 ‘분산(分散) 혹은 이산(離散)’의 뜻을 가진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한다. 역사적으로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유대인 공동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디아스포라(Diaspora)는 ‘이주’, ‘분산’을 뜻하는 헬라어로 주로 팔레스타인을 떠나 거주하던 이주 유대인을 지칭하는 뜻으로 사용돼 왔다.
결국 한국의 재외동포들은 고향을 떠나 세계에 산재하고 있는 유대인의 이미지가 덧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언제 어떻게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가?

한국인들이 유대인들처럼 고향을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져 살기 시작한 것을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다만 현재와 연결된 역사적 맥락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구한말 19세기 후반부의 격동기의 와중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인 재외동포의 이주의 역사는 150년을 맞고 있다. 150년 전 한반도와 인접한 러시아로 이주하기 시작한 이래 미국과 멕시코 등지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860년 간도 및 연해주 이주로부터 시작된 한국인의 해외이주는 계속해서 증가추세를 보이면서 세계 곳곳에 발길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괄목하게 성장했다.

 

 

해방 전 이주는 자기의사에 반한 이주였거나 국내사정이 워낙 어려워 어쩔 수 없이 떠나야 했던 강제이주라면 해방 이후의 이주는 보다 낳은 삶을 찾기 위한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해외이주라는 차이가 있다 하겠다. 그렇게 고향을 떠난 사람들과 그 후예들이 오늘날 전 세계 170여 개국에 720만에 이르고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규모는 화교사회가 3700만, 유태계가 580만 명인 점을 감안할 때 단연 세계 상위권 속에 속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을 떠나 전 세계로 이동하여 정착한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공통점과 차별성을 공유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다. 이들도 다양성을 특징으로 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특징은 경계인의 삶을 살고 있다는 점에 있다. 생물학적인 민족으로는 한국 사람이지만 국적으로는 외국인인 경계인이다. 동시에 해외에서나 한국 어디에서도 주류에 속하지 못하는 소수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남과 북에 대해서도 경계인의 위치에 놓여 있다. 독일에 거주하고 있는 송두율 교수는 복합적인 경계인으로 살아가고 있는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고단한 삶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왜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주목하는가?

2013년 현재 700여만 명의 코리아 디아스포라들이 전 세계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21세기의 현대사회는 세계화, 네트워크의 시대이다. 전 세계의 모든 인류가 국경선을 중심으로 엄격하게 분리된 삶을 영위하는 시대가 아니라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더 나은 세계를 창출하려는 ‘복합적 상호의존’의 시대이다. 따라서 전 세계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한반도의 새로운 발전적 도약을 위한 매우 귀중한 자산이다.

 

 

II. 분단시대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 균열과 갈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는 700여만 명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한국을 떠나 외국에 살게 된 이유와 계기 및 시기가 제각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을 한마디로 성격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50여 년 전부터 생성되기 시작한 코리아 디아스포라들은 1945년 해방과 분단 및 냉전의 시기를 통과하면서 전형적인 분단구도로 재편되기 시작하였다. 한반도의 양극화의 흐름은 한반도 내에서만 유효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로 확산되어, 전 세계의 코리아 디아스포라들에게도 점염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국가의 이데올로기와 제도 및 한반도와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작은 분단사회를 이루면서 균열된 모습의 이주민 생활을 영위해 오고 있다. 특히 한반도 분단구조와 긴밀하게 연계된 지역에 거주하는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자의적이든 타율적이든 분단체제에의 편입을 강요받는 삶을 영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중국, 미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의 4강들은 모두 남북한과 특수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으며, 이들 국가들에 거주하고 있는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삶은 한반도와의 친소관계에 의해 좌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재중 코리안 디아스포라

중국 연변대학교 조선족 교수인 김호웅은 "조선족은 19세기 중반 연변 등 중국 동북지역에 정착한 무국적자들이며 땅을 얻고자 치발역복(雉髮易服: 변발을 하고 중국옷을 입음)과 귀화입적(歸化入籍)의 치욕을 감내했으며, 일제의 황민화정책에 따라 창씨개명을 당한 사람들"이라며 "중국과 일본의 틈바구니에서 희생양의 비애를 맛본 이들"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들 조선족은 자연스럽게 '이중 문화 신분'을 갖고 있으며, 중국 건국으로 중국 국민의 자격을 획득했으나 "자신의 문화와 정신 일반에 큰 애착과 긍지를 갖고, 100여 년 간 말과 글을 지켜 교육과 문화예술을 통해 '조선족으로 살아남기'에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재미 코리안 디아스포라

2010년 기준, 재미한인 인구는 170만 명으로 중국, 필리핀, 인도, 월남인에 이어 5번째로 많은 아시아계 민족이다. 다수의 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에서의 배출요인보다는 주로 미국으로의 흡입요인이 작용한 결과이다. 재미한인들은 주로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에 약 52만 명, 뉴욕 38만 명, 시카고 23만 명, 애틀랜타 약 19만 명, 샌프란시스코 약 18만 명, 휴스턴 14만 등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집거지를 형성한 재미한인들은 영어를 쓰지 않아도 생활하기에 전혀 불편이 없는 한인들만의 공간, 즉 재미한인의 집단 공동체인 코리아타운을 조성하여 생활하고 있다.

재미한인의 이주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1902년부터 1905년까지이다. 하와이에서 사탕수수 재배 인력이 부족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에서 노동자를 모집하였다. 노동자 이민을 첫발로 시작된 재미한인의 이주는 올해로 109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대한제국 시절 시작된 노동자들의 미국이주는 한인사회의 형성을 알리는 출발점이었다. 1902년 12월, 인천 제물포 항구에서 121명의 한국인 노무자들이 하와이 호놀룰루를 향해 미국 상선 갤릭(S. S. Gaelic)호에 승선하여 ‘노동이민’을 떠났다. 1903년 1월 101명의 조선 노동자가 하와이에 도착함으로서 한국인의 미국 이민 역사가 막을 올렸다.

두 번째는 1906년부터 일제 패망까지이다. 이 시기는 일본의 탄압을 피하려는 정치적 망명 그리고 미국의 새로운 문물을 배우려는 목적에서 유학을 떠난 학생을 주축으로 미국에 이주한 부류이다. 이들의 수는 비록 적었지만, 해외에서 조선의 독립운동을 펼치는 한 축을 담당하였다.

 

 

세 번째는 1950년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이다. 조선의 해방,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미국의 한인사회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였다. 전문직 종사자나 유학생을 비롯하여 전쟁고아, 혼혈아는 미국 가정에 입양되는 조건으로 이주되었다. 또한 미군과 국제 결혼한 미군 부인 등도 새로운 이민자로 미국에 유입되었다. 1950∼1964년까지 6천423명의 한인 여성이 미국인 혹은 미군과 결혼하여 들어왔으며, 1950∼1964년까지는 총 5천348명의 어린이가 입양되었다. 미국에 정주하려는 이들과는 달리 공부를 목적으로 도미한 유학생의 수도 증가하였다. 1967년 6천400여명의 유학생이 도미했으며, 이들 중 6% 정도만 귀국하였다. 잔류 유학생은 미국의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받고 정착하였다. 이 시기는 여성과 어린이가 이민의 주를 이루었으며 한국 전쟁과 이후의 미군주둔은 한인들이 대규모로 미국에 이주를 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는 의사, 약사, 간호사 등 전문적인 직업군의 미국 이주가 활발하였다. 미국 정부는 부족한 전문 인력을 채우기 위해 ‘계약 이민’의 형태로 이들을 받아들였다. 특히 한국에서 생활하였던 간호사 이외에도 서독으로 건너갔던 간호사 중 일부는 3년의 계약 기간이 만료되자 한국으로 귀국하지 않고 미국으로 재이주하는 이른바 ‘삼각 이민’을 취하였다. 1976년 전문직 자격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이민을 제한하는 미국 이민법의 개정이 있었다. 이후로는 전문직의 미국 이주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1965년 미국 이민법의 개정으로 이민 문호가 개방되어 10여년의 시간이 흘렀다. 국제 결혼한 여성과 유학생, 그리고 전문직에 종사하는 재미한인 이주자들은 미국사회에 대한 정착이 어느 정도 안정되자 1970년대 중반부터 한국에 있는 가족, 친척을 ‘초청 이민’ 형태로 불러들였다. 이른바 한국에서 미국으로 가려는 ‘이민 폭발’이 일어났다. 이 시기의 재미 이주자 중 80∼90% 정도가 ‘초청 이민’으로 미국에 입국했으며, 그 수는 매년 2만 명. 이들은 주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이주했으며, 한국인의 미국 이민은 점차적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마지막 시기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이다. 1980년대 한국의 경제발전과 국내 대학의 미국 박사 선호는 고학력자로 분류되는 한국 학생들의 재미유학을 촉진하였다. 이들은 대학교수나 전문 직종에 종사하기 위해 그리고 미국의 최신 기술을 배우기 위한 목적으로 유학을 떠났었다. 1980년대에는 재미 유학생의 증가와 함께 한국인의 ‘낙하산 이민’도 성행하였다. 한국인 부모가 미국의 도시에 자녀를 놓아두고 갔다는데서 유래한 말이다. 미국에서 어린 자녀의 교육을 위해 보호자인 부모가 주택을 구입하고, 자녀를 그곳에 살게 하면서 부모가 자주 출입을 하여 생활을 하는 조기 유학 겸 이민을 뜻한다. 한국인의 미국 이주는 1987년 3만5천849명을 정점으로 점차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이주 경로와 과정을 통해 미국에 정착한 재미한인들의 이주는 타의적 또는 자발적 이주로 구분된다. 일제 치하에서 정치적 망명, 전쟁고아의 입양으로 미국에 이주한 타의적 이주자는 소수이며, 대다수는 자발적 의사에 의한 이주였다. 이들은 보다 나은 삶, 자녀 교육 등을 위해 ‘아메리칸 드림(American Dream)’을 실현하려는 목적에서 미국을 선택한 사람들이다. 초기 이주자들은 주로 서부와 북동부 지역에 위치한 대도시에 집중적으로 거주하였다. 그러나 미군 부인, 입양아, 유학생, 전문 인력, 초청 이민 등을 포함한 한국인의 이민이 증가하면서부터는 일부 지역에 집중되었던 집거지의 분산이 일어났다. 기존의 서부와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하였던 재미한인들은 삶의 터전이 남부와 중서부 지역으로까지 확대하였다. 미국의 전국 각 지역에 재미한인이 분산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한국인의 미국 이주 역사는 109년을 맞이하고 있다. 이제 재미한인 사회는 초기의 1세대 중심에서 ‘코리안 아메리칸(Korean-American)’으로 부르는 1.5세대 혹은 2세대가 활동의 주역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미국 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특출한 업적을 바탕으로 부상 중이다. 그러나 재미한인은 미국 내에서 유대인이 속한 주류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재미한인은 비주류 사회의 일원이며, 주류 사회로의 진입을 위해 ‘미주한인회총연합회’를 비롯하여 여러 단체가 노력하고 있다.

재일 코리안 디아스포라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이념적 분단이 가장 극심한 지역은 일본이다. 2010년 말 외교통상부 자료에 따르면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는 재일코리안은 뉴커머(newcomer) 18만여 명을 포함해 약 60만 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재일 외국인 중 중국인 다음으로 많은 숫자이며, 그 비율은 27.5%이다. 이들 재일코리안 중 67%인 40만 명 정도가 민단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는 재일코리안들은 거주국 사회에서 모순과 차별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살아 온 존재이다. 특히 올드커머(oldcomer)의 역사는 일본 내에서 한국인의 역사이며, 남북한의 역사이며, 더 크게는 일본 근현대사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의 재일코리안은 올드커머와 뉴커머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올드커머의 이주는 일본의 근대화와 식민지배와 관련돼 있다. 조선인 노동자들은 1890년대부터 일본으로 이주했는데, 그 수가 급속히 증가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과 상관성을 갖고 있다.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토지조사사업’과 ‘산미증식계획’으로 인해 조선 농민들이 양극화되고, 몰락한 농민들이 일본이나 만주로 이주했다. 또 하나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일본의 공업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일본기업들이 저렴한 노동력을 필요로 했다. 1916년에 약 1만8천명이었던 조선인 인구는 1920년에 4만 명, 25년에 21만 명, 30년에 41만 명으로 급증했다.

 

1937년에 중일전쟁 이후, 노동력이 극심하게 부족한 탄광업체들이 일본정부에게 조선인을 동원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1939년부터 이른바 ‘강제연행’이 시작됐다. ‘모집’방식, 1942년부터 ‘관 알선’방식, 1944년부터 ‘징용’방식으로 방법의 차이는 있었지만, 조선인 28만 명이 ‘전시노동동원’을 당했다. 1944년 당시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은 193만6천843명에 달했다. 올드커머는 일본이 근대화하는 과정에서 노동력으로 동원됐다. 일본에서 재일한인 올드커머는 ‘특별 영주자’라는 재류자격을 인정받고 있는데, 2007년 외국인등록에 의하면 한국·조선 국적자가 42만6천207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중 매년 1만여 명 정도가 일본국적을 취득하고 있었다.

 

 

2014년 현재에도 대한민국 정부는 과거 친북전력 등을 이유로 ‘조선적’을 갖고 있는 재일동포의 입국을 불허하고 있다. 조선적 재일동포는 1945년 해방 후 일본에 살고 있는 재일동포 중 남한과 북한 중 어느 쪽의 국적도 갖지 않고 일본에 귀화도 하지 않은 이들이다. 이들은 통상 조선적으로 분류되지만, 일본 국적 실무상으로는 무국적자로 분류돼 있다.


재일코리안은 일본 사회에서 차별과 멸시의 박해라는 환경에서 탈피하기 위해 또 한편으로는 자신들의 생존과 권익을 위해 한인단체를 결성했다. 재일코리안의 대표적인 생활자 단체는 1946년 10월 동경의 히비야(日比谷) 공회당에서 창단한 재일본조선거류민단, 1955년 5월에 만들어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뉴커머를 중심으로 2001년 5월에 결성된 재일본한국인연합회 등 3개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위 3개 단체 중 회원 수가 가장 많으며, 친한(親韓)적인 성향,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단체는 민단이다. 민단은 재일코리안의 민족적 긍지와 조국에의 기여, 권익 옹호, 문화 향상, 한·일 양국 및 국민간의 우호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민단은 재일코리안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자주단체이며, 재일코리안 누구나가 참여할 수 있는 대중단체이며, 동포애와 동족애를 증진시키는 친목단체, 재일코리안 전체를 위한 비영리단체라는 복합적 성격을 띠고 있는 조직이다.

 

민단은 재일코리안과 회원들의 권익을 위해 불철주야(不撤晝夜)로 활동하고 있지만, 재일코리안 사회를 대표하고 통합해야 할 조직으로 단세(團勢)는 약화되고 있었다. 다양한 약화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지만, 민단은 이에 대한 적절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으며, 민단의 역량으로 약화 요인을 해소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노출됐다. 그 결과로 단원의 감소, 의사소통의 단절 등 약화 요인이 조직 내외부에서도 드러났었다. 단세의 약화 요인을 타개하기 위해 민단은 내부적으로 조직 강화 활동에 주력했지만, 그 성과는 미흡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본지역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과 재일조선인총연합회(총련)을 중심으로 분열과 갈등을 계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가 1955년 5월 창립된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조총련은 민족진영의 재일동포자치단체인 민단에 맞서 설립된 공산진영의 재일동포단체다. 조총련은 대남적화공작을 수행했고 북한 노동당의 지도를 받는 학습조를 설치했다. 창립 초기에는 조총련 구성원이 재일동포의 80%에 해당하는 43만 명에 달했으나 현재는 5만 명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러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구려와 발해 이후 1860년대부터 다시 시작된 북방개척이민은 일제에 항거한 항일 독립운동을 위한 무대로 자리매김 되면서 한때 20만 명을 넘어서는 대규모 이주로 이루어졌다. 러시아 이주 150년이 지난 현재, 50만여 명의 고려인은 러시아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각 국가의 핵심적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863년 한반도 북부지방에 거주하던 한인 10여 가구가 국경을 넘어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했다. 우리 민족 최초의 해외이주로 볼 수 있다. 1860년대 말 대기근으로 한인들의 연해주 이주가 늘어났으며, 1900년대 초반 국권 상실의 정치적 혼란까지 겹치자 그 수는 더욱 늘어났다. 한인들은 연해주의 척박한 땅을 일구며 새로운 삶을 개척해 갔으며, 연해주는 만주 북간도와 함께 항일 무장투쟁의 본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III. 통일과정에서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한반도의 통일은 이제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 인류공통의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이른바 세계화, 지구화, 탈경계화 등으로 요약되는 새로운 환경의 도래는 한반도 분단문제도 분단 당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 모든 인류의 국제문제로 다루려는 사고의 틀이 형성되고 있다. 단적으로 북한의 핵문제나 인권문제를 UN에서 다루고 제재하려는 현상은 이제 당연한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을 정도이다.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의 세계화 현상이 의미하는 바는 한반도가 통일을 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 인류의 협력과 동의 및 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반도 문제의 세계화는 이미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한과 한반도 주변의 4강이 참여하는 6자회담이 그 대표적인 세계화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반도문제의 세계화는 해방과 분단 및 건국과정에서 이미 시작된 현상이다. 거기다가 1950년의 한국전쟁과 그 이후의 휴전체제는 한반도문제의 세계화를 더욱 영속화시키는 제도적 기반을 제공해 준 셈이다.

 

휴전이후 남북한은 제각기 독자적인 주권국가로서의 국제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 세계를 대상으로 외교경쟁을 전개하여 국제관계를 수립하면서 다른 나라들로부터의 지원과 협력 등을 이끌어내는데 주력해 오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흐름은 남북한이 본격적으로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서 더욱 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반도의 통일과정은 남과 북이 하나로 통합되고, 해외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들도 하나로 통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리아 디아스포라들도 한반도 운명의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의사결정의 주체이다. 재외동포도 한반도 통일의 주체에 해당한다. 따라서 재외동포들도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주체로 참여하는 것이 당연하다.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대단히 귀중한 자산이다. 한반도 통일과정에서도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은 남북한은 물론이고 한반도 통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자들 사이에서 조정자, 매개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피스메이커(peace maker)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재외동포들의 역할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일이 모국 중심이 아니라 세계 각국의 재외동포들을 포함하는 '한민족 공동체' 형성이라는 것으로 개념을 넓혀야 한다. '한민족 공동체'는 "한국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 또는 고유성을 인정하는 문화다원주의에 기초하는 다중심적인 네트워크 개념이다.

 

700만 재외동포는 전 세계 160여 개국에서 대한민국의 민간외교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통일로 가는 길에 정부가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일을 재외동포의 입장에서 이뤄나갈 수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이 가장 많은 분포하고 있는 미국이나 중국에서는 국제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위직의 정치인이나 정부 관료까지 배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접한 일본에서는 90만 명의 재일 조선인들의 생존과 이익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정치인이나 고위관료들이 없다.

 

남북한 교류 협력의 물꼬를 트고, 미국·중국·일본 등 주변국의 이해와 협조를 끌어내는 데 재외동포가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지금처럼 남북 간에 당국 간 관계가 철저하게 단절되어 있는 상황에서 북한과 다양한 채널을 확보하고 있는 재외동포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의 모범적 사례로 미국의 OGKM(One Green Korean Movement)의 활동을 들 수 있다. 미국의 OGKM(대표 : 김호진 장로)은 북한당국의 신뢰를 발판으로 2013년 12월 26일 북한의 내각부서의 하나인 국토환경보호성으로 부터 북한녹화사업에 관한 권한을 위임받았다.

 

재외동포들이 거주국 학계, 언론계, 시민단체와 네트워크를 형성해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긍정적 여론을 형성하는데 크게 일조할 수 있다. 즉 재외동포들은 거주 국가에서 '통일 공공외교' 대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동포들은 한반도 통일 활동의 일환으로 ▲거주국 국가의 한반도 정책이나 여론 동향 등에 관한 자료와 정보의 전달 ▲북한을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동포들은 대북교류협력사업을 통해 남북 당국 간 대화 및 주민들 간의 화해를 주선할 수 있는 가교역할 ▲거주국 정책 결정자, 현지 언론인과의 접촉을 통해 바람직한 대북정책, 통일방안 등에 대한 설득과 홍보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V. 통일시대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 통합과 융합

한반도의 통일은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 한반도의 통일은 민족적 삶의 원형 복원이자, 미래의 블루 오션이며 북한 주민에게는 독재와 고립, 궁핍으로부터의 자유에 해당한다. 통일은 미래의 성장 동력이라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제시한 통일대박론의 핵심도 통일이후의 미래상에 대한 낙관론에 근거하고 있다.

 

한반도에서의 통일시대는 통일과정이나 통일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해 볼 수 있다. 한반도의 통일은 한민족의 역사를 새로운 단계로 도약시키는 역사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반도의 통일은 한국의 인구구조나 부족한 자원, 좁은 내수 시장 등의 문제점들을 개선해 줄 뿐 아니라 경제권 확대 등 한국경제에 획기적인 성장모멘텀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반도가 통일되면 22만km의 영토에 8000만 인구의 새로운 단일국가로 새로 태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강소국이 탄생하게 된다. 한반도의 통일은 민족의 세계적 위상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의하면, 남북이 통일을 이룬다면 2050년 1인당 실질GDP가 7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세계 12위권의 경제규모로 확대된다고 전망하고 있다. 남북한의 통일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세계평화에 기여할 것이다. 한반도의 통일은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에게도 해당국가의 거주지역에서 상징적,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가장 긍정적인 변화는 균열과 갈등을 야기한 원인의 해소로 인해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의 통합과 융합에 따른 협력이 크게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한반도의 통일은 거대한 중앙아시아, 러시아 및 유럽지역과도 육지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앙아시아지역이나 러시아 등을 비롯하여 거대한 유라시아대륙이 한반도 경제권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통일은 혁명적인 기회창출을 의미하는 역사적 사건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들은 가장 직접적인 수혜자로서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opyright데오스앤로고스 / 무단 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